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코로나 직격탄 맞은 서비스업, 대출 부실 경고등

부광우 기자 (boo0731@dailian.co.kr)
입력 2021.06.17 06:00
수정 2021.06.17 11:20

5대銀 관련 고정이하여신 8000억원 돌파

자영업자 한계 봉착…금융 리스크 현실로

국내 5대 은행 서비스업 대출 고정이하여신 추이.ⓒ데일리안 부광우 기자

국내 5대 은행들이 서비스업 기업들에게 내준 대출에서 발생한 부실 규모가 1년 새 2000억원 가까이 불어나면서 8000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 사태 이후 정부가 실시하고 있는 소상공인 금융지원 정책으로 기업대출 전반의 부실이 억제되는 와중에도, 자영업자가 몰려 있는 서비스업 대출의 질은 유독 빠르게 악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려가 커지고 있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개 은행들이 보유한 서비스업 관련 기업대출 중 고정이하여신으로 분류된 금액은 총 872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2%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고정이하여신은 금융사가 내준 여신에서 3개월 넘게 연체된 대출을 가리키는 말로, 통상 부실채권을 분류할 때 잣대로 쓰인다. 금융사들은 대출 자산을 건전성에 따라 ▲정상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등 다섯 단계로 나누는데 이중 고정과 회수의문, 추정손실에 속하는 부분을 묶어 고정이하여신이라 부른다.


은행별로 보면 흐름은 다소 엇갈렸다. 농협은행의 서비스업 대출 고정이하여신은 2827억원으로 같은 기간 대비 64.1% 급증하며 최대를 기록했다. 우리은행 역시 1567억원으로, 국민은행도 1400억원으로 각각 50.5%와 39.0%씩 해당 액수가 증가했다. 반면 하나은행은 1085억원으로, 신한은행은 1397억원으로 각각 15.0%와 4.1%씩 서비스업 대출 고정이하여신이 감소했다.


부실 조짐이 일고 있는 서비스업과 달리 은행 기업대출 전체로 보면 리스크는 오히려 예전보다 축소된 모습이다. 실제로 조사 대상 은행들의 기업대출에서 발생한 고정이하여신은 서비스업을 포함해도 10.5%나 줄어든 3조5791억원을 나타냈다.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기업대출의 질이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배경에는 정책적 효과가 자리하고 있다. 은행들은 금융당국의 요구에 따라 지난해 2월부터 코로나19 피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을 상대로 대출 만기를 연장하고 이자 상환을 유예해주는 지원 방안을 시행 중이다. 당장 원금이나 이자를 갚기 어려워 연체로 이어질 수 있었던 대출이 수면 아래로 눌려 있다는 의미다.


◆코로나發 내수 시장 충격 본격화


결국 이런 금융지원에도 불구하고 서비스업에서 만큼은 대출 부실이 억제되지 못하고 도리어 확산되고 있다는 뜻이다. 특히 서비스업은 대기업에 비해 경영 여건이 열악한 소규모 자영업자들이 대거 몰려 있는 업종이다. 대출 관리를 둘러싼 걱정이 커질 수밖에 없는 이유다.


금융권에서는 지난해 코로나19가 내수 시장에 미친 충격이 이제 본격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코로나19 장기화 속에서 계속된 사회적 거리두기 등으로 자영업자들이 받은 타격이 금융 리스크로 옮겨가고 있다는 해석이다.


국내에서 코로나19가 본격 기승을 부리기 시작한 직후인 지난해 3~4월 서비스업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48까지 곤두박질치며 두 달 연속으로 역대 최저치에 머무른 바 있다. BSI는 자금사정에 대해 기업이 인식하고 있는 전망을 지수화한 것으로, 기준치인 100보다 낮을수록 이를 비관적으로 여기고 있는 기업이 낙관하는 곳보다 많다는 뜻이다. 올해 5월 들어 서비스업 BSI는 82까지 회복됐지만, 관련 사업자들의 금융비용 부담은 이제 본격화하고 있다는 얘기다.


금융권 관계자는 "정책적 금융지원이 끝나지 않은 가운데 자영업자들이 많은 서비스업에서부터 염려했던 대출 부실이 현실화하고 있는 만큼, 선제적인 여신 건전성 관리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부광우 기자 (boo073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