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민 "이태원 참사 당일 경찰보고 못 받아"…윤희근 "상황 예측 못 해"
입력 2022.11.07 17:00
수정 2022.11.07 17:04
이상민 "우려할 인파 아니었다" "경찰병력이 과연 문제?" 발언 거듭 사과
"행안부 장관이 경찰청장 지휘할 수 있는 근거? 현재로선 전혀 없다"
윤희근 "상황 예측 못하고 그 시간 서울 근교서 대비 못한 데 책임감 느껴"
"어느 누구도 상황 상상 못해…한 점 의혹 없도록 철저히 진상규명 할 것"
![](https://cdnimage.dailian.co.kr/news/202211/news_1667802333_1170540_m_1.jpeg)
경찰 총지휘권을 가진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이태원 참사 당일인 지난달 29일 경찰로부터 참사 상황 관련 정식 보고를 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윤희근 경찰청장은 참사 당시 충북 제천을 방문 중이었던 것과 관련, "이런 상황을 미처 예측하지 못하고 그 시간에 서울 근교에서 대비하지 못한 데 대한 일말의 책임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이상민 "국민 정서와 동떨어진 발언, 진심으로 사과"
이 장관은 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종합정책질의에서 '참사 후 장관의 첫 발언이 국민 정서와 동떨어졌다'는 국민의힘 정점식 의원의 지적이 나오자, "국민들이 들으시기에는 부적절했고, 세심하게 살피지 못한 것이기 때문에 수차례 유감의 뜻과 사과의 의사를 밝혔다"며 "다시 한번 국민의 마음을 상하게 한 점에 대해 이 자리를 빌려 진심으로 사과한다"고 말했다.
![](https://cdnimage.dailian.co.kr/news/202211/news_1667802333_1170540_m_2.jpeg)
이 장관은 "(참사 관련) 공식 보고를 받은 바는 없었다"며 "기자가 '경찰관이 부족해 이런 일이 생긴 것 아니냐'는 취지로 질문했길래 성급한 예단이나 추측은 말아 달라는 취지로 말씀드린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 사건이 워낙 큰 참사로 이어졌기 때문에 정확한 분석을 해야 재발 방지를 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며 자신의 발언에 대해 해명했다.
'경찰청으로부터 상세한 현황 보고를 못 받았고, 왜 사고가 났는지에 대해서도 보고받지 못했느냐'는 정 의원의 추가 질의에도 "전혀 보고 받은 바 없다"고 말했다. 앞서 이 장관은 이태원 참사 다음 날인 지난달 30일 "특별히 우려할 정도의 인파가 모인 것은 아니었다. 경찰 소방력 대응으로 사고를 막을 수 있었던 문제는 아니었다"고 말한 바 있다.
이 장관은 '행안부 내 경찰국을 설치했지만 치안 사안에 대해 행안부 장관이 경찰청장을 지휘할 수 있는 근거가 있느냐'는 정 의원의 질의엔 "현재로서는 전혀 없다"고 말했다. 이 장관은 '안전·재난 관련 경찰의 업무에 문제가 생긴다면 행안장관의 책임이 맞느냐'는 김 의원의 질의에는 "그런 업무를 시행하려고 했으나 실행(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https://cdnimage.dailian.co.kr/news/202211/news_1667802333_1170540_m_3.jpeg)
◇윤희근 "예상했다면 더한 경력 투입했을 것…송구"
이날 국회 예결위에 출석한 윤 청장은 '사고가 일어난 지난달 29일 밤에 왜 제천까지 내려갔느냐'는 정 의원의 물음엔 "(지난달) 29일 전까지 국정감사를 비롯한 여러 일정을 수행한 뒤 조금 여유가 있겠다 싶어서 과거 근무했던 지역에 내려가 등산도 하고 취침한 바 있다"며 "그 부분은 결과적으로 아쉬운 점이 있다"고 말했다.
윤 청장은 이태원 참사 당일 서울 시내에서 진보·보수 단체가 주최하는 집회가 동시에 열린 상황에서 경찰청장이 서울청장에게 지휘 책임을 맡긴 채 제천에서 캠핑을 했느냐는 취지의 질의에 대해서는 "지난달 29일이 아닌 22일 정도 상황이면 제가 대책 회의도 주관하고 상황관리도 했다"며 "29일 시내 상황은 서울청장 정도로 대처해도 문제가 없겠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그는 "결과론적인 말씀이지만 어느 누구도 이런 상황을 상상하지 못했다"며 "상상했다면 기동대가 아니라 더한 경력을 투입했을 것이다. 그러지 못한 점에 대해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2017년부터 있었던 핼러윈데이와 비교했을 때 137명이라는 인원은 결코 적지 않다. 이런 상황을 예상했다면 충분히 대응 가능한 인력"이라며 "그러지 못한 부분에 대해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거듭 말했다.
윤 청장은 '특별수사본부에서 이임재 전 용산경찰서장의 집무실이나 휴대전화 압수수색을 했느냐'는 질문에 "현재까지는 하지 않았고 추가로 할 수 있다는 보고를 받았다"며 "112 신고 11건을 부실하게 처리한 내용은 스스로 뼈를 깎는 각오로 공개한 것이다. 한 점 의혹이 없도록 철저하게 진상규명 하겠다"고 말했다.
![](https://cdnimage.dailian.co.kr/reporter/profile_33289_1606981731.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