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전기차 굴리고 남은 배터리…현대차가 주목한 이유는?

이배운 기자 (lbw@dailian.co.kr)
입력 2020.11.03 06:00 수정 2020.11.02 13:33

전기차 급성장에 '사용후 배터리' 급증…글로벌 시장규모 '600조' 관측

환경오염 막고 값비싼 원료 안정적 확보…친환경·경제성 '일석이조'

전기차 배터리와 에너지저장장치(ESS), 발전소간 에너지 순환 및 배터리 리사이클을 설명한 개념도. ⓒ현대자동차그룹

글로벌 전기차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전기차에서 사용하고 수명을 다한 '사용후 배터리'가 미래 신사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자동차를 중심으로 관련업계는 '사용후 배터리'관련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경제성과 친환경성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겠다는 계획이다.


'사용후 배터리'는 배터리 용량이 초기 대비 약 80% 이하로 감소해 전기차 구동 배터리로서 활용가치가 없어진 것을 의미한다. 전기차 배터리 용량이 80% 이하로 떨어지면 주행거리 감소, 충전·방전 속도 저하, 급속 방전 리스크 둥 문제로 교체가 불가피하지만 다른 용도로 활용하는 덴 문제가 없다.


한국자동차연구원에 따르면 국내에서는 오는 2026년부터 사용후 배터리가 본격적으로 배출돼 2030년까지 약 10만대 분량이 누적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세계적 경제전문지 블룸버그는 2050년 자동차 배터리 재활용 시장이 약 600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예측을 내놓기도 했다.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 진선미 국토교통위원장, 공영운 현대차 사장 등이 지난 8월 경기 고양시 현대 모터스튜디오에서 열린 미래차 현장간담회에서 전기차·수소차 등을 둘러보고 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배터리 재활용 산업은 크게 배터리를 분해해 고가 소재를 추출·재활용하는 '재활용' 방식과 배터리를 에너지저장장치(ESS)용으로 활용하는 '재사용' 방식으로 구분된다.


전기차 배터리에는 코발트, 리튬, 니켈 등이 핵심원료로 함유돼있다. 이들 원료는 전량 수입에 의존해 가격이 비쌀 뿐만 아니라 그대로 폐기하면 환경오염을 초래한다. 그러나 배터리 '재활용'이 이뤄지면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값비싼 원료의 소모량도 줄일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전기차 한 대당 니켈과 코발트만 추출한다고 가정하면 약 100만원의 가치가 있다"며 "배터리 재활용 사업은 초기 투자비용과 운영비용을 감안해도 원재료 구입비용이 크지 않아 높은 수익을 낼 것"이라고 분석했다.


배터리 '재사용'은 배터리 팩을 수거해 해체 및 안전 테스트 등 절차를 거쳐 다시 상품화한 뒤 판매하는 방식을 일컫는다. 세밀한 단계의 해체가 필요하지 않아 안전하고 추가 비용이 적게 드는 고부가가치 사업으로 꼽히며, 특히 현대자동차가 배터리 산업 생태계 전반을 아우르는 협업 관계 구축에 주력하는 상황이다.


앞서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달 19일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활용사업' 등 10건의 규제 샌드박스를 허가했다. 현대자동차는 사용후 배터리를 재가공한 뒤 결합해 더 큰 용량의 ESS에 활용하는 사업의 실증에 나섰고, LG화학은 사용후 배터리를 활용해 전기차를 급속 충전할 수 있는 ESS의 제작 실증을 수행한다.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오른쪽)과 최태원 SK 회장이 지난 7월 충남 서산 SK이노베이션 배터리 공장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

또 현대차와 SK이노베이션은 지난 9월 전기차 배터리 산업 생태계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두 회사는 전기차 배터리 재사용·재활용 등 관련 사업 분야에서 협력 방안을 찾기로 했으며 '니로EV'의 배터리 팩을 수거해 검증하는 실증 사업을 진행한다.


지난 5월에는 현대차와 한화큐셀이 '태양광 연계 ESS 공동 개발 및 사업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두 회사는 사용후 배터리와 태양광 시스템을 연계한 친환경 ESS 신사업을 발굴해 재생에너지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비용을 크게 낮춘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현대차는 사용후 배터리로 만든 ESS를 한국 공주시와 미국 텍사스주에 위치한 OCI의 태양광발전소에 설치해 사업성을 검증할 예정이다.


김재경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사용후 배터리 사업은 배터리를 생산하는 과정에서의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며 "이같은 친환경성 차원에서 정부의 지원이 이뤄져야 하는 정당성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고 평가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전기차에서 배터리가 차지하는 원가 비율이 30%가 넘는만큼 사용후 배터리의 차량 재장착이 가능해지면 전기차 생산 비용도 대폭 낮아질 것"이라며 "전기차가 보급단계를 지나 대중화 단계로 진입하는데 이바지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이배운 기자 (lbw@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