[2024 수능] 문과보다는 이과, 재학생보다는 N수생 강세 예상
입력 2023.11.16 17:14
수정 2023.11.16 17:14
국어 난이도 높아지며 수학과 비슷한 변별력 확보
'미적분과 기하' 선택하는 이과생 강세 여전할 것으로 예상
'킬러문항' 겪어본 N수생들이 재수생보다 강세 예상
16일 시행된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의 국어 영역, 수학 영역 출제 문항을 분석한 결과 문과보다는 이과가, 재학생보다는 N수생이 강세를 보일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국어와 수학 모두 '킬러문항' 없이도 변별력을 확보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으면서, 개별 문항의 난이도를 조절하는 출제기조가 확인됐는데 이것이 이과와 N수생의 강세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날 복수의 언론보도 및 입시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수능에선 수학의 표준점수 최고점(145점)이 국어(134점)보다 10점 이상 높아 수학을 잘하는 수험생에게 유리하다는 지적을 받았는데, 올해는 국어 난도의 상승으로 이 같은 지적은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다만 수학 선택과목에서 '미적분과 기하'가 고득점에 여전히 유리한 것으로 여겨지는 만큼, 이과생 강세는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킬러문항을 과거 수능에서 경험해 본 'N수생' 비중이 확대된 점이 수학문제 출제에도 반영된 것으로 나타나면서 고3 재학생들의 체감 난도는 상당히 높았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국어 영역은 킬러문항 배제 방침이 처음 적용됐지만, 작년 수능보다 까다롭다는 평을 받은 9월 모의평가보다도 다소 어려웠다는 것이 공통적인 평가다. 지난해 수능은 국어 표준점수 최고점이 134점으로 무난하다는 평을 받았고, 9월 모의평가는 표준점수 최고점이 142점으로 만만치 않았다는 평가를 받았다.
표준점수는 개인의 원점수가 평균 성적과 얼마나 차이 나는지 보여주는 점수다. 시험이 어려워 평균이 낮으면 표준점수 최고점은 상승한다.
지난해 수능에서 수험생들을 괴롭힌 '클라이버의 기초 대사량 연구'와 같은 낯선 개념, 전문적 지식을 다룬 지문은 사라져 킬러문항은 배제됐다는 평이 나왔다. 그러나 선택지를 정교하고 세심하게 구성해 지문을 정확히 이해해야 풀 수 있는 문항들이 곳곳에 배치돼 변별력을 높인 것으로 분석됐다.
공통과목인 10번과 15번, 27번이 상위권을 가르는 문항이 될 것으로 보인다.
수학 영역은 올해 9월 모의평가와 비슷한 기조를 유지했으나 최상위권 변별력은 더욱 확보된 것으로 평가받았다. 최상위권에는 작년 수능보다는 쉽되, 9월 모의평가보다는 어려웠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수학 표준점수 최고점은 작년 수능이 145점, 올해 9월 모의평가가 144점으로 유사했으나, 표준점수 최고점 인원은 같은 기간 934명에서 2520명으로 늘어났다.
킬러문항 배제 방침 후 치러진 첫 시험인 9월 모의평가에서 최상위권 변별력이 떨어지자, 수능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었다.
그러나 문항 분석 결과 개별 문항 난이도 조절로도 충분한 변별력을 갖췄다는 평가가 나오며 이같은 우려는 기우임이 드러났다.
특히 단답형인 22번, 30번이 올해 9월 모의평가보다 어려워지면서 최상위권의 변별력을 확보한 것으로 분석했다. 공통과목 마지막 문항인 주관식 22번은 도함수를 활용해 함수의 극대, 극소를 고려해 조건을 만족시키는 삼차함수를 찾는 문항이었다.
선택과목에서는 마지막 문항인 30번이 모두 까다로운 문항으로 꼽혔다.
확률과 통계 30번은 정규분포와 표준정규분포에 대한 문항, 미적분 30번은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의 극대·극소를 찾는 문항이었다.
기하 30번은 평면벡터의 덧셈과 뺄셈을 이용해 주어진 벡터의 크기가 최대인 점의 위치를 찾아 삼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을 물었다.
지난해 수능에서 문제가 된 국어·수학 간 표준점수 최고점 격차는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국어 영역도 일정한 변별력을 확보하면서, 수학이 당락에 큰 영향을 미쳤던 작년과 비교해 국어·수학 영역 모두 입시에 중요한 변수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다만 입시업계에서는 올해에도 '이과생 강세'는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선택형 수능에서는 선택과목 집단의 평균이 표준점수에 영향을 주는데, 이과생들이 몰리는 수학 '미적분과 기하'가 '확률과 통계'보다 고득점을 받기에 여전히 유리한 구조이기 때문이다.
또 재학생보다 N수생이 강세를 보일 것으로 분석하는 이유는 9월 모의평가보다 수능에 N수생이 더 많이 지원하면서 이들을 고려해 출제 당국이 난도를 높이는 선택을 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