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투 코리아' 가능성 일축?…조선신보 "조국통일 입장 확고"
입력 2021.06.07 14:52
수정 2021.06.07 16:01
"통일문제는 선대의 유훈, 포기 못할 것"
재일본 조선인총연합회(조선총련) 기관지 조선신보는 7일 북한이 연초 개정한 노동당 규약과 관련해 "자체의 힘으로 평화를 보장하고 조국통일을 앞당기려는 노동당의 확고부동한 입장이 반영돼있다"고 밝혔다.
국내 일각에서 북한이 당 규약 개정을 통해 '투 코리아(Two Korea)'를 추진하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 데 대해 반발한 것으로 보인다. 투 코리아 정책이란 통일을 추진하지 않고, 남북을 별도의 국가로 상정해 공존을 꾀하는 정책을 뜻한다.
북한의 대외 메신저 역할을 해온 조선신보는 이날 '우리 국가제일주의 시대에도 일관한 노선과 정책'이라는 기사를 통해 북한이 추진하는 '국가제일주의'를 "'민족 중시'와 상반되는 '국가 중시'로 자의적으로 해석하면서 노선과 정책의 변화를 운운하는 논자들은 조선의 당과 정부와 인민의 의지를 외면하고 있다"고 전했다.
신문은 "우리 국가제일주의의 기치를 들고 사회주의 강국을 건설하는 노정은 결코 민족 문제의 해결을 위한 투쟁과 모순되지 않는다"며 "북남관계에 대한 입장과 민족 문제의 해결 방도는 역사적인 북남선언들을 통해 정립돼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당 규약 서문의 조국 통일을 위한 투쟁 과업 부분에는 강력한 국방력으로 군사적 위협들을 제압하여 조선반도(한반도)의 안정과 평화적 환경을 수호한다는 데 대해 명백히 밝혔다"며 "자체의 힘으로 평화를 보장하고 조국 통일을 앞당기려는 당의 확고부동한 입장이 바로 여기 반영돼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부단히 증강되는 국가방위력도 분단과 전쟁의 원흉인 외세의 최후발악을 봉쇄하고 조선반도의 평화를 보장하며 통일을 앞당기는 현실적인 힘"이라고 부연했다. 북한이 추진키로 한 국가방위력 강화가 통일을 위한 '수단'이라는 점을 강조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앞서 북한은 지난 1월 제8차 노동당대회에서 당 규약을 개정한 바 있다. 입수된 자료에 따르면, 북한은 '우리민족끼리'라는 표현을 삭제한 것은 물론, "조국을 통일하고"라는 문구를 "조국의 평화통일을 앞당기고"로 변경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전국적 범위에서 민족해방 민주주의 혁명의 과업을 수행한다"는 내용을 삭제하고 "민족의 공동번영"이라는 표현을 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일부 전문가들은 북한이 '남조선(남한) 적화 전략' 대신 투 코리아 정책을 추진할 수 있다는 해석을 내놓은 바 있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통일문제는 선대의 유훈"이라며 "본질적으로 김정은 위원장이라도 통일을 포기할 수 없다"고 말했다.
임 교수는 "면면히 내려온 선대의 통일방안, 철학·사상이 있기 때문에 (김 위원장) 본인이 통일 방식 및 속도와 관련해 조절은 할 수 있겠지만, 절대로 포기할 수 없다"며 "당 규약 전문 첫 문장에서 '노동당은 김일성-김정일주의 당'이라고 규정하고 있는 마당에 선대가 고수해온 최고지도자의 통일 임무를 포기한다는 것은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