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성원전 방사성 물질 검출, 경주지진 영향 없다"…선 그은 원안위
입력 2021.01.12 18:07
수정 2021.01.12 18:07
삼중수소-지진 연관 짓는 일부 보도 반박
"지진 영향이라고 보기엔 수치 너무 낮아"
"다른 지점에선 다른 흐름 보여 근거 없어"
원자력안전위원회는 12일 "원안위가 모니터링한 결과 월성원전 부지에서 삼중수소 농도 변화를 지진 등 외부 영향 때문이라고 보기는 어렵다"며 "삼중수소 검출량은 일정값이 계속 유지되지 않고 큰 변동폭을 보이는데 적게는 500 베크렐에서 많게는 1만 베크렐까지 증가할 때도 있다"고 설명했다.
원안위는 이날 데일리안과의 통화에서 월성원전 부지 내 방사성 물질인 삼중수소 검출량이 경주지진 이후 급증했다는 일부 언론의 보도에 대해 이같은 입장을 밝혔다.
일부 언론은 경주지진 이후 월성원전 부지 내 삼중수소 농도가 급증하고 감마 핵종이 누설됐다고 연일 보도하고 있다. 평상시 2000 베크렐 수준이던 삼중수소가 2016년 경주 지진 이후 3700 베크렐까지 급증했다는 것이다. 이를 근거로 월성원전을 지진 취약 시설로 규정하고 안전성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이에 대해 원전 가동 및 운영을 승인하는 원안위가 2000~3700 베크렐의 변동폭은 유의미한 결과가 아니라고 선을 그은 것이다. 이는 세계보건기구(WHO) 음용수 기준인 리터당 1만 베크렐보다 훨씬 못 미치는 수준이다.
원안위 관계자는 "만약 지진으로 실제 방사성 물질의 유출이나 누설이 발생했다면 관측정에서 이보다 훨씬 더 높은 수치가 검출됐을 것"이라며 "적어도 10만 베크렐 이상 높게 나타났어야 했다고 보여진다"고 했다.
원안위가 기술적 자문을 구하는 원자력안전기술원(KINS)도 유사한 반응이다. 원자력안전기술원에 따르면 발전소에서 배출된 삼중수소는 비가 오면 토양이나 지하수로 유입되는데 발전소에서 가까울수록 농도가 짙고 멀수록 옅어진다. 만일 지진으로 방사능이 누출됐다면 대부분 관측정에서 일관되게 농도가 짙어져야 하는데 그렇지 않았다는 것이다.
실제로 지진 직후 월성원전 부지 내 삼중수소 수치가 증가한 관측정은 27곳 중 단 1곳에 불과했으며, 나머지 관측정은 평상시와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27분의 1은 확률상으로도 충분히 발생할 수 있는 일이라고 원자력안전기술원은 설명했다.
또한 정말 지진으로 위험한 수준의 방사성 물질이 누설됐다면 한수원이 원자력 기관에 보고하지 않았을 리가 없다는 게 원자력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원전부지밖 환경실효 보고공개 규정'에 따르면 5년 평균 농도값의 5배가 검출이 되거나 3년 동안 검출이 되지 않던 방사성 핵종이 검출될 경우 KINS와 원안위에 보고해야 한다.
정용훈 카이스트(KAIST) 교수는 "월성원전의 삼중수소 수치를 지진과 연관 짓는 것은 상관관계와 인과관계를 혼동한 것"이라며 "이는 마치 문재인 정부가 들어섰기 때문에 코로나19가 터졌다고 여기는 것과 유사한 논리적 오류를 범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사용후핵연료 저장조 하부 삼중수소가 누설돼 지하수를 오염시켰다는 일부 언론의 보도에 대해서 한수원은 선을 그었다. 한수원 관계자는 "삼중수소가 땅속 지하수로 스며들면 오염되는 것으로 생각하기 쉬운데 발전소 밑 지하수는 액체폐기물처리계통으로 모이는 구조로 돼있다"며 "이는 쓰레기를 버리기 위해 모아놓는 지점이므로 누출이라고 보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