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론, 잔액 껑충…금리부담까지 이중고 심화
입력 2021.09.09 06:00
수정 2021.09.08 11:27
2Q 카드론 34兆 돌파…금리도 15bp↑
현금서비스는 3개월 새 9500억원 급증
"한도규제하면 금리 더 높아져 부담가중"
카드사가 빌려주는 단기대출인 카드론과 현금서비스 잔액이 급격히 불어났다.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대출금리까지 덩달아 치솟으며 차주의 이자부담도 가중되는 모양새다. 일각에선 금융당국의 강력한 가계부채 규제정책과 기준금리 인상기조가 지속되면서 카드론과 현금서비스 사용 고객의 부실 우려도 함께 커질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9일 여신금융업계에 따르면 올해 2분기말 기준 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하나·우리카드 등 7개 전업카드사의 카드론 잔액은 34조1311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29조7892억원 대비 14.6%(4조3419억원) 늘어난 규모다. 3개월 전 33조1788억원보단 2.8%(9523억원) 증가한 수치다.
현금서비스(단기카드대출) 잔액도 급증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 상반기 7개 카드사의 현금서비스 신규 취급액은 12조6032억원이었다. 직전 분기 12조328억원 대비 4.7%(5704억원) 증가한 실적이다. 현금서비스 증가율은 지난 2015년 4분기 5.9% 이후 6년여만에 최대치다.
대출상품 금리도 일제히 상승세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지난 7월말 7개 카드사의 표준등급 기준 카드론 평균금리는 13.1%를 기록했다. 12.95%이던 전월 대비 0.15%p 오른 수치다. 카드사 별로는 삼성카드가 13.96%로 가장 높았다. 이어 롯데카드(13.35%), 우리카드(13.24%) 등이 13%가 넘는 비교적 높은 금리대를 형성했다.
현금서비스 평균금리는 지난 7월말 17.78~18.74%를 기록했다. 현대카드가 17.78%로 가장 낮은 평균금리를 기록했고, 신한카드가 17.99%로 뒤를 이었다. 두 회사를 제회하고 17%대 금리를 적용하고 있는 곳은 전무했다.
카드론과 현금서비스 잔액이 급증한 이유는 제2금융권을 향하는 풍선효과 때문이다. 금융위원회는 앞서 시중은행의 차주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40%까지 조이는 규제를 도입했다. 은행권에서 받을 수 있는 대출규모가 대거 축소되면서 대출수요가 일시적으로 카드사로 몰린 셈이다.
문제는 카드사가 이에 맞춰 카드론 인하 경쟁을 펼치며 고신용자 모시기에 집중했다는 점이다. 삼성카드는 카드론 최저금리를 기존 5.9%에서 4.9%로 낮췄고, 현대카드도 5.5%에서 4.5%로 이자율을 떨어뜨렸다. 지난 3월 업계 최저 수준의 카드론 금리를 제공했던 국민카드는 3.9%의 금리를 고객에게 적용하기도 했다. 이에 고신용자가 카드론으로 대거 유입되면서 금리 상단이 높아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비은행권에 60%로 적용되고 있는 DSR을 40%까지 낮추겠다는 규제를 앞당길 수 있다는 전망도 카드론 차주에는 부담이다. 금융당국이 제2금융권에 대한 풍선효과를 잡아내기 위해 대출총량을 규제하게 되면 기존 카드론, 현금서비스 이용 고객에게서 연체율이 높아질 우려가 있어서다. 실제로 현금서비스 연체율은 잔액 증가와 정비례하는 흐름을 나타낸 바 있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카드사 대출한도를 줄이면서 판매할 수 있는 여력도 없는데 금리까지 높아지니 연체율 부담이 확대된 건 사실"이라며 "현실을 감안하지 않은 대출규제가 실제 대출이 필요한 이들의 대출여건을 악화시킨 만큼 채권에 대한 정상화 과정이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