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한중일 비즈니스 서밋서 "기업투자는 3국 관계 안전판"
입력 2024.05.28 00:20
수정 2024.05.28 00:20
윤 대통령 "한일중 FTA 협상 재개하자"
기시다 총리 "일한중 FTA, 진솔한 의견 교환"
리창 총리 "경제협력은 중한일 3국 협력 기반"
2025~2026년 한중일 문화교류의 해 지정
한일중 비즈니스 서밋이 4년 5개월 만에 개최됐다.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는 모두 3국 기업인을 격려하면서 민간 경제 협력 중요성과 문화 교류를 강조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27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8차 한일중 비즈니스 서밋'에서 "기업의 투자는 3국 관계의 안전판"이라며 "외국 투자자들이 예측 가능하고 신뢰할 수 있는 비즈니스 환경을 만들기 위해 3국 정부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무역협정과 함께 기후위기·동반성장 등 3국 정부와 기업이 함께 지향해야할 3가지 경제 협력 방향을 제안했다.
그는 먼저 "상호 존중과 신뢰를 바탕으로 역내 교역과 투자를 활성화해야 한다"며 "3국 간 교역 투자 플랫폼인 RCEP의 활용도를 높이는 동시에 2019년 이후 중단된 한일중 FTA 협상을 재개해 경제협력 기반을 업그레이드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한 "3국 모두 주요 에너지 수입국으로서 경제성장과 탄소 감축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며 "원전, 수소, 탄소 포집·활용·저장 등 무탄소 에너지의 강점을 보유한 우리 3국이 함께 힘을 합친다면 글로벌 기후위기를 극복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끌 수 있다"고 했다.
이어 "지난해 10월 한국에서 출범한 무탄소 에너지 연합이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좋은 플랫폼이 될 것"이라며 "한일중 기업들의 적극적인 동참을 기대한다"고 했다.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아시아·아프리카·남아메리카 등의 개발도상국)과의 포용적 동반 성장을 위한 협력 강화도 제시했다. 윤 대통령은 "한일중+X 협력 프레임워크를 통해 사막화 방지, 해양생태계 보존, 플라스틱 오염 감축 등 취약국 지원에 함께 나서야 한다"며 "이러한 공동 협력은 3국의 기업들에게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도 열어줄 것"이라고 했다.
한류 열풍을 언급하면서는 "지금 전 세계를 휩쓸고 있는 한류 열풍은 이제 한일중 미래세대가 함께 만들어가고 있다. K-팝 그룹에서 최고의 기량을 함께 펼치고 있는 한일중 청년들을 보면서 우리 3국 협력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우리 곁에 있다고 생각한다"며 "한일중 경제인들이 힘을 모은다면 우리 3국이 세계를 이끄는 주역이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했다.
윤 대통령 다음으로 연설에 나선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도 "무역, 투자 양면에서 깊은 관계가 있는 일한중 3국에서 RCEP 협정 플러스를 목표로 고차원적 규율을 포함해 미래지향적 일한중 FTA에 대해 진솔한 의견 교환을 해 나가겠다"고 했다.
3국 문화 교류를 강조하면서는 "2025년부터 2년 간을 일한중 문화 교류의 해로 정하기로 합의한 데 따라 문화 교류를 확실하게 추진해 나가겠다"며 "문화 콘텐츠, 그중에서도 디지털 콘텐츠에는 성장을 견인할 큰 가능성이 있다. 정부간 뿐만 아니라 관계 기관과 산업 간의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관련 산업의 공동 발전을 지향하겠다"고 했다.
리창 중국 총리는 "경제협력은 중한일 3국 협력의 튼튼한 기반이다. 많은 기업가들이 3국 경제무역과 각 분야의 협력 교류를 추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발휘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중한일 3국은 문화적으로 서로 통하여 우리 마음이 서로 잘 맞는 이웃이 돼야 한다"며 "문화의 공감대를 통해서 잘 활용하여 이를 이해 촉진, 신뢰 증진, 협력 강화하는 촉매제, 접착제로 삼아서 서로 마음이 통하는 동반자 관계를 만들자"고 했다.
한일중 정상회의를 계기로 열린 이날 행사는 대한상공회의소, 일본 경제단체연합회, 중국 국제무역촉진위원회가 공동으로 주관했다.
이날 행사에는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도쿠라 마사카즈(十倉雅和) 일본 경제단체연합회 회장, 런홍빈 중국 국제무역촉진위원회 회장 등 3국 기업인을 비롯해 240여 명이 참석했다. 정부에서는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조태열 외교부 장관 등이 참석했고, 대통령실에서는 장호진 국가안보실장, 박춘섭 경제수석, 김태효 안보1차장 등이 자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