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창수 전경련 회장 "굳건한 한미동맹으로 양국 경제협력 강화"

이홍석 기자
입력 2019.10.11 07:00
수정 2019.10.11 09:01

한미재계회의 위원장 자격으로 사절단 이끌고 총회 참석

무역확장법 232조 등 한미통상현안 해소 방안 등 논의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왼쪽 일곱번째)을 비롯한 사절단이 10일(현지시간) 미국 상무부를 방문해 이안 스테프(왼쪽 여덟번째) 부차관보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전국경제인연합회

한미재계회의 위원장 자격으로 사절단 이끌고 총회 참석
무역확장법 232조 등 한미통상현안 해소 방안 등 논의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이 굳건한 한·미 동맹으로 양국 경제협력 강화를 도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 정부가 무역확장법 232조 적용으로 한국산 자동차에 관세를 부과하려는 움직임에 대해서 강한 우려를 표명했다.

허창수 전경련 회장은 10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이뤄진 상무부 면담에서 "최근 한국기업이 미국 내 대규모 투자와 고용창출을 일궈내는 등 한·미 경제협력 강화를 도모하는 이 시기에 무역확장법 232조를 통한 한국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부과는 양국 모두에 이롭지 않다”며 232조의 적용 제외를 강력히 요청했다.

허 회장은 이어 “대외의존도가 높고 자동차가 핵심 수출품인 한국에 큰 손실이 될 것"이라면서도 "미국 입장에서도 한국자동차 기업이 고용하고 있는 미국 현지 일자리가 위태로울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미재계회의 위원장을 맡고 있는 그는 10일과 11일 양일간 미국 워싱턴 D.C. 미 상의 본사에서 열리는 '제 31차 한미재계회의 총회' 참석차 20여명으로 구성된 전경련 사절단을 이끌고 미국을 방문했다.

허 회장은 10일 저녁 열린 한미재계회의 환영리셉션에서도 이같은 기조의 발언을 이어갔다.

그는 "현재 우리 재계는 미·중간 무역 마찰과 한·일간 갈등 등으로 커다란 불확실성에 직면해 있다”며 “특히 한·일간 정치적 분쟁으로 인해 한·미·일 협력 균열과 한미동맹 약화까지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허 회장은 "이럴 때일수록 한·미 양국이 교류의 지평을 넓혀 굳건한 한·미동맹에 힘을 실어주고 건실한 경제협력도 이뤄가기를 바란다”며 무역확장법 232조 적용 제외를 통한 경제협력 강화를 간접적으로 내비쳤다.

그는 11일 열리는 제 31차 한미재계회의 총회에서도 개회사를 통해 한·미 양국 위원에게 이러한 한·미동맹 및 경협 강화 메시지를 전달할 예정이다.

전경련 사절단은 이번 회의에서 ▲무역확장법 232조 등 한미통상현안 해소 방안 ▲북핵·한일분쟁 등 동북아 지정학 리스크 점검 ▲혁신성장을 위한 양국 경제계 협력과제 등에 대해 논의한다.

전경련 사절단은 이번 총회가 열리기 전에 먼저 미국 국무부와 상무부 등 행정부처와 주요 싱크탱크를 예방했다.

10일 이안 스테프 미국 상무부 부차관보와와 데이비드 밀 국무부 부차관보와의 잇따른 면담을 통해 통상·안보 관련 한국 경제계가 겪는 어려움을 전달했다. 특히 상무부에는 무역확장법 232조 관련 우리 자동차의 관세 부과 관련 우려를 중점적으로 전달했다.

미국이 한국산 자동차·자동차부품에 관세를 부과하게 되면 한국 자동차 산업에 직격탄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전경련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 지난 1월 발표한 연구자료에 따르면 최대 98억달러의 무역 손실을 입게 되고 고용은 최대 약 10만명 가량 감소하게 된다.

자동차에 232조 관세가 전면 부과 된다면 이미 수입량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철강 산업의 선례보다도 더 큰 규모의 충격이 예상된다는 것이다. 자동차 및 부품 수출 합계가 한국 수출의 약 10%를 차지하고 그 중 대미수출 비중이 약 30%인 것을 감안하면 자동차 관세가 철강 수입규제 보다 파급력이 크기 때문이다.

데이비드 밀 국무부 통상 담당 부차관보와의 면담에서는 북핵·한일분쟁 등 최근 동북아의 지정학적 리스크 관련 대응협력을 요청하기도 했다. 특히 한·일갈등이 격화되는 상황이 미국의 국익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점을 강조하며 사태가 조속히 마무리될 수 있도록 함께 협력해줄 것을 요청했다.

허창수 전경련 회장은 “미국이 구상하고 있는 인도-태평양 전략에서 한일 공조는 필수적이며 경제적 관점에서도 글로벌 밸류체인에서 한·미·일 공조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미 행정부 면담에 이어 사절단은 미국외교협회(CFR)·애틀랜틱카운슬(Atlantic Council)·헤리티지재단 등의 싱크탱크를 방문해 한·미관계와 양국 통상 및 투자 관련 우리 입장을 전달했다.

전경련 사절단은 한미재계회의 총회에서도 공동성명서를 통해 한국의 입장을 전달할 예정이다.

11월로 결정이 유예된 무역확장법 232조의 한국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 부과 대상에서 한국을 확실하게 제외해줄 것을 요청하는 한편, 미국의 한국산 제품에 대한 반덤핑, 상계관세 등 직접적인 수입규제 조치를 줄여나갈 것을 주문한다.

또 한반도를 둘러싼 지정학적 리스크가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양국 경협의 밑바탕이 되는 한미동맹에 균열이 가지 않도록 양국 정부에 요청할 예정이다.

제 31차 한미재계회의 총회에는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 김희용 동양물산기업 회장과 미국측 데이비드 코다니 Cigna CEO를 비롯, 해리 해리스 주한미국대사 등 초청연사와 한미 양국 주요 기업 및 전문가 약 60여 명이 참석한다.

또 이날 회의에는 주요 전·현직 미 정부인사도 다수 참석할 예정이다. 해리 해리스 주한미국대사가 기조연설에 나서는 것을 비롯, 웬디 커틀러 전 미국 무역대표부 부대표, 마크 리퍼트 전 주한미국대사, 캐슬린 스티븐스 전 주한미국대사 등도 주제발표에 참여한다.

전경련은 "이같은 미국 정부 주요 전현직 인사들의 적극적 참여는 한국을 둘러싼 지정학적 리스크의 심각성에 대한 공감에서 비롯된 것으로 풀이된다"고 밝혔다.

이홍석 기자 (redston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