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3사, 4만원대 5G 중저가 요금제 시대…SKT도 동참
입력 2021.01.13 15:55
수정 2021.01.13 16:56
과기정통부 “5G 중저가 출시해야, SKT 언택트 요금제 출시 허가”
KT, LGU+ 이어 SKT도 관련 요금제 출시 전망
실효성은 글쎄...이통사 ‘5G 투자 부담’ 난색
이동통신3사가 월 4만원대 5G중저가 요금제를 내놓았다. SK텔레콤은 5G 온라인 전용 요금제 ‘언택트 플랜’을 출시하면서 5G 중저가 요금제도 선보일 것을 시사했다. KT와 LG유플러스에 이어 SK텔레콤도 요금 인하 대열에 합류하며, 5G 보편요금제 시대가 열렸다.
과기정통부는 13일 “SK텔레콤이 처음으로 신고한 롱텀에볼루션(LTE)과 5G 요금제(언택트 플랜)를 수리한다”며 “SK텔레콤은 5G 요금제 중·소량 구간에 대해서도 조속한 시일 내에 추가 신고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현재 5G 월정액 요금에서 4만원대 요금제가 없는 사업자는 SK텔레콤뿐이다.
앞서 SK텔레콤이 기존보다 30% 저렴한 언택트 플랜 요금제를 출시를 준비중이나, 알뜰폰 시장 경쟁 저하를 우려한 정부가 난색을 표하고 있다는 언론 보도가 나오며 논란이 일었다. 과기정통부는 새로 도입된 유보신고제에 따라 시장지배적 사업자(SK텔레콤)이 신고한 이용약관이 이용자의 이익이나 공정경쟁을 저해하는지 검토한 후 이를 수리 혹은 반려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알뜰폰 생존’과 ‘요금 인하’가 충돌하는 상황에서 정부는 ▲알뜰폰 도매대가 인하 ▲4만원대 5G중저가 요금제 출시를 조건으로 SK텔레콤의 신규 요금제 출시를 허용했다. 과기정통부는 별도 언론 자료 배포를 통해 이같은 방침에 쐐기를 박았다. 1위 이동통신사업자 SK텔레콤도 4만원대 중저가 요금제를 출시하며 요금인하 경쟁이 더욱 촉진될 전망이다.
경쟁사의 경우 KT는 지난해 10월 4만원대 5G요금제를 선보였다. KT는 ‘월 4만5000원에 매달 데이터5GB를 제공(소진 시 400kbps 속도)하는 ‘5G세이브’와 월 6만9000원에 110GB(소진 시 5Mbps 속도)를 사용하는 ‘5G 심플’을 선보였다. LG유플러스는 새해 월 4만7000원에 데이터 6GB(소진 시 400kbps)를 주는 ‘5G 슬림+’, 월 5만5000원 12GB(소진시 1Mbps 속도)를 책정한 ‘5G 라이트+’를 출시했다. SK텔레콤도 비슷한 수준의 요금제를 낼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일각에서는 이통사의 5G 중저가 요금제가 실효성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통3사의 4만원대 요금제는 데이터 제공량이 5~6GB으로 소량이고, 데이터 소진시 제공되는 400kbps 속도 역시 고용량의 데이터 전송이나 게임, 동영상을 이용하기에는 턱 없이 느리다. 과기정통부 무선데이터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말 기준 5G 가입자 1인당 월 평균 데이터 사용량은 약 26GB이다. 데이터 속도 역시 통상적으로 3Mbps 이상은 돼야 영상 시청이나 이미지 전송이 가능하다.
그럼에도 통신업계는 이번 5G 중저가 요금제 출시로 가입자 기반이 확대되고 정부의 요금인하 기대에도 부응했다고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반면, LTE 도입때와 비교해 5G 보편요금제가 정부 압박에 너무 빨리 출시됐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한창 5G 망 투자를 하는 시기에 시장 경쟁에만 초점을 맞춰 사업자에게 부담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5G중저가 요금제의 기본 데이터 제공량은 5~6GB로 가입자 유인 효과는 크지 않지만, 고객 선택지를 늘렸다는 점에서는 고무적”이라면서도 “3만원대 LTE 보편 요금제는 LTE투자가 회수되던 시점인 2018년에야 출시됐는데, 5G보편요금제 요구는 너무 이른감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5G 시장 초기, 인프라를 구축하며 규모를 키워야 하는 상황에서 사업자의 양보만 강조되는 상황이 안타깝다”며 “정부의 일방향 소통이 아쉽다. 시장 및 경쟁 활성화에 대한 균형잡힌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