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숙 방어 친문, '모디 초청장' 공개에도…'셀프초청' 진화 안됐다

김은지 기자 (kimeunji@dailian.co.kr)
입력 2024.06.08 06:00
수정 2024.06.08 10:57

문재인 직접 나서고…金 법적대응키로

도종환 등 간담회 열고 적극 방어에도

'친명' 지도부 침묵·여권 공세 2중고

與 "인도 정부 옆구리 찔러받은 초청장"

문재인 전 대통령의 부인 김정숙 여사가 지난 2018년 11월 7일 인도 타지마할을 방문해 건물 앞에서 독사진을 찍고 있다. ⓒ뉴시스

더불어민주당 친문(친문재인)계 인사들이 김정숙 여사의 인도 방문을 둘러싼 여권의 의혹 제기에 적극적인 방어 모드에 들어갔다. 김정숙 여사가 자신의 2018년 인도방문을 '셀프 초청' 등으로 규정하며 공세를 펴는 여권 관계자들을 상대로 법적 대응에 나서기로 하고, 문재인 전 대통령까지 직접 나서 "치졸한 시비"라 반박하며 논란을 부채질했다.


민주당 당 차원의 대응은 여전히 나오지 않고 있는 가운데, 인도 순방을 둘러싼 논란이 점입가경으로 커지면서 친문과 여당 간 공방은 뜨거워지는 모습이다.


7일 김정숙 여사의 2018년 11월 인도 순방 당시 정부 대표단장이었던 도종환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청와대 부대변인이었던 고민정 최고위원, 청와대 국정상황실장을 지냈던 윤건영 의원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셀프 초청' 논란에 대한 총력 방어전에 나섰다.


도 전 장관은 핵심 쟁점인 김정숙 여사가 가게 된 경위에 대해선 "인도 방문은 2018년 7월 정상회담 때 당시 모디 총리 요청에 따른 것"이라고 주장했다.


현장에서 배포한 팩트체크 입장문에 따르면 인도 측의 요청은 지속적으로 '최고위급을 보내달라는 것'이었으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도종환) 앞으로 온 초청은 UP(우타르 프라데시)주 관광차관이 보낸 것이라는 설명이다. 모디 총리가 요청한 것은 대통령의 방문 및 김정숙 여사 앞으로 보낸 초청장으로 초청 주체의 지위에 차이가 있다는 주장이다.


도 전 장관은 기자간담회에 앞서 CBS라디오에서 모디 총리 명의 서한 초청장을 공개하며 논란 진화에 나서기도 했다. 초청장에는 모디 총리가 "대통령의 인도 방문 기간 중 대한민국의 고위급 대표단이 아요디아 등불 축제에 참석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할 기회가 있었다. 영부인 김정숙 여사와 대표단을 공식 초청하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 여사의 인도 방문을 따뜻하게 환영할 것임을 확언한다"고 한 것으로 돼 있다.


이어 도 전 장관은 간담회에서 "논의를 거듭하면서 사절단으로 김정숙 여사와 문체부 장관이 함께 방문하는 안이 검토됐다"며 "인도에 있는 우리 대사관 직원이 외교부에 '지금 어떻게 되고 있느냐'를 알아보는 과정에서 '김 여사와 장관이 함께 방문하는 안이 비공식적으로 논의가 되고 있는 것 같다'라는 이야기를 듣고, 이 이야기를 인도 외교부에 전했고 인도 외교부는 모디 총리에게 보고했다. 모디 총리가 적극 환영했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즉 국내에서 김 여사 방문안이 검토되던 중 우리 대사관 직원이 이를 인도 외교부에 전해 인도가 김 여사를 초청하게 됐다는 맥락으로 읽힌다. '셀프초청' 논란은 기자간담회를 통한 대대적 방어전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사그라들지 않는 모습이다.


특히나 도 전 의원이 이날 공개한 모디 총리 초청장은 김 여사 인도 방문 불과 '9일 전'인 10월 26일자이다. 이를 두고도 여권에서는 왜 출발하기 9일 전에 김 여사가 초청장을 받게 됐는지에 대한 의구심을 여전히 떨치지 못하는 기류다.


인도 순방과 관련된 친문 인사들에 따르면 초청장은 총 4차 요청을 거쳐 김 여사의 인도행으로 이어졌다.


△2018년 4월 UP(우타르 프라데시)주의 요기 아디티아나트 주총리가 문재인 대통령을 초청하는 공식 초청장을 주인도 대사를 통해 보냈음(1차 요청) △2018년 7월 문재인 대통령의 인도 국빈 방문 당시, 인도 모디 총리가 문재인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중 직접 요청(2차 요청) △2018년 9월 UP주 관광차관 명의로 문체부 장관 앞으로 온 초청장(3차 요청) △2018년 10월 26일(인도 방문 9일 전) 모디 총리 명의의 공식 초청장이 김정숙 여사 앞으로 온 것(4차 요청) 순이다.


도 전 장관은 김 여사가 인도를 가게 된 경위에 대해 "2018년 7월 정상회담 전 주요 인사, 즉 대통령·외교부 장관·대사, 그리고 우리 같으면 안보실 차장이 참여하는 소규모 정상회담에서 방산 등을 논의하다가 11월에 다시 문 전 대통령이 방문해줄 것을 인도 측에서 요청을 했다"고 했다.


이어 "하지만 4개월 뒤에 문 전 대통령이 다시 인도를 방문하는 것은 어려웠고, 11월에는 예산국회가 있으니 총리를 보내기도 어려웠다. 논의를 거듭하면서 사절단으로 김정숙 여사와 문체부 장관이 함께 방문하는 안이 검토됐다"고도 덧붙였다.


국민의힘은 친문계 인사들이 2018년 인도 방문은 인도 정부의 초청에 의한 것이라고 주장한 것에 대해 "전형적으로 옆구리를 찔러받은 초청장으로 '셀프 초청'과 다르지 않다"고 반격했다.


박준태 국민의힘 원내대변인은 "민주당의 해명으로 애초 김 여사 초청 계획이 없었다는 점과 인도 정부의 옆구리를 찔러 초청장을 받은 정황이 선명히 드러났다"고 의구심을 제기했다. 또 "당초 인도 정부의 행사 참석 대상은 도종환 장관이었는데 이 사실을 안 청와대가 인도 정부에 영부인 방문 입장을 전달하고 초청을 유도한 정황이 속속 확인되고 있다"고 했다.


도종환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7일 의원회관에서 열린 김정숙 여사 인도 방문 관련 당시 대표단장 기자간담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뉴시스

김 여사의 인도 방문과 관련 검증 공세를 이어가고 있는 배현진 국민의힘 의원도 "도 전 장관이 드디어 모디 총리의 서신을 공개하면서 타임라인을 공개 완성해 준 것을 환영한다"고 했다.


배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서 김 여사의 방문이 인도의 요청이었단 친문 인사들의 주장을 조목조목 반박하면서 "오늘 도 전 장관이 라디오에 나와 4월에 인도 UP주가 문 전 대통령을 초대했다며, 영부인도 최고위'급'이므로 '혼자' '대신' 가도 된다는 식의 주장을 폈다"고 했다.


이어 "영부인은 선출공직자가 아닌 민간인"이라며 "인도가 모든 비용을 대줬으면 모를까, 대통령 동행이 아닌 영부인 단독 방문이면 문체부가 탄 예산이 아닌 청와대 예산을 쓰거나 자비로 가야 했다. 이희호 여사(김대중 전 대통령 부인)께서 왜 민항기를 타셨겠나"라고 비판했다.


이처럼 친문계와 여권 간 공방이 격화되는 가운데, 민주당 친명(친이재명) 지도부는 김정숙 여사가 수세에 몰린 것과 관련해 여전히 거리를 두는 모습이다. 간담회에 참석한 민형배 민주당 전략기획위원장은 "당에서는 공식 대응하지 않을 것"이라며 "그럴 만한 가치가 전혀 없다고 보기 때문"이라고 딱 잘라 말했다. 민 위원장은 문재인 대통령 재임 시절 청와대에서 자치발전·사회정책비서관을 지냈다.


이와 관련해 이날 오전 민주당 탈당파들이 모인 새로운미래의 이석현 비상대책위원장은 "제1야당이 대응을 안 하고 있으니, 오죽 답답하면 문재인 전 대통령이 직접 나섰겠느냐"라며 "민주당과 조국혁신당은 선거 때만 찾아가지 말고, 힘들 때 지켜주는 의리를 보여달라"라고 촉구했다.


이날 오후 조국혁신당은 강미정 대변인 논평을 통해 윤석열 정부를 조준해 "'글로벌 사우스'의 중추국가인 인도와 외교관계를 포기하려는 것이냐.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초대했는데, 그것을 정쟁의 소재로 삼으니 모디 총리가 곤혹스럽지 않겠느냐. '저 나라는 도대체 뭔가' 생각하지 않겠느냐"라고 물었다.


이어 "문재인 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 뒤에 '최고의 사절단을 보내달라'고 정식 요청했는데, 대한민국의 여당이 초청을 김 여사의 '셀프 관광'으로 둔갑시켜 버렸다"며 "혁신당이 대신 사과를 드리고 싶은 심정"이라고 했다.


다만 '김정숙 논란' 진화에 민주당 일부 친문계 인사들만 나서는 상황이 계속될 경우, '우리나라가 김 여사의 방문 의사를 인도에 먼저 제안해 초청을 유도했으며, 이로 인해 순방에 불필요한 예산이 소요됐다'는 여권발 의혹 공세가 더욱 힘을 받을 전망이다.


한편 윤건영 의원은 김 여사 인도 방문 때 전용기 기내식 비용으로 6292만원을 지출했다는 '호화 기내식' 논란에 대해선 "고정비용이 65.5%를 차지한다"며 "김 여사의 기내식 자체는 4.8%인 105만원"이라고 반박했다.

김은지 기자 (kimeunji@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