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귀촌 유턴형이 대세…작목선택 등 지원강화 필요

이소희 기자
입력 2019.03.11 15:10
수정 2019.03.11 15:13

농식품부, 2018년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 발표…농촌 회귀현상 두드러져

농식품부, 2018년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 발표…농촌 회귀현상 두드러져

귀농·귀촌의 경우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생활 후 연고가 있는 농촌으로 이주하는 유턴(U-Turn) 경향이 가장 큰 것(귀농53.0%, 귀촌37.4%)으로 조사됐다.

연고가 없는 농촌으로의 이주하는 비중(귀농19.2%, 귀촌18.5%)까지 포함하면 농촌에 연고가 있거나 경험이 있는 사람이 다시 농촌으로 회귀하는 현상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귀농․귀촌가구를 대상으로 귀농․귀촌 유형, 귀농․귀촌 이유, 소득, 주거형태, 경영여건, 지역융화 등을 포함하는 귀농․귀촌 실태를 조사한 결과다.

ⓒ농식품부

조사는 ㈜한국갤럽을 통해 최근 5년간(2013~2017년) 귀농․귀촌한 2507가구(귀농 1257, 귀촌 1250)를 대상으로 지난해 10월부터 올 2월까지 직접 방문조사를 실시했으며, 표준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8%p다.

귀농·귀촌의 이유로는 자연환경, 정서적 여유, 농업의 비전 등 대부분 자발적인 이유로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농의 경우, 자연환경이 좋아서(26.1%), 농업의 비전과 발전 가능성(17.9%), 도시생활의 회의(14.4%), 가족 등과 가까운 곳에서 살기 위해(10.4%), 본인․가족의 건강(10.4%), 실직이나 사업 실패(5.6%) 등의 이유였다.

특히 40세 미만 청년층은 농업의 비전과 발전가능성(29.0%), 가업을 승계하기 위해(18.6%) 도시생활의 회의(16.7%), 자연환경이 좋아서(10.2%) 순으로 나타났고, 중장년층은 자연환경이 좋아서(28.0%), 농업의 비전과 발전가능성(16.6%), 도시생활의 회의(14.1%), 본인이나 가족의 건강(10.8%) 순으로 조사됐다.

귀촌은 자연환경이 좋아서(20.4%), 가족 등과 가까이 살기 위해(16.4%), 정서적인 여유(13.8%), 도시생활 회의(13.6%), 본인․가족의 건강(11.9%), 실직이나 사업 실패(7.8%) 순이었다.

청년층은 가족 등과 가까이 살기 위해(22.5%), 정서적인 여유(14.7%), 자연환경이 좋아서(13.7%), 도시생활 회의(13.3%) 순이었고, 중장년층은 자연환경이 좋아서(25.8%), 본인이나 가족의 건강(14.9%), 도시생활 회의(13.9%), 정서적인 여유(13.1%) 순으로 나타났다.

귀농·귀촌에 대한 만족도로는 10가구 중 6가구(귀농 60.5%, 귀촌 63.8%)가 귀농․귀촌 생활에 전반적으로 만족했으며, 3가구(32.5%, 33.0%)는 보통, 1가구(7.0%, 3.2%)는 불만족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그 중 불만족으로 응답한 가구의 주요 불만족 이유는 귀농은 자금부족(30.0%), 영농기술․경험부족(23.7%) 순으로 높았고, 귀촌은 영농기술․경험부족(53.0%), 자금부족(29.1%) 순으로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귀농의 준비기간은 평균 27.5개월로 조사돼, 사전에 많은 준비 기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사대상 귀촌 가구의 19.7%가 귀촌 이후 5년 이내에 농업으로 유입됐다.

소득과 관련해서는 귀농 전 평균 가구소득은 4232만원이었고, 귀농 1년차에는 2319만원에서 5년차에 이르러 3898만원까지 회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농 5년차 평균소득은 농가 평균소득 3824만원을 상회하는 결과다.

ⓒ농식품부

귀농 가구의 주재배 작목은 비중 면에서 과수(23.2%), 노지채소(19.2%), 시설채소(14.9%), 논벼(14.3%), 특작·약용(9.8%), 서류(6.1%), 두류(4.4%), 축산(2.5%), 맥류(1.7%), 화훼(1.7%) 순이었으며, 선택이유로는 재배의 용이성(43.1%), 높은 소득(19.7), 주변인 권유(14.6), 지역 특화작목(13.3) 순이었다.

귀농 가구 중 43.1%는 농업소득 부족 등의 이유로 농업 외의 경제활동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귀촌 가구의 87.2%가 직장 취업, 자영업, 농업 등으로 경제활동을 수행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월 평균 생활비는 귀농가구 196만원, 귀촌가구 213만원이며 주로 식비, 주거·광열·수도·전기세, 교육비 순으로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농․귀촌인들은 거주지에 확충돼야 하는 공공서비스로는 문화․체육서비스를 가장 많이 꼽았고, 취약계층 일자리와 임신․출산․양육지원, 노인돌봄서비스 등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농식품부는 이 같은 조사결과를 토대로 귀농․귀촌인들의 농촌 정착 시 소득부족 해소를 위한 일자리 지원 강화와 교육, 컨설팅 지원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했다.

특히 귀농․귀촌인들의 귀농․귀촌 전 직업경력과 다양한 기술․자격정보 등을 활용한 지역일자리(새일센터, 고용복지플러스센터 등) 및 창업지원(귀촌인 농산업 창업지원 등) 연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귀농인들이 재배작목 선정 시 재배가 쉽고 높은 소득을 창출할 수 있는 점이 주요 요건으로 고려됨에 따라, 지자체에서는 귀농 정책지원 시 계획단계에서부터 신중한 작목선정 등 사업계획이 적절히 수립․이행될 수 있도록 창업자금지원 및 연계한 맞춤형 컨설팅을 지원해 나갈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다.

이소희 기자 (aswith@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이소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