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명품백·주얼리…한국식 프러포즈는 허세입니다"
입력 2023.06.16 17:54
수정 2023.06.16 17:55
명품백, 주얼리 등을 한가득 쌓아놓고 호텔에서 진행하는 일부 고가의 한국식 프러포즈를 두고 '청혼 허례허식'이라고 지적하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15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한국의 '청혼 허례허식'을 언급했다. 이날 WSJ 지면 1면 하단에는 '결혼식 전 비싼 장애물: 4500달러(약 570만원)짜리 청혼'이라는 제목의 기사가 게재된 것.
WSJ는 하루 숙박비가 100만원이 넘는 고급 호텔에서 명품 가방과 장신구 등을 선물하는 게 최근 한국의 청혼 트렌드가 됐다고 꼬집었다.
이와 관련해 WSJ는 한국에서는 대부분의 커플이 먼저 부모님의 허락을 받아야 결혼 날짜를 정하며 이후 반지도 함께 사기 때문에 공식적인 청혼 이벤트는 결혼식 날을 잡은 뒤 따로 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WSJ는 한국에서 직장을 다니는 오 씨(29)의 사연을 언급했다. 오 씨는 최근 국내 고급 호텔에서 청혼을 받았는데 오 씨 남자친구가 쓴 돈은 수백만 원이라는 것. 호텔 측이 청혼 전용으로 마련한 패키지로, 꽃장식과 샴페인 등이 포함된 호텔 숙박비는 150만원이었다.

검소한 결혼식을 치르려고 했었다는 오 씨는 청혼 이벤트만큼 화려했으면 좋겠다는 꿈이 있었다고 WSJ에 전했다. 그는 "누구나 호텔에서의 청혼을 선호한다. 이는 모든 여성의 꿈"이라고 했다.
인스타그램에서 한국어로 '호텔 프러포즈'를 검색하면 해시태그(#)가 4만개가 넘는다. 인증샷에는 꽃·풍선·샴페인을 비롯해 보석 장신구나 명품 핸드백이 등장한다. 매체는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최근 청혼을 받았거나 할 예정인 한국인 사례를 전했다.
또 다른 직장인 하 모씨도 최근 프러포즈에 570여만원을 들였다고 밝히면서 "솔직히 금전적으로 부담이 된다"면서도 "근데 여자친구 친구들이 많이 부러워했다"고 밝혔다.
WSJ는 국내 호텔들이 프러포즈 관련 패키지 상품을 내놓고 있다고도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시그니엘 호텔은 상당의 꽃 장식과 샴페인 등이 포함된 '영원한 약속'(Eternal Promise)라는 상품을 판매 중이다. 157만원에 달하는 고가지만 월평균 38회 예약이 이뤄질 정도로 인기가 많다. 콘래드 호텔은 하트 모양의 케이크와 꽃, 와인이 포함된 '올 포 러브'(ALL FOR LOVE) 패키지를 출시하기도 했다.
다만 WSJ는 "한국 결혼율이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며 "큰 비용이 드는 호화로운 호텔 청혼은 혼인율을 높이는 데는 도움이 되지 않으며, 커플들에게는 부담을 주는 웨딩 트렌드"라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