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U+, 양자내성암호로 공연 티켓팅 서비스 보안 강화
입력 2021.06.06 09:00
수정 2021.06.04 17:47
공공·민간분야 양자암호통신 인프라 시범 구축사업 참여
티켓예매에도 양자보안 적용…암표거래 방지에 활용 가능
LG유플러스는 공연·엔터테인먼트 분야 응용서비스에 양자보안을 확대 적용한다고 6일 밝혔다.
LG유플러스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주관하는 ‘2021년 양자암호통신 시범인프라 구축·운영’ 사업에 ▲코위버(10G급 전송장비) ▲서울대 크립토랩(PQC 알고리즘) ▲ICTK(PUF) ▲드림시큐리티(인증·암호화 모듈) 등의 파트너들과 함께 참여한다.
양자내성암호를 활용한 엔드 투 엔드(End-to-End) 암호키교환 방식은 전송거리에 제약이 없고 향후 해저케이블 구간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양자키교환(QKD)과는 달리 이미 구축한 전송망에 선로를 추가로 구성하거나 중계 노드를 만들 필요 없이 양단(兩端) 구성만으로 보안을 구성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전 계층과 국내외 고객전용망·기간망·액세스(Access)망·모바일코어망 등 각종 통신망, 비대면 국제회의·화상수업 등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다.
지난해 USB에 넣었던 양자난수기반 물리복제방지칩(PUF)을 유심(USIM)과 IC카드에 탑재해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 관리 ▲공연티켓 예매·구매자 인증 강화 ▲안면인식 활용 산업체 출입보안 등 응용서비스에 활용한다는 복안이다.
PUF-USIM은 복제가 불가능한 물리적 고유키를 이용해 인증서를 내장하는 PUF 칩이 유심(USIM) 안에 들어가 보안이 강화된 형태로 소형 디바이스와 사물인터넷(IoT) 기기 등에 적용할 수 있다.
티켓예매 서비스를 예로 들면, 스마트폰을 통해 고객이 공연티켓을 예매하면 이예매정보가 양자내성암호가 적용된 전용회선을 거쳐 LG유플러스의 인터넷데이터센터(IDC)를 통해 구매정보 서버로 전달된다.
공연 전 고객이 티켓을 발권할 때는 양자보안이 적용된 PUF-USIM 인증기술을 통해 티켓 구매자임을 인증하게 돼 안전한 예매-발권 과정을 경험할 수 있다. 티켓 구매 인증정보를 투명하게 처리해 공연 티켓의 암표거래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택진 LG유플러스 기업부문장(부사장)은 “더욱 강화된 양자보안기술을 공공·민간분야 디지털뉴딜사업에 적용해 기술력을 검증하고 엔터테인먼트·발전산업을 넘어 국내 다양한 산업군에서 ‘양자보안’ 체계를 하루 빨리 갖출 수 있도록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