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 요금할인’ 1년, 가입자 1800만 돌파...이통사는 ‘울상’

이호연 기자
입력 2018.09.23 06:00
수정 2018.09.23 10:11

전체 요금할인 가입자 2350만, 최대 2조8000억 할인

이통사 “단말기 출고가 상승, 통신비 인하 효과 상쇄”

통신3사 로고가 보이는 한 판매점. ⓒ 연합뉴스

전체 요금할인 가입자 2350만, 최대 2조8000억 할인
이통사 “단말기 출고가 상승, 통신비 인하 효과 상쇄”


1년전 도입한 25% 선택약정할인(요금할인) 가입자가 1800만명을 넘어선 가운데, 이통사의 수익성 악화 우려도 지속되고 있다. 여기에 프리미엄 폰의 출고가가 상승하며 통신비 인하 효과마저 상쇄, 엎친데 덮친격이다.

23일 정부가 가계통신비 정책 일환으로 2017년 9월 15일부터 도입한 25% 요금할인 가입자가 1800만명을 넘어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자료에 딸면 25% 요금할인 가입자는 올해 1월 566만명에서 8월말 1768만명까지 급증했다. 기존 20% 할인을 유지하고 있는 고객까지 합하면 전체 요금할인 가입자 규모는 2350만명에 달한다.

이중 프리미엄 스마트폰 구매고객의 선택약정 할인 가입 비중은 90%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갤럭시노트9, 신형 아이폰 구매고객을 중심으로 선택약정 가입자 수는 지속 상승할 전망이다.

업계와 정부는 요금할인 가입자가 받게되는 할인 총액 규모를 2조7000억~2조8000억원에 육박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그러나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는 난색을 표하고 있다. 요금할인은 비용으로 취급되는 ‘공시지원금’과 달리 회계상에서 매출 감소로 직결된다. 기업 입장에서는 매출 규모가 축소되므로 바람직한 상황은 아닌 것이다.

실제 통신3사의 지난 2분기 합산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10%, 가입자당 월평균매출액(ARPU)는 8% 가까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지난 6월 리포트를 통해 SK텔레콤과 KT의 신용 지표가 더욱 악화될 것이라는 전망도 내놓았다. 보편요금제 등 정부의 가계통신비 인하 정책과 최근 이통3사의 자율적 요금개편으로 단기적인 수익성 악화 효과는 지속될 전망이다.

일각에서는 25% 요금할인효과에 대한 실효성 부분도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특히 정부가 통신비 인하를 이통사에만 전가한다는 지적도 거세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2분기 소비자 물가지수에 따르면 통신물가지수는 2017년까지 100을 넘었지만 올해 1분기 99.87 이하로 하락중이다. 통신 물가지수는 크게 통신 서비스요금과 통신장비비용으로 구성이 되는데 통신서비스물가만 별도로 살펴보면 1분기 99.56, 2분기 98.92로 하락폭이 더욱 커졌다.

이를 두고 통신서비스 비용의 하락이 선택약정할인 상향에 의한 효과라는 분석이 나오는 가운데, 반면 통신장비물가는 1분기 101.52, 2분기 104.86 등으로 지속 상승하고 있어 이는 단말기 출고가 상승 때문이 아니냐는 분석이다. 지난 5월 통계청이 공개한 2017년 가계지출 현황에서도 가구 당 통신장비 구입비용은 전년 대비 104.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통신서비스 비용(1.8%) 대비 압도적으로 높았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1년간 출시된 주요 플래그십 스마트폰 출고가를 보면 100만원은 훌쩍 넘어서고 있다”며 “이통사가 요금할인을 시행해도 단말기 출고가가 부담하며, 고객들이 실제 지급하는 요금 고지서 비용은 오히려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의 경우 갤럭시노트8 64GB 109만4500원, 256GB 125만4000원으로 출시됐다. 갤럭시S9 플러스는 105만6000원부터 책정됐으며, 지난 8월 출시된 갤럭시노트9 512GB 모델은 135만원대 출고가로 역대 가장 비싼 단말 기록을 갱신했다. LG전자 V35씽큐 역시 104만8300원이다. 지난해 출시된 제조된 플래그십 단말의 경우 전년대비 평균 약 10% 상승했다는 분석이다.

애플이 공개한 신형 아이폰의 국내 출고가는 200만원에 달할 전망이다. 프리미엄 라인인 ‘아이폰XS맥스’ 512GB는 1449달러(한화 약 164만원)에 책정됐다. 국내에 들어오면 원달러 환율과 부가세 등으로 205만원 안팎으로 점쳐진다.

이 관계자는 “이통3사의 가계통신비 인하 노력이 단말 출고가 상승에 상쇄됐다”며 “고객이 체감하는 가계통신비 인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단말 출고가 상승을 억제가 병행 되어야 한다”고 꼬집었다.

한편 10월에 진행될 국정감사에서도 출고가 문제가 논의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호연 기자 (mico91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