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 '달래기'에도 美금리 상승…"당국 연착륙 방안 필요해"
입력 2021.03.20 06:00
수정 2021.03.19 22:00
연준 "2023년까지 제로금리" 강조에도 시장 '긴축 대비모드'
전문가 "금리 상승세 지속"…당국 "변동성 확대 예의주시"
![](https://cdnimage.dailian.co.kr/news/202103/news_1616158842_973957_m_1.jpeg)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오는 2023년까지 기준금리 동결을 시사하며 시장 달래기에 나섰지만, 우리 정부와 당국은 경계심을 늦추지 않고 있다. 현재 시장에서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을 '립서비스'로 받아들이며 통화정책 변화에 대한 의심을 거두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 정부와 당국은 미국 경제회복 속도에 따라 연준이 예상보다 빨리 기준금리를 올리거나 돈 풀기 규모를 축소할 가능성 열려 있다고 보고 대비책 마련에 나섰다.
당장 한국은행과 기획재정부는 지난 18일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개최에 맞춰 대응 회의를 열고 "변동성 확대 가능성 등을 예의주시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은행은 "향후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만큼 시장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했고, 김용범 기재부 제1차관도 "실제 경제지표 및 정책 대응 등에 따라 미 국채금리 상승 등 금융시장 변동성이 지속될 가능성에 경계심을 가질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기재부가 FOMC 회의 결과 당일 '실제 경제지표'를 언급하며 경계심을 갖겠다고 한 것은 그만큼 연준이나 파월 의장의 '입' 보다는 실제 시장의 흐름에 따라 대응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파월 의장의 거듭된 제로금리 언급에도 시장 상황에 따라 언제든 통화정책을 바꿀 수 있다는 의구심을 거두지 않겠다는 의미로도 해석된다.
실제 파월 의장이 2023년까지 금리 인상은 없다고 확인한 지 하루만인 18일(현지시각)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1.75%까지 치솟았다. 30년물 국채금리도 한때 2.5% 넘어 2019년 이후 최고치로 오르는 등 장기 금리가 큰 폭으로 상승했다.
뉴욕증시는 금리 여파로 줄줄이 미끄러졌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보다 153.07P 빠진 3만2862.30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 보다 58.66P 하락해 3915.46에 마감했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만3116.17로 전장 보다 3.02% 급락했다.
정부, 파월 '입' 보다 경제지표 예의주시…시장, 금리상승 "예고된 일"
결국 시장은 연준의 전망과 거꾸로 가는 '청개구리 반응'을 보이고 있는 셈이다. 이 가운데 우리 당국이 예의주시하는 경제지표는 글로벌 금리 상승이다.
금리 상승 우려는 지난달 25일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1년 만에 처음으로 연 1.5%를 넘기면서 확산하기 시작했다.
당장 시장금리가 상승세를 타면 증시 하락을 비롯한 금융시장에 적지 않은 파장을 일을 킬 수밖에 없다.
무엇보다 '빚투‧영끌'이 사회적 문제로 터지는 기폭제가 될 가능성도 높아지는데다 지난 1년 새 126조원이나 급증해 1726조원에 달한 가계부채 문제도 뇌관으로 도사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시중금리 상승 가능성에 주목하면서 정책당국의 연착륙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금리 상승이 경기 회복의 신호로 해석될 수 있지만, 유동성 잔치가 끝났다는 경고음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신세돈 숙명여대 명예교수는 "미국 국채를 어떻게 소화할 것인가 관점에서 보면, 결국 금리가 올라갈 것"이라며 "인플레를 걱정할 것은 아니지만, 미국의 솔루션은 금리가 정상화하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재균 KB증권 연구원은 "연준이 금리인상 시점을 2024년 이후로 유지하더라도 기대 인플레이션 상승과 경기과열 우려가 지속되면서 금리 상승세가 나타날 수 있다"면서 "금리의 방향성을 바꾸기 위해 연준의 오퍼레이션 트위스트 등 장기물 금리를 낮추기 위한 직접적인 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미국 10년 만기 국채 금리가 2%대로 오르는 건 시간 문제"라고 했고, 백윤민 교보증권 연구원은 "연준이 완화적인 통화정책 기조 유지를 재확인했지만, 테이퍼링이나 통화정책 정상화에 대한 시장의 경계감은 지속될 것이며 바이든 행정부의 부양책 등은 장기금리 상승 압력을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https://cdnimage.dailian.co.kr/reporter/profile_2339_1602655123.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