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새해 대출 ‘고삐’…대출 총량 제한 돌파구 모색

이호연 기자 (mico911@dailian.co.kr)
입력 2025.01.09 13:29
수정 2025.01.09 13:54

당국, ‘페널티’ 예고…신한·하나·우리, 한도 불이익 전망

영업 전략 갈릴 듯…가계 대출 관리 기조에 기업 금융 집중

서울 한 시중은행의 대출창구 안내문. ⓒ 연합뉴스

금융당국이 지난해 가계 대출 증가 목표치를 넘긴 은행에 대해 새해 대출 물량을 줄이는 ‘페널티’를 예고한 가운데 은행들의 새해 대출 영업 전략도 페널티 여부에 따라 갈릴 것으로 예상된다. 가계 대출 관리 기조에 따라 기업 대출에도 더욱 공격적으로 나설 전망이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하나·우리은행을 비롯해 일부 은행들은 올해 대출 관리 목표 한도에서 불이익을 받을 전망이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말 은행들이 제출한 올해 가계 대출 목표치를 토대로 올해 대출 총량 규제 방안을 준비 중이다.


권대영 금융위 사무처장은 지난 7일 진행된 ‘2025년 금융위 업무보고’ 사전 브리핑에서 “당연히 (목표치를) 초과한 은행들에 대해서는 페널티라기 보다는 소통을 통해 어떤 기준을 마련하는 게 필요하다고 본다”며 “못 지킨 만큼 일정 부분을 본인이 하고 싶은 부분에서 줄이는 쪽으로 소통을 해야 하지 않겠냐”고 강조했다.


당초 금융당국은 지난 한 해 가계 빚만 42조가 늘어났다며 가계대출 관리 여부에 따라 은행간 한도 차이를 두겠다고 경고한 바 있다.


일부 시중은행은 지난해 연간 목표치를 초과해 가계대출 잔액을 늘린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권 가계대출은 지난해 4월부터 급증세를 이어오다 8월 9조7000억원으로 증가폭이 폭증하면서 금융당국으로부터 강도 높은 대출규제를 받게 됐다.


지난해 8월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4대 은행 대출 실적은 연초 경영계획을 이미 훌쩍 넘었다. 금감원에 따르면 경영 계획 대비 대출 실적은 우리은행이 376.5%로 가장 높았고 ▲신한은행 155.7% ▲국민은행 145.8% ▲하나은행 131.7% 등의 순으로 높았다. 8월에는 통상 연간 경영 계획 대비 60~80%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적정한 만큼 이들 은행들은 두 배 이상 초과한 수준이었다.


금융당국은 조만간 경영계획을 지키지 못한 은행에 페널티를 부과할 예정이다. 페널티 방식으로는 은행별 평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한도를 30%에서 더 낮추는 방안과 대출 총량을 줄이는 방안 등이 언급되고 있다.


당국은 올해도 가계대출 증가율을 명목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이내로 관리한다는 기조 아래 은행별 대출 한도를 정하고 있다. 올해 명목 성장률 예상치가 3.6~4.0% 수준임을 고려하면 전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 한도는 60조~70조원 내외로 추산된다. 패널티 방식도 이를 고려해 다음달 중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은행권은 올해도 기업대출에서 활로를 모색한다. 올해 대출 총량이 재설정되면서 가계대출 빗장을 풀었지만 대출 관리 기조하에서 이미 제동이 걸린 상황이기 때문이다. 올해 은행권은 월별·분기별 목표치까지 세분화해서 가계 대출 목표치를 설정해야 한다. 7월에는 지금보다 대출 한도를 더 조이는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시행한다.


시중은행들은 연초부터 영업통들을 인사에서 전진 배치하고 우량 기업과 중소상공인을 위한 전문 기업금융 서비스 확대에 나섰다. 국민은행은 SME(기업금융)지점장을 확대 배치하고 기업 대출에 박차를 가한다. 현재 전국에 1명 있는 지점장을 20~30명으로 늘릴 계획이다.


신한은행 본점 영업추진 1그룹의 전략영업부가 영업점 기업대출 거래 지원 범위를 넓힌다. 현장 영업력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다.


하나은행도 소호사업부를 신설해 소상공인 특화 대출에 나선다. 우리은행은 ‘기업금융 재건’을 목표로 내걸고 정진완 우리은행장 진두지휘 아래 움직이고 있다. 수출입 기업을 대상으로 총 5000억원 규모의 금융지원에 나서고 중소기업 특화채널인 비즈프라임센터도 늘릴 방침이다.


업계 관계자는 “올해도 가계대출 영업은 보수적으로 진행돼야 해 전반적으로 대출 한도는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서민·실수요자 계층의 어려움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호연 기자 (mico91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