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2050 탄소중립 ②] 정유·석화업계 "급진적 시나리오, 우리 실정 안맞아"

조인영 기자 (ciy8100@dailian.co.kr)
입력 2021.08.06 11:15
수정 2021.08.06 12:42

업계,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현실성 의문 제기

대안 기술 초기단계 반면 감축량 목표는 '급진적'

인프라 구축·세제 혜택·법령 정비 등 "갈길 멀어"

윤순진 2050 탄소중립위원회 민간 공동위원장이 5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세 가지 종류의 탄소중립 시나리오 초안과 주요내용을 발표하고 있다.ⓒ데일리안 류영주 기자

정부가 발표한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초안'를 두고 기업들의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취지와 방향성에 대해서는 공감하지만 목표치 자체가 상당히 급진적이라는 이유에서다.


특히 다탄소 업종으로 꼽히는 정유·석유화학은 대안으로 제시된 기술들이 아직까지 개발 초기 단계인만큼 상용화까지 갈 길이 멀다고 진단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탄소중립위원회는 지난 5일 탈(脫)원전·신재생 에너지 확대를 골자로 한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초안을 발표하고 이를 이행하기 위한 세 가지 시나리오를 공개했다.


1안은 석탄발전소 7기를 유지해 6억8630만t 규모(2018년 기준)의 온실가스를 2050년까지 2540만t (96%)줄인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2안은 석탄발전을 중단해 온실가스 순배출을 1870만t(97%)으로 감축하며, 3안은 석탄발전·LNG발전 전량을 중단해 넷제로(0)를 달성하겠다는 내용이다.


탄소중립위는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위해 석유화학・정유 부문에 대해선 전기가열로 도입 및 바이오매스 보일러 교체 등 연료 전환, 바이오‧수소 원료 활용을 통한 나프타원료 전환 등을 제시했다.


이를 통해 2018년 6280만t 배출량을 2050년까지 1690만t으로 약 73% 감축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업계는 이 같은 시나리오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의구심을 표하고 있다. 이미 많은 정유·석화업계가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해 다양한 친환경 사업을 수립·이행하고 있지만, 탄소위가 내건 수치를 따라가기엔 역부족이라는 진단이다.


일례로 석유정제 시설 가동을 위한 전기가열로가 현실화되기 위해서는 연료를 현재 사용하는 벙커C·부생가스에서 전기로 전환해야 한다.


이때 공급받는 전기는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얻게 되는 것으로, 안정적인 인프라 구축 및 값싼 전력 공급이 관건이 될 전망이다. 특히 장마가 잦은 우리나라 기상 조건상 신재생에너지 효율성이 기대만큼 따라주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신재생에너지 인프라를 확대하겠다는 방향성은 공감하나, 앞으로 급증할 태양광 등을 통해 2050년까지 목표로하는 전력을 생산할 수 있을 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여기서 생산된 전기를 기업에 저렴하게 공급하는 것도 또 다른 과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2050 탄소중립위원회

대한석유협회는 "탄소중립에 대한 방향성에는 공감한다"면서도 "연료전환과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기술(CCUS) 등 미래기술 개발과 상용화까지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되고 불확실성도 크다"고 지적했다.


이어 "시나리오대로 이행시 가동률 감소나 경쟁력 약화가 우려된다"면서 "무리한 감축보다 국익과 여건에 맞는 유연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바이오, 수소 원료를 활용한 나프타 전환 방안도 아직까지 초기 단계이므로 기업이 적극적으로 나서기 위해서는 관련 법안 등을 제정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탄소위가 제시한 CCUS(탄소 포집·저장·활용)에 있어서도 적잖은 우려를 표했다. CCS는 화석연료 기반의 산업에서 배출되는 CO₂를 흡수해 저장하는 기술이며, CCU는 이를 활용가치가 높은 유용한 물질로 전환하는 기술을 말한다.


탄소위는 시나리오 초안을 통해 1안에서 9500만t, 2안 8500만t, 3안 5790만t을 흡수·처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현대오일뱅크, 롯데케미칼, SK이노베이션 등이 연관 기술 개발에 뛰어들고 있지만 사업화까지는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는 진단이다.


업계 관계자는 "CCUS의 경우 단일 기업 역량으로는 사업화가 힘들기 때문에 정부가 관련 국가들과 적극적으로 협업할 필요가 있다"면서 "원천기술 개발을 위한 정부 차원의 장기적인 투자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업계는 이 같은 우려와 부작용에 대한 깊은 논의 없이 탄소중립 정책을 무리하게 추진할 경우, 기존 정유·석화 산업 경쟁력이 약화되면서 관련 전방 산업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5일 논평을 통해 "제조업 위주의 산업구조를 가진 우리나라에서 무리한 목표를 설정할 경우, 일자리 감소와 제품의 국제 경쟁력 저하가 우려된다"고 강조했다.

조인영 기자 (ciy810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