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반복되는 '향후 2주의 중요성'…이유는?

강현태 기자 (trustme@dailian.co.kr)
입력 2020.03.17 05:10
수정 2020.03.16 22:10

백신·치료제 없는 상황에선 '환자 연결고리' 끊어야

잠복기까지 감안하면 향후 2주 확산 여부가 중요

일각에선 사회적 거리두기 관련 '미세조정' 필요성 제기

"저번 주에도 1~2주가 고비라더니"

"다음 주에 또 2주 타령할 듯…뭐가 달라졌나?"


코로나19 국면이 본격화한 지난달 말부터 '향후 2주의 중요성'이 반복적으로 제기돼 피로감을 호소하는 이들이 적잖다. 하지만 이렇다 할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는 상황에선 사회적 거리두기를 바탕으로 전파 가능성을 최소화하며 확산 동향을 파악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바이러스 방역의 최우선 목표 중 하나는 '기초재생산지수'를 낮추는 데 있다. 기초재생산지수란 한 명의 감염자가 평균 몇 명에게 바이러스를 전파하는지 숫자로 표현한 지수다. 만약 해당 지수가 2라면 환자 1명이 평균 2명에게 바이러스를 옮긴다는 뜻이다.


방역 당국은 코로나19 환자 1명이 평균 2~4명을 감염시키는 것으로 보고 있다. 치료제나 백신이 없다는 점을 감안하면 결국 환자와 비환자의 연결고리를 끊는 게 현재로선 최선의 대응이라는 평가다. 환자가 급증한 이탈리아가 '전국 봉쇄령'을 내린 것 역시 같은 맥락이라는 지적이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부본부장은 앞서 "해외사례를 보면 사회적 거리두기라는 표현이 무색할 정도로 '차단'에 준한 대책을 쓴다"며 "외국도 기초재생산지수나 각국 상황을 통해 국민 사이에서 얼마나 (환자가) 발생할지 예측치를 가지고 방역 정책을 펴고 있다. 백신으로 항체를 강제 생성하는 게 아니라면, 사회적 거리두기‧개인위생 지키기 등을 철저히 유지하는 게 지역사회 전파를 막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문제는 코로나19의 잠복기다. 일반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등의 방역대응 효과를 확인하려면 2주가량 시간이 필요하다. 일례로 지난달 29일 741명에 달했던 대구지역 일별 신규환자 규모는 열흘이 지나 두자릿수로 줄었다.


방역 당국 및 전문가들은 신천지 교인 전수조사 과정에서 대구 시민들이 사회적 거리두기 캠페인에 적극 참여해 확산세가 누그러졌다고 평가하고 있다. 아울러 대구‧경북 이외 지역에서 감염자가 크게 늘어나지 않은 데는 전국적 캠페인 동참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16일 브리핑에서 "일부 콜센터 같은 밀폐된 사업장 그리고 종교행사를 통한 집단시설 또는 PC방‧노래방을 통한 집단발병들이 보고되고 있다"면서도 "3주간 국민들이 적극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에 참여해 주셔서 대구·경북을 제외한 나머지 시도에서 환자가 급격하게 증가하지 않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지역‧분야별 유연 대응 필요하다는 지적도


다만 일각에선 사회적 거리두기 캠페인에 대한 미세조정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향후 2주 간 방역이 중요하다는 데는 이견이 없지만, '잠시 멈춤'이라는 캠페인 취지에 맞게 지역별·분야별로 관련 정책을 유연하게 운용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최재욱 고려대학교 의과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학교 폐쇄·직장 폐쇄·직장 재택근무·자가격리 등을 언급하며 "사회적 거리두기에도 여러 가지 방식이 있다. 선택적으로 어떤 사회적 거리두기 방식을 계속할 것인지, 어느 시점에서 (강도를) 줄여야 할 것인지 등을 전문가들과 방역당국이 경제적 파급효과와 실제적인 방역효과 등을 감안해 결정할 시점이 왔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이어 "사회적 거리두기는 일정 시간이 지나면 효과가 없어진다"면서 "보통 4주에서 8주를 최대기간으로 본다. 직장 폐쇄의 경우 자칫하면 경제가 붕괴될 수 있다. 이런 점을 충분히 고려해서 선택적으로 세심한 사회적 거리두기의 방식을 고민해야 할 상황"이라고 밝혔다.

강현태 기자 (trustm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