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홍남기 "올해 정책금융 495조 공급…확장 재정 기조 견지"

유준상 기자 (lostem_bass@daum.net)
입력 2021.02.18 11:08
수정 2021.02.18 11:08

부총리, 거시경제금융회의 모두발언

"금융권 만기 연장 오는 3월 초 결정"

"소상공인 지원·집합 제한 대출 이행"

"유동성, 부동산 아닌 뉴딜로 흘러야"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8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관에서 열린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데일리안 류영주 기자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8일 "올해 정책 금융은 495조원 규모로 충분히 공급할 계획"이라면서 "전 금융권 만기 연장·이자 상환 유예 등은 오는 3월 초까지 그 수준을 결정하겠다"고 했다.


홍 부총리는 이날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모두발언을 통해 이렇게 밝혔다. 그는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피해가 지속되고 있는 만큼 이제까지의 확장적 재정·금융 정책 기조는 견지할 필요가 있다"면서 "그 방향성의 진폭에 관해 (오늘 회의에서) 논의할 것"이라고 했다.


홍 부총리는 지원 기한이 임박한 여러 한시적 조치의 연장 여부 등을 시급히 판단하겠다고 했다. 그는 "한국은행 금융 안정 특별대출과 같이 역할을 다한 조치는 정상화하되 경제 회복을 위해 절박한 금융 지원 등은 연장하는 등 계속 지원하겠다"면서 "당장 소상공인 제2차 금융 지원 프로그램·집합 제한 업종 특별대출 등 금융 지원은 차질 없이 이행하겠다"고 했다.


홍 부총리는 이어 "한국 경제 회복과 반등을 반드시 이뤄내자는 명제의 전제 조건 중 하나는 리스크(위험) 요인이 불거져 나오지 않도록 선제 대응하는 것"이라면서 "위기 대응 과정에서 누적된 유동성, 부동산 시장, 가계 부채, 물가 안정, 금융 변동성 확대 등 잠재적 리스크 요인이 현실화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홍 부총리는 특히 부동산 문제와 가계 부채 관리에 힘을 실었다. 그는 "시중 유동성이 부동산 등 비생산적 부문이 아닌 한국판 뉴딜 등 생산적 부문으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방안, 가계 부채에 관한 강해진 관리 조치 등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정부는 올해 1분기 중 '가계 부채 관리 선진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최근 한국 경제·금융 상황에 관해서는 긍정 신호가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홍 부총리는 "취약 계층 피해, 내수·고용 부진 등 어려움이 지속되는 상황"이라면서도 "다행히 수출·투자 회복 모멘텀 축적이 이어지고, 소비자 심리 지수·경기 선행 지수 등도 개선 흐름을 보이는 등 긍정 신호도 보여주는 모습"이라고 했다.


홍 부총리는 이어 "과거 경제 위기 시마다 우려가 컸던 우리 경제의 신인도·국제 금융 지표·금융 변동성 등이 지난 1년간 비교적 안정성을 견지해 준 것도 큰 도움이 됐다"면서 "국제통화기금(IMF)·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국제기구가 올해 경기 반등을 전망하는 가운데 최근 백신 보급 등은 긍정적 요인"이라고 했다.


홍 부총리는 또 "그동안 4차례의 추경(추가경정예산) 편성, 175조원+알파(α)의 금융 안정 패키지 등 총 310조원 규모의 전례 없는 조치를 과감하게 시행해왔고, 비교적 잘 작동했다"면서 "코로나 팬데믹(Pandemic·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상황이 진정되지 않았고, 경제 충격과 피해도 지속돼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


홍 부총리는 한국 경제가 위기를 극복하는 데 그쳐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 경제의 잠재적 성장 역량을 높이는 대비 노력도 결코 소홀히 할 수 없다"면서 "생산성 제고, 산업 구조 전환, 인구 구조 변화 대비, 잠재 성장률 제고 등도 당면한 과제다. 한국판 뉴딜 등 미래 먹거리 발굴 등에도 깊은 고민과 정책 처방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날 회의에는 홍 부총리를 비롯해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은성수 금융위원회 위원장·윤석헌 금융감독원장 등이 참석했다.

유준상 기자 (lostem_bass@daum.net)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