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양이 중요한가요?”…웰빙으로 떠오른 ‘친환경농산물’

배군득 기자 (lob13@dailian.co.kr)
입력 2022.10.19 06:30
수정 2022.10.19 07:49

공공소비에서 민간소비로 확대

환경부, 친환경농산물 녹색제품 지정

농식품부, 유기농단지 조성 등 인식 개선


그동안 못생기고 비싸다는 이유로 외면 당했던 친환경농산물이 건강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소비자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 정부는 단체 급식 등에 의존하던 친환경농산물을 일반 소비자들에게 확대하면서 친환경농산물 소비 촉진에 힘을 쓰는 모습이다.


친환경농산물은 이미 공공소비에서 어느 정도 궤도에 올랐다. 정부에서 학교급식 소비 확대를 위해 별도 친환경농산물 품위기준을 마련하면서 소비 촉진에 나선 것이다.


그러나 친환경농산물은 농약이나 비료 대신 유기물을 사용해 생산하기 때문에 일반 농산물과 색태가 다르고, 모양이 작아 급식담당자가 꺼려하는 경향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귤은 인위적 후숙처리가 금지돼 검은 반점이 있다. 배추 등 엽채류의 경우 화학농약을 사용하지 않아 벌레 구멍이 확인된다. 또 사과는 유기농자재 사용으로 껍질이 거칠고 반점이 생기는 특징이 있다. 이런 특징에도 불구하고 맛과 영양은 일반 농산물보다 월등하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친환경농산물의 공공소비 확산을 위해 급식 식자재 상위 70개 품목을 대상으로 색태・크기, 비교사진 등 품목별 품위기준을 마련해 이북(e-book)으로 제작 중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오는 12월 친환경농산물 공공급식 품위기준 이북을 제작・배포 할 계획”이라며 “학교, 어린이집, 공공급식시설 종사 영양사・조리사를 대상으로 친환경농산물 이해 교육을 확대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 녹색제품 지정과 민간 소비 촉진


환경부는 친환경농산물에 대해 ‘녹색제품’ 지정을 추진하고 있다. 녹색제품으로 지정되면 공공기관은 녹색제품 우선 구매를 해야 한다. 지자체 합동평가・공공기관(공기업・준정부기관)은 경영 평가 시 녹색제품 구매실적이 반영된다.


녹색제품은 ‘탄소중립기본법’에 따라 에너지・자원의 투입과 온실가스 및 오염물질 발생을 최소화해 생산한 제품이다. 환경부가 친환경농산물을 녹색제품으로 지정을 추진한다면, 농식품부는 관련 입증자료를 근거로 친환경농산물을 포괄적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계획 중이다.


실제로 농촌진흥청에서는 유기농업 41개 품목을 대상으로 온실가스 감축효과 전과정평가를 했다. 평가 결과 평균적으로 유기농업 실천 시 20~25%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한편 농식품부는 군급식에도 친환경농산물 공급을 확대하고 있다. 친환경쌀은 지난해 기준 일반미 특등가격으로 5000t을 매입했다. 올해는 군급식용으로 친환경쌀 공공비축 매입물량을 7000t으로 늘린다는 방침이다.


공공부문 소비 촉진과 함께 정부가 사활을 걸고 있는 부문이 바로 ‘민간소비’다. 이미 그린카드 제도로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소비 인식이 긍정적으로 전환된 것도 고무적이다.


그린카드 제도는 저탄소·친환경 제품을 구매할 때 에코머니 포인트를 별도로 지급하는 카드다. 적립된 포인트를 현금처럼 사용 가능하다. 정부는 지난 2017년 2월 친환경농산물 소비 확산 및 농업인 소득 증대를 위해 친환경인증제도와 그린카드 제도를 연계한 업무협약 체결했다.


여기에는 농식품부, 환경부, 친환경자조금,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비씨카드, 유통사(농협, 이마트, 킴스클럽, 초록마을, 올가홀푸드) 등이 참가했다. 정부에서는 향후 연차적으로 친환경농산물에 적용되는 에코머니 포인트를 관계 기관과 협의를 거쳐 15%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 보고・느끼고・구매까지…유기농산업복합서비스단지


친환경농산물이 아무리 좋아도 홍보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소비가 될 수 없다. 정부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기농산업복합서비스단지(이하 유기농단지)’ 조성에 뛰어들었다. 교육부터 구매까지 한번에 가능한 체험형 공간을 마련한 것이다.


유기농단지 조성은 4년간 총사업비 180억원(국비 50%, 지방비‧자부담 50%)을 지원한다. 지원내용은 친환경농산물 판매·가공시설, 교육·체험·홍보시설, 기반시설, 운영프로그램 개발 등이다. 농식품부는 유기농단지가 조성되면 지역 친환경농업인 신규판로 제공 및 친환경농업 교육·체험 공간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로 현재 추진하는 7개 단지 중 충북 청주농업기술센터가 2019년 완공해 문을 열었다. 청주 유기농단지는 친환경로컬푸드 직매장을 운영해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매출 증가를 실현하고 있다. 매출액과 참여농가는 2020년 17억원・167명에서 지난해 24억원・346명으로 껑충 뛰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대외활동이 어려운 상황에도 눈에 띄는 성과를 거둔 셈이다.


또 충북 충주시와 전남 구례군에서도 올해 유기농단지 완공을 앞두고 있다. 이밖에 전북 순창군・경기도 광주시(이상 2023년), 충남 부여군(2024년), 경남 거창군(2025년)도 유기농단지 공사와 기본계획 수립이 한창이다. 농식품부는 매년 1개소 신규단지를 선정, 2027년까지 12개소의 유기농단지를 조성하겠다는 구상이다.


친환경농산물 디지털 유통정보 플랫폼 구축도 농식품부 정책 중 하나다. 친환경농산물 생산·유통 정보 비대칭으로 나타나는 소비확대 한계, 수급 불균형 문제 해소를 위해 디지털 유통정보 플랫폼 구축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이뤄졌다.


특히 친환경농산물 정보 부족으로 ▲ 유통업체, 학교급식센터 등 수요처의 계획적 구매 및 소비 확대에 애로 ▲품목별 과잉·과소 등 수급 불균형 발생 ▲재난발생시 농가 피해대책 마련 등 세심한 정책 추진 한계 등이 플랫폼 구축 추진배경과 맞물렸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내년에 정보화전략게획(ISP)을 수립하고 8000만원 예산을 확보했다. 이 예산을 토대로 2024년까지 플랫폼 구축, 2025년부터 정보 수집과 제공이 시작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친환경농산물 생산·출하·유통 정보를 수집,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유통업체에 제공해 생산자와 활발한 거래 지원이 가능해질 것”이라며 “전국 주요 친환경 생산자조직이 직접 생산·출하 정보 등을 시스템에 입력,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가 플랫폼을 관리・운영하면서 유통업체에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이 기사는 농림축산부와 공동으로 기획했습니다.

배군득 기자 (lob13@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