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코로나 이후 경제활동참가율 추세 회복 미흡”

이호연 기자 (mico911@dailian.co.kr)
입력 2022.01.26 12:22 수정 2022.01.26 12:22

지난해 실직률 상승으로 경활률 부진

경제위기별 경활률 경로 그래프 ⓒ한국은행

코로나19 이후 우리나라 실업률은 추세를 회복했으나 경제활동참가율(경활률)의 추세 회복은 이에 미치지 못했다. 고용률은 실업률과 경활률이 영향을 끼치는만큼, 고용률이 위기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는데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2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BOK이슈노트-코로나19 이후 경활률 변동 요인 분석’에 따르면 코로나19 위기 이후 취업자수는 위기 발생 후 22개월째 회복했지만 경활률은 아직 회복하지 못했다.


경제활동에는 취업과 실업이 포함된다. 경제활동의 경우 코로나 발생 이후 2020년에는 비경제활동으로 확대되다가 2021년에는 취업에서 실업으로 이동하는 실직률 상승이 경활률 부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위기별 회복 경로를 살펴보면 경활률은 경제위기 시 공통적으로 취업자수에 비해 회복 속도가 더딘 편이었다. 코로나위기(2020.3~2021.11) 시의 회복 속도는 외환위기(1998.1~2000.6)보다는 빠르지만 금융위기(2008.12~2010.2) 시보다는 느린 것으로 추정됐다. 외환위기 이후 취업자수는 31개월만에 회복했지만 경활률 회복에는 52개월이 걸렸다. 또 금융위기 이후에는 취업자수 16개월, 경활률은 31개월 이후 회복했다.


경활률의 순환변동(장기추세 대비 변동폭)은 대체로 0.5%p 내외의 진폭을 보이다가, 경제위기시에는 1~2%p 정도로 변동폭이 확대됐다. 코로나19 충격의 크기는 최대 하락폭 기준으로 -1.2%p였다. 이는 금융위기(-0.7%p)와 외환위기(-1.8%p)의 중간 수준이다. 여성, 청장년층의 경활률 충격이 상대적으로 컸다.


코로나 시기에는 외환위기 때보다 상대적으로 고용안정성이 확보되고 충격에 대한 복원력이 생겼으나, 자영업 실직 등 금융위기보다 어려운 상황이 전개됐다는 설명이다.


코로나19 이후 경활률 변동 요인을 살펴보면 2020년에는 방역조치에 따른 대면 서비스 위주로 구직이 어려워지는 비경활로의 유출 확대가, 2021년에는 실직률 상승이 경활률 부진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한은은 “고용률 수준은 코로나19 이전을 거의 회복한 상태지만, 고용률이 위기 이전 추세를 회복하는데는 좀 더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이호연 기자 (mico91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