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MSA, 새해 해양서비스 디지털화·어선 사고 예방 중점

장정욱 기자 (cju@dailian.co.kr)
입력 2025.01.02 08:24
수정 2025.01.02 08:25

2일 시무식 통해 중점 사업 추진 발표

규제 완화·디지털·친환경 연구 선도 등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전경.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 이사장 김준석)은 새해 어선원 안전관리 제도 정착과 대국민 서비스 디지털화 완성 등 안전한 바다 일터 조성과 대국민 편의를 위한 중점 사업을 추진한다고 2일 밝혔다.


김준석 KOMSA 이사장은 2일 오전 세종 본사 2층 대강당에서 열린 2025년 시무식에서 새해 중점 사업 추진 방향을 발표했다.


주요 추진 방향은 ▲어선원 안전관리 제도 정착 ▲대국민 서비스 디지털화 완성 ▲선박검사 선진화와 규제 완화 추진 ▲여객선 안전사고 예방 ▲디지털·친환경 연구 선도로 해사 안전 증진 등 다섯 가지다.


KOMSA는 먼저 3일부터 시행하는 ‘어선안전조업 및 어선원의 안전·보건 증진 등에 관한 법률(이하 어선안전조업법)’에 대비해 제도 안정적인 정착에 주력한다.


개정 어선안전조업법은 5인 이상 승선한 어선에 대한 산업안전보건 업무를 고용노동부에서 해양수산부로 이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를 위해 정부의 어선원 안전보건 관리 이행기관으로서 제도 지원을 위한 전담 인력을 확보하고 조직을 개편해 안정적인 정책 이행 준비를 마쳤다.


KOMSA는 중대 재해 사고조사 기술 지원, 연근해어업 안전 지침서 개정, 위험성 평가 기준 마련 등 세부적인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KOMSA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대국민 서비스 혁신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네이버와 카카오 모빌리티 등 민간 플랫폼과 협력해 여객선 운항 예보, 기상 데이터, 육·해상 대중교통 정보를 통합 제공하는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이를 통해 국민은 실시간 교통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자증서와 전자검인 확대를 포함해 선박검사 신청부터 전자증서 발급까지 모바일 기반으로 처리할 수 있는 원스톱 행정서비스를 완성할 계획이다.


아울러 KOMSA는 선박검사 방식을 효율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인천권과 서남권 스마트 선박안전지원센터에 이어 남해권(통영)에 새로운 센터를 건립한다. 원격검사 서비스를 수상레저기구까지 확대하며, 국가어항 내 검사장을 추가로 운영해 검사 접근성을 높일 방침이다.


여기에 정부가 추진 중인 총허용어획량제도(TAC)에 부합하도록 안전복지 공간 확보 등 어선 톤수 규제 관련 불편 사항을 개선한다. 복원성 확보 등 어선과 어민들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제도 개선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


여객선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지능형 CC(폐쇄회로)TV, 드론 등 첨단기술을 앞세운 여객선 안전관리도 추진한다. 전국 8개 지역(목포, 인천, 군산, 완도, 제주, 포항, 여수, 통영)에 설치한 지능형 CCTV로 운항 상황을 24시간 모니터링한다. 여객선 비상훈련 경진대회 개최 등을 통해 업계의 자율적인 안전관리를 유도해 해양사고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계획이다.


KOMSA는 해양수산분야 디지털화와 탈탄소화에도 앞장선다. 자율운항선박 기술 개발과 상용화를 위한 국제협약 ‘MASS CODE’의 제정 지원과 실증 선박의 안전성 평가 등을 수행한다.


국제해사기구(IMO) 2050 탄소중립 목표에 발맞워 친환경 선박 인증 절차 간소화, 친환경 선박과 기자재 대상 녹색금융 적용을 확대 등을 진행한다.


KOMSA는 전체 해양사고의 41%를 차지하는 어선설비 관련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실시간 어선설비 자가진단 시스템(OBD)을 개발한다. 착용성과 생존성이 크게 향상된 구명조끼를 개발·보급하며 국민 안전을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이어갈 계획이다.


김준석 이사장은 신년사를 통해 “지난해 공단의 디지털 혁신과 대국민 서비스 강화를 통해 국민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다수의 대외 평가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뒀다”고 평가하며 “새해에는 고객 편의 향상을 위한 디지털화된 대국민 서비스를 완성하고 안전한 바다를 만들기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정욱 기자 (cju@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