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5년 이후에도 수원에 계속 산다' 93%
입력 2024.07.09 17:29
수정 2024.07.09 17:29
돋보기로 본 수원특례시민의 삶, '2023수원서베이'
기초지자체 최초 구·동 층화해 2000여명 방문면접조사
세대별·구별 정책 수요 파악 및 시민 체감 정책 제시 활용
수원특례시가 데이터를 근거로 시민 맞춤형 정책 수립을 추진한다. 계층별 세대별 구분을 통해 보다 적합한 정책 마련을 통한 시민 삶의 질 개선을 위해서다.
데이터는 '수원서베이'를 통해 수집된다. 수원시민이 살고 있는 모습과 가치관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고자 수원시정연구원이 지난해 12월13일부터 지난 1월19일까지 약 한 달여간 수원시에 거주하는 18세 이상 시민 2041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했다.
수원서베이는 수원시내 모든 구와 동에 거주하는 주민이 조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다단계층화집락추출 방법으로 표본을 추출해 가구방문면접조사를 실시했다. 응답자들은 일상생활과 경제상황 등 시민의 삶과 실태, 소속감 및 이주계획, 수원시정 인식 및 기대사항까지 총 211개 문항에 응답했다.
수원시와 수원시정연구원이 기초지자체 최초로 시행한 조사다. 국가 또는 광역 단위로 진행하는 기존 사회조사의 한계를 뛰어 넘어 주민의 삶에 밀착된 정책을 제공하기 위한 명확한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수원시는 수원서베이를 연례화함으로써 수원시민의 현재 삶을 근거로 시민이 바라는 삶과 이를 구체화할 행정의 몫이 무엇인지 짚어볼 수 있는 기회를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수원시민의 모습을 그린 '프로파일'
조사 시점 수원시 인구는 123만3424명이었다. 응답자 기준 가구주 연령은 50대가 '26.4%'를 차지했고, '60대(18.9%)'와 '40대(18.6%)'가 비슷한 수치로 나타났다. 가구주 학력은 '대졸 이상'이 49.2%로 가장 높았고, 가구당 평균 가구원 수는 2.34명이었다.
수원 가구의 65.7%는 아파트에 거주하고, 26.6%가 '연립다세대주택', 5.3%는 '단독주택', 2.3%는 '주택 외 기타' 형태로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응답했다. 직업은 '화이트칼라'가 40.8%, '블루칼라' 27.8%, '기타' 24.4%, '관리전문직' 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근로소득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이 75.3%, '없다'고 응답한 사람은 24.7%였다. 소득은 '300만~400만원(20.1%)', '400만~500만원(19.6%)', '500만~600만원(19.7%)' 등이 고르게 분포했다.
응답자들이 수원시에 거주하는 주된 이유는 '가족(32.0%)'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생활여건(22.1%)', '직업(19.2%)', '주택(12.8%)' 등의 순이었다. 전 연령에서 가족이 가장 주된 이유로 나왔으나 30대의 경우 직업 때문에 거주하는 비율이 높았다.
수원시민, 수원에서 행복감 느끼고 만족했다
수원서베이는 수원시민이 체감하는 삶의 질을 확인하기 위해 일상생활 속에서 느끼는 감정과 만족도를 확인했다.
먼저 해당 시점 한 주 동안 느낀 행복감 등을 7점 척도로 측정해 이를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결과, 수원시민의 행복감은 평균 70.0점으로 산출됐다. 연령별로는 40대가 72.0점으로 가장 높고, 30대(71.9점), 20대(71.4점), 50대(70점) 등이 평균을 상회했다. 반면 60대(65.3점)와 70세 이상(66점)은 행복감 점수가 조금 낮았다.
수원시민이 느끼는 영역별 삶의 만족도 조사에서는 생활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67.3점으로 최고치였다. 이어 보건환경(66점), 복지환경(65.9점), 주거환경(65.8점), 경제환경(64.9점) 교육환경(64.3점), 안전환경(64.1점), 사회환경(62.1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8대 영역별 만족도는 4개 구별로 차이가 있었다. 구별 만족도가 가장 높은 영역은 장안구가 보건환경(69.1점), 권선구와 영통구는 생활환경(70.4점), 팔달구는 주거환경(64.3점)이었다. 만족도 평균이 가장 높은 구는 영통구였다.
수원 거주 자부심&향후 거주 의향 '높음'
수원시민들은 수원시에 대해 긍정적인 이미지를 떠올리고, 수원시민으로서의 자부심을 갖고 있으며, 수원시에 계속 거주하기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먼저 수원시를 떠올리면 생각나는 이미지에 대한 질문에는 '호감'에 긍정적으로 답한 사람이 86.9%에 달했다. 이어 '밝은'이 77.4%, '희망적인'은 77.3%, '깨끗한'은 76.8% 등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수원시민으로서 자부심을 느낀다'는 질문에 긍정 응답은 78.5%였으며, 이를 100점 만점으로 환산하면 66.5점으로 분석됐다. 자부심은 거주 기간과 소득 수준에 영향을 받아 '50대', '장안구', '화이트칼라', '소득 700만원 이상', '거주 50년 이상'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시민의 93.8%는 '5년 후에도 수원시에 거주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거주할 의향의 이유로는 '학교·직장·사업장 위치'가 28.0%, '가족·지인 거주'가 20.8%로 주로 꼽혔다. 이어진 이유는 '쾌적한 자연환경' 14.3%, '편리한 생활·문화·교육인프라' 14.1%, '교통수단 편리' 3.9%, '일자리 만족' 1.6% 순이었다.
우선적으로 필요한 정책은 '일자리'와 '주거'
2023 수원서베이 결과는 생애주기와 지역별로 요구하는 정책이 다르다는 점을 확인시켜 준다.
생애주기별로 우선 확대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를 확인한 결과, 정책 수요에 차이가 드러났다. 진로탐색과 가족 형성기에 속하는 청년들은 '주거 및 생활 정책'을 1순위에 꼽고 '일자리 정책'을 2순위로 답했으나, 중년기와 장년기에서는 1순위와 2순위가 뒤집어졌다. 특히 건강관리가 중요한 노년기는 1순위로 '복지 정책'을, 2순위는 '주거 및 생활 정책'을 우선시했다.
정책 수요는 구별로도 차이가 있었다. 4개 구에서 모두 일자리 정책이 최우선 순위로 꼽혔지만, 후순위는 모두 달랐다. 장안구는 '산업 및 경제활성화 정책'과 '일상생활 지원', 권선구는 '복지 정책'과 '보육 및 교육지원 정책'이 필요하다고 분석됐다. 또 팔달구는 '주거 및 생활환경 개선 정책'과 '신체건강 및 보건의료 지원'이, 영통구는 '주거 및 생활환경 개선 정책'과 '일상생활 지원'이 필요 정책으로 꼽혔다.
어려운 사회문제 풀이 위해 시민 의견 '확인'
수원서베이 결과는 각종 사회문제를 수원시에 맞는 정책으로 풀어가기 위해 시민들의 인식을 점검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1인가구 정책이나 저출생 정책 등이 대표적이다.
수원시에서 셋 중 하나 이상을 차지하는 1인 가구는 평균 지속 기간이 6년 3개월로 나타났다. 혼자 생활하면서 불편한 점으로는 '아플 때 응급상황 대처(33.8%)'와 '식사 해결(22.2%)'이 주로 꼽혔는데, '불편한 점이 없다(19.4%)'도 세 번째로 많았다. 삶의 질과 고립감, 복지서비스의 충분성 등의 분야를 다인가구와 비교해 분석함으로써 다양한 정책 지원이 가능하다.
저출생에 대한 시민의 의견도 구했다. 시민들은 저출생의 주 원인으로 '주거비 부담(28.6%)'과 '일-가족 양립 여건 및 환경 미흡(26.4%)'을 크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성별로 저출생 원인을 바라보는 시각은 차이를 보였다. 남성은 주거비 부담을, 여성은 일-가족 양립 여건 환경 미흡에 더 많은 원인이 있다고 인식했다.
뿐만 아니라 수원서베이 결과를 분석해 교통수단별 만족도, 통근과 통학 실태 및 불만족 요인, 안전·공원녹지·문화예술·여가공간 등에 대한 인식과 현황을 확인함으로써 수원시의 정책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김성진 수원시정연구원장은 "2023 수원서베이는 시민의 삶과 직결되는 데이터 수집과 분석을 통해 시민의 수요파악 등 데이터 기반의 정책 수립, 활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며 '이번 조사 결과에 나타난 수원시민의 생활상을 면밀하게 분석해 시정운영과 데이터 기반의 합리적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한편 수원이 준비해 나가야 할 미래를 대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