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국회 계단 채운 촛불이 가진 무게 [기자수첩-정치]

김은지 기자 (kimeunji@dailian.co.kr)
입력 2023.09.06 07:00
수정 2023.09.06 07:01

'국민항쟁' 외치지만 외연 확장 한계

1일 촛불문화제는 3000명 참여 추산

장외집회 사정도 별반 다르지 않아

당 차원 시도당에 '총동원령' 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4일 저녁 국회본청 앞 계단에서 제2차 윤석열정권 폭정 저지 민주주의 회복 촛불문화제가 열리고 있다. ⓒ데일리안 김은지 기자

최근 국회본청 앞 계단을 채우고 있는 '촛불민심'이란 것은 왜인지 생경하게만 느껴진다. 누구의 심중(心中)을 민심으로 지칭할 수 있는지, 참가한 이들은 누구를 위한 목소리를 내고 있는지 등 혼란을 야기하게 하는 날들의 연속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국민 항쟁'을 내세우고, '무능 폭력 정권인 윤석열 정부가 퇴행시킨 민주주의를 바로 세우겠다'라며 무기한 단식을 이어가는 중이다. 이 대표의 단식이 진행되는 동안 수요일과 주말을 뺀 매일, 국회본청 앞 계단에서는 '윤석열 정권 폭정 저지와 민주주의 회복'을 내건 촛불문화제가 동반되고 있다.


여의도 정가에 종사하고 있는 이들 사이에서는 이처럼 국회 내 촛불문화제가 계속되는 것에 대한 '물음표'가 계속해 달리고 있다. 연일 계속되는 촛불문화제에도 '외연 확장이 된다는 느낌이 들지 않는다'는 평가가 이미 국회 내에 만연하다. '소집령'이나 '동원령'과 같은 단어도 곳곳에서 들린다. 모여든 이들은 민생의 회복 같은 것보다는 이재명 대표의 이름을 연호하거나 윤석열 정권의 탄핵 메시지를 내는 데 주력을 할 뿐이다.


지난 1일 이 대표의 무기한 단식 첫날 국회본청 앞 계단에서 열린 '제1차 윤석열 정권 폭정 저지 민주주의 회복 촛불문화제' 참석자들은 당 지도부와 의원·보좌진·당직자와 지지자를 포함해 3000여명으로 추산됐다. 지난 4일 교권 회복 추모집회에 주최 측 추산 5만명(경찰 추산 2만5000명)이 모인 것과 대조적이다.


장외 상황이 별반 다르지 않다는 점도 국회 내 촛불문화제를 지속하게 하는 원인으로 꼽힌다. 지난 2일 진행됐던 2차 범정부 규탄 서울 도심 집회에서는 주최 측 추산 5만명, 경찰 추산 6000여명이 모였다. 경찰 추산 기준으로 1차(7000명)에 비해 오히려 참석자 규모가 줄어들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바깥보다는 좀 더 작은 인원으로 '보여주기'를 할 수 있는 국회 내 촛불문화제에 더욱 신경을 쏟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 정치권의 해석이다.


정치권에서는 "표면은 검찰 독재에 대한 비판과 후쿠시마 오염처리수 해양 방류에 대한 비판인데, 검찰청 앞에서 촛불문화제를 하기에는 부작용이 너무 크고 대통령실 앞에 가서 촛불을 들기에는 '그림'을 내기가 쉽지 않은 것 아니냐"는 진단마저 나오고 있다.


뿐만 아니라 "촛불집회나 문화제는 보통 1주 단위로 주말마다 지속성을 갖고 이뤄지는데, 이 대표는 '사법 리스크'로 인해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아 그 전에 문화제를 지속해 최대한 예수처럼 순교의 이미지를 내야 한다"는 진단이 나오기도 한다.


촛불은 '광장'에 있을 때 위력을 발휘하고, 또한 그것을 든 사람이 많아야만 '민심'이라는 수식어를 그나마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지금 광장으로 촛불이 나가기에는 그 수가 너무 부족하다. 이 때문에 촛불이 국회 내에서 너무나 쉽게, 또 자주 들어지고 있는 것이라면 그 촛불의 무게에 대해서는 다시 한 번 생각을 해보지 않을 수 없다.


촛불이 국회본청 앞 계단이란 한정된 공간에서 들어지면 들어질수록, 또 제한된 면면의 이들에 의해 들어질수록 '국민항쟁'이라는 표어는 흐려질 것이 분명하다. 결국 연일 계속되는 국회 내 촛불문화제에 대한 평가는 강성 지지층을 일컫는 '개혁의 딸에 국한된 항쟁'으로 기울 가능성이 다분해졌다. 이것을 진짜 '민심'이라고 부를 수 있을까.

'기자수첩-정치'를 네이버에서 지금 바로 구독해보세요!
김은지 기자 (kimej@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