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눈] '유승민·안철수 신당', 제2신민당 돌풍 일으키려면

송오미 기자
입력 2019.09.27 11:00
수정 2019.09.27 15:15

YS, 동교동계와 지분 절반 나누는 통큰 결단

신당을 원하는자, '파격제안' 무게를 견뎌야

YS, 동교동계와 지분 절반 나누는 통큰 결단
신당을 원하는자, '파격제안' 무게를 견뎌야


유승민 바른미래당 의원이 1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청와대 분수대에서 의원총회를 갖고 발언을 하고 있다. ⓒ데일리안 류영주 기자

내년 총선을 앞두고 '유승민·안철수 신당'이 만들어질 것이라는 목소리가 정치권 안팎으로 조심스레 고개를 들고 있다. 각자 따로 신당을 창당할 것이라는 가능성도 제기된다.

당권파·퇴진파 간의 바른미래당 내분과 지지하는 정당이 없는 '무당층(無黨層)' 증가로 인한 '제3지대 세력' 결집의 필요성 등 다양한 이유가 있을 것이다.

정당사에서 신당 창당 성공에 대한 이야기가 나올 때 빠지지 않고 나오는 이야기가 있다. '신한민주당(신민당) 돌풍'이다.

1985년 2월 12일 총선에서 창당 한 달도 안 된 신당이 돌풍을 일으키며 제1야당으로 등극한 기적같은 일을 일컫는 말이다. '선명 야당'을 내세운 신민당은 67석을 얻어 35석을 얻은 관제야당 민주한국당(민한당)을 가뿐히 눌렀다.

신민당의 산파 역할을 한 것은 '민주화추진협의회(민추협)'였다. 군정종식과 민주화에 대한 열망을 담은 민추협은 1984년 5월 18일 김영삼(YS) 전 대통령의 상도동계와 김대중(DJ) 전 대통령의 동교동계가 의기투합해 결성됐다.

다만 이 과정에서 미국 망명 중이던 DJ는 크게 반대했다고 한다. 자신이 국내에 없는 사이 동교동계 조직이 상도동계로 흡수될 것을 우려해서였다. 우여곡절 끝에 YS와 DJ는 공동의장으로 취임했고, 미국에 있던 DJ를 대신해 DJ 최측근 김상현 전 의원이 공동의장 권한대행을 맡게 된다.

이를 놓고 당시 상도동계에선 최형우·김동영 전 의원 등이 "(김상현 전 의원이) 어떻게 YS와 같은 급이 될 수 있느냐"고 반발했다고 한다. 그러나 YS는 "(급 차별) 그런 거 없다"며 오히려 상도동계를 설득해 반발을 무마시켰다. YS의 '통 큰' 리더십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내부 권력 투쟁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민추협 지분도 절반씩 나눴다. 당직뿐만 아니라 최고의결기구 운영위원 자리(10명)도 상도동계와 동교동계가 절반씩 나눠 가졌다.

이같은 민추협의 분위기는 신민당을 창당하고 나서도 이어진다. YS는 자신의 정치적 본거지라고 할 수 있는 마산에 당시 동교동계였던 강삼재 전 의원을 공천하고, 부친 김홍조옹을 마산으로 보내 강 전 의원을 돕게 한다. 이 또한 '통 큰' 결단이라고 할 수 있다.

'유승민·안철수' 당이든, 유승민당이든, 안철수당이든, '제3지대 신당'이든 실제 창당 성사 여부와 규모, 영향력 등을 예단하긴 어렵다. 그러나 창당을 마음에 품고 있는 자라면 YS 정도의 통 큰 배포와 결단력을 각오해야 할 것이다.

정치적 이해관계와 계산을 먼저 따지기 보다는 야권에서 대권주자로 거론되고 있는 오세훈·남경필·원희룡·홍정욱 등에게 파격적인 제안을 내놓으며 함께 손잡자고 할 정도의 배포와 결단력이다.

최근에 지지하는 정당이 없는 무당층 비율이 40%에 달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조국 사태'에 국민의 분노가 극에 달하지만 외면하는 더불어민주당도 싫고, 이 분노를 제대로 담아내지 못하는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도 싫다는 국민들이 40%나 된다는 것이다.

YS는 회고록에서 신민당 창당 과정을 언급하면서 "국민들은 정치에 무관심하나 궁금한 것도 많고 답답하고 불만스럽다. 그러나 야당도 언론도 제 구실을 안 하니까 국민들이 체념해 버린 것이다. 잠복해 있는 정치 욕구는 폭발성을 지니고 있다. 정치가 회복할 가망이 보이면 폭발한다. 선거 투쟁으로 뇌관에 불을 붙일 수 있다는 게 나의 판단이었다"고 말했다.

40% 국민들의 '잠복해 있는 정치 욕구'를 담아낼 수 있는 신당 창당이 이뤄질 수 있을지, 과연 이 시대의 YS라 할 수 있는 배포 큰 정치인이 지금의 정치권에 있는지 지켜볼 일이다.

송오미 기자 (sfironman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