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훈의 챕터투] 키움 히어로즈, 강정호 품으면 못 큰다
입력 2020.06.27 07:00
수정 2020.06.27 12:02
강정호 안으면 날선 여론 더 악화..스폰서 키움증권 이미지 큰 타격
든든한 모기업 없는 자립형 구단 히어로즈, 더 크기 위해 조속 매듭
히어로즈는 2008년 1월, 현대 유니콘스 선수단과 프런트를 흡수해 창단한 KBO리그 역사상 최초의 자립형 구단이다.
모기업 지원 방식이 아닌 스폰서십 운영이라는 특징을 안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눈길을 모은 것이 히어로즈 구단명 앞에 붙는 ‘네이밍 스폰’ 계약이다.
첫 번째 네이밍 스폰서 우리담배와 일찌감치 갈라선 뒤 2008년 8월부터 2010년 1월까지는 히어로즈라는 이름만으로 버텼다. 마침내 넥센 타이어와 계약(2010년 2월)해 손꼽아 기다렸던 새 스폰서를 얻었지만 또 헤어졌다. 넥센 타이어는 기대 이상의 홍보 효과를 누리면서도 히어로즈를 둘러싼 부정적 뉴스로 고민했던 것이 사실이다.
큰 어려움에 봉착했던 히어로즈는 다행히 지난해 1월 키움증권을 맞이했다. 키움증권은 2019년부터 히어로즈와 메인스폰서 계약(5년 총액 500억원)을 맺었다.
키움 히어로즈는 키움증권 기대에 부응하듯, 계약 첫 해인 2019시즌에 한국시리즈까지 진출했다. 두산 베어스에 져 한국시리즈 정상 등극은 실패했지만, 박병호-이정후-김하성 등 스타들의 활약으로 한국시리즈까지 올라간 키움 히어로즈의 가치는 높아졌다. 네이밍 스폰서인 키움증권도 톡톡히 그 효과를 누렸다.
그러나 지난해 말 이장석 전 대표 옥중 경영 의혹 등 구단 수뇌부를 둘러싼 문제로 키움증권은 불편했다. 기대 이상의 성적을 올린 해에 키움증권에 상처를 안긴 키움 히어로즈가 이번에는 ‘음주운전 삼진아웃’ 강정호 폭탄을 들게 됐다.
지난 23일 강정호는 공식 기자회견까지 열고 "구단 자체 징계도 수용하겠다"고 밝힌 만큼, 강정호의 국내 보류권을 가진 키움 히어로즈의 선택만 남은 상태다. KBO로부터 받은 1년 징계를 마친 뒤 소속팀 선수로 뛰게 해도 규정상으로는 전혀 문제가 없지만 청와대 국민청원에까지 쏟아졌던 날선 여론의 반응은 네이밍 스폰서 키움증권에도 치명타가 될 수 있다.
KBO리그나 야구팬이 일반 대중들도 “세 번이나 음주운전이 적발된 선수다. 솜방망이 징계를 받은 것도 이해가 안 되는데 유소년 교육 등을 내세우며 야구판으로 돌아오려고 한다는 것을 도통 이해할 수 없다”고 말한다. 고객과 밀접하게 접촉하는 키움증권으로서는 이런 여론이 더 큰 부담이다.
첫 네이밍 스폰서를 잃고 힘들었던 시기를 잊어서는 안 된다. 든든한 모그룹을 업고 있는 다른 구단들과 히어로즈는 구조가 다르다. 가뜩이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로 인한 무관중 체제로 구단들의 수익이 악화된 상황이다.
무더위에 더 강한 키움 히어로즈는 올해도 6월 가파른 상승세로 우승 후보로 떠올랐다. 외국인선수 2명이 정상적으로 자리해 완전체가 된다면 'V1'도 노릴 수 있는 좋은 환경이다. KBO리그 유일의 자립형 구단으로서 더 높은 자리에 오르려면 강정호 문제를 조속히 떨쳐내야 한다. 키움 히어로즈가 강정호 문제를 키우면 못 큰다. 일그러진 히어로즈가 되지 않기를 야구팬들은 바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