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3일(금) 오늘,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 WHO 등재

박찬제 기자 (pcjay@dailian.co.kr)
입력 2023.03.24 09:27
수정 2023.03.24 09:29

시 독성물질센터, 19만3686건 독성물질 데이터베이스 구축

서울시, 가칭 '민간사업 지원 지구단위계획' 새롭게 도입

종교시설 내 유휴공간 적극 활용…놀이·돌봄시설 확충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 홈페이지 메인 화면 ⓒ서울시 제공
1.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국내 최초 세계보건기구(WHO) 등재


서울시는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국내 최초로 세계보건기구(WHO)에 등재됐다고 24일 밝혔다.


WHO는 독성물질에 의한 건강상 피해를 예방하고자 중독관리센터 설립과 운영을 권장한다. 현재 95개국 348곳이 WHO 중독관리센터로 등재돼 있다.


우리나라는 관리센터가 설립되기 전인 2021년 8월까지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 중 라트비아, 룩셈부르크와 함께 중독관리센터가 없는 국가로 분류됐다.


시는 이번 WHO 등재를 계기로 한국도 해당 분야에서 국제적 위상을 확보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센터는 지난 1년간 정부와 국내외 기관에서 분산 관리돼 온 유해물질 정보를 일원화해 화학물질, 의약품, 농약 등 19만3686건의 독성물질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했다.


앞으로는 시민이 일상생활에서 독성물질로부터 안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출 예정이다.


2. 민간도 손쉽게 '도시계획 변경 제안' 가능해진다


서울시가 민간의 창의력을 적극 활용해 매력적인 도시공간을 창출한다는 목표로, 민간이 지구단위계획 변경을 손쉽게 제안할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마련한다고 24일 밝혔다. 민간의 창의력을 적극 활용해 매력적인 도시공간을 창출하기 위함이다.


지구단위계획은 도시 안 특정 구역을 지정해 종합적, 체계적인 공간계획을 세우는 것을 뜻한다. 현 상황과 다양한 미래 여건변화를 고려해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계획으로서 도시기반시설 계획, 건축물의 규모와 형태, 경관계획 등 세부 기준을 제시한다.


그간 지구단위계획은 공공이 개발지침을 내놓으면 민간이 지침에 따라 개발하는 '공공주도 후 민간개발' 방식으로 운영됐다. 체계적 관리 측면에서 성과도 있었으나, 정책‧사회적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어렵고 민간이 창의성을 발휘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시는 기존 선 공공계획·후 민간개발 방식이 아닌 민간이 기획·제안하고 공공이 지원하는 민간사업 지원 지구단위계획(가칭)을 새롭게 도입하기로 했다.


3. 서울시, 저출생 문제 극복 위해 종교계와 협력


서울시가 저출생 문제 극복을 위해 '모든 걸 다 바꾼다'는 각오를 갖고 종교계와 협력에 나선다고 24일 밝혔다.


저출생은 복잡다양한 문제들이 얽혀서 나타난 문제인 만큼, 이 국면을 헤쳐나가기 위해 서울시 혼자 고군분투하기 보다는 종교·사회계, 기업 등 다양한 주체와 힘을 모아 해법을 찾아나간다는 목표다.


서울형 키즈카페, 우리동네키움센터 같은 놀이·돌봄시설을 지속 확충 중인 서울시는 종교계와의 협력을 통해 종교시설 내 유휴공간 등을 적극 활용해 집과 가까운 생활권에 놀이·돌봄시설을 확충할 방침이다.


또 지역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종교계를 매개로 '엄마아빠 행복 프로젝트'를 비롯한 서울시의 다양한 정책을 확산시켜, 아이 키우는 일이 존중받는 사회 분위기를 만들어간다는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오세훈 시장은 24일 14시 서울시청 영상회의실에서 기독교 민영방송인 CBS와 '서울시-CBS 저출생 위기 극복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박찬제 기자 (pcjay@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박찬제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