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성장률 1.9%…플러스 성장률 기대는 어려워
입력 2020.10.29 15:16
수정 2020.10.29 15:18
올해 산술적 플러스 경제성장률은 역부족
최저치 찍은 1·2분기 기저효과, 일부 수출증가 현상 덕
글로벌 공급망 차질·내수 부진·실적 둔화 등 아직 상존
올해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직전분기 대비 1.9%로 집계됐다는 한국은행 발표가 나오자 정부는 하반기 경기회복을 기대하는 눈치다.
하지만 3분기 1.9% 성장률은 앞선 1분기(-1.3%)와 2분기(-3.2%) 두 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한 이후의 기저효과로 인한 반등으로 경제성장률을 견인하기에는 역부족인 부분으로 사실상의 올해 경제성장률은 산술적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벗어나기는 사실상 어려울 전망이다.
재난지원금 지급 적용 이후 국내 내수와 민간소비 침체가 이어지고 있으며 자동차와 반도체 등 일부 품목을 제외하고는 전체적인 수출여건이 크게 회복되지 않아 추세적인 경기회복세라는 진단이 어렵기 때문이다.
코로나19 재확산 우려와 이에 따른 글로벌 경제쇼크 등 세계적인 불확실한 상황도 세계 경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미중 무역갈등 역시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측면이 있어 경기 개선 흐름이 더뎌지는 분위기다.
또한 3분기 GDP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여전히 낮은 수준이며, 4분기에도 계속 상승을 이어갈지 아직은 미지수다.
당초 하반기 경제성장률로 각 기관들은 -2.0%~-0.5%를 전망했다. 민간 소비제약과 성장경로의 불확실성에 따라 국내 경기개선 속도가 더딜 것이라는 분석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은 경기침체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고 -1.9%라는 성장률 예측치를 내놨으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2차 기준 -2.0%, 한국은행은 -1.3%로 전망했으며, 국내 민간 연구기관인 LG경제연구원은 -1.0%, 현대경제연구원 -0.5%로 대부분 마이너스 성장을 예견했다.
지난달 한국경제연구원은 ‘KERI 경제동향과 전망. 2020년 3·4분기’ 보고서를 통해 ‘올해 경제성장률이 IMF 외환위기 이후 최저치인 -2.3%를 기록할 것’이라는 분석 결과를 내놓기도 했다.
한경연은 국내 경제와 관련해 “경제위기 수준의 부진을 겪고 있어 연내에 경기 반등을 이뤄내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보고, 올해 경제성장률을 –2.3% 수준으로 전망했다. 상반기 성장률은 –0.7%, 하반기는 –3.8% 성장률을 각각 기록할 것으로 분석했다.
경기 부진 요인으로는 정부의 부양책인 긴급재난지원금 등의 지원이 멈췄고 기업 실적부진으로 인한 명목임금상승률이 하락됐으며, 가중된 가계부채원리금 상환부담, 전·월세 폭등에 따른 집세 인상, 실업률 증가 등 구조적 원인 등이 민간소비를 하락시킬 것이라는 관측이다.
특히 경기회복의 발판이 될 실질수출이 일부의 반짝 효과와는 달리 수출 주요국의 코로나19 확진세가 지속되면서 연내 세계경제의 회복은 기대하기 힘들어진 만큼 올해 플러스 경제성장률은 역부족이 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그럼에도 정부의 판단은 좀 다른 모양새다.
이와 관련해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4분기에는 방역 1단계 완화에 힘입어 내수를 중심으로 경기개선 흐름을 이어갈 것”이라고 예상하면서 “다만 코로나19의 글로벌 확산세가 심화하고, 미국 대선 및 미·중 갈등 관련 불확실성도 상존하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문재인 대통령은 28일 국회에서 열린 내년도 예산안 시정연설에서 “1·2분기 역성장의 늪을 헤쳐 나와 드디어 3분기 성장률이 플러스로 반등해 희망이 만들어지고 있다”면서 “수출이 회복되고 있고, 방역조치 완화로 소비와 내수를 살릴 여건도 마련되고 있으며, 외국인 직접투자와 기업 실적도 점차 개선되고 있다”며 경기 반등에 자신감을 내비치기도 했다.
결국 이 같은 역성장 탈출, 3분기 성장 반등이라는 일부 성과에도 기업과 업계의 향후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는 확연이 달라지지는 않았다.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 차질과 내수 부진, 실적 둔화 등 주요 변수가 상존해 있기 때문이다.
경기에 영향을 주는 주 변수가 달라지지 않은 채 경기 회복을 말할 수는 없다는 원칙과 수정변수는 감안해도 흐름을 뛰어넘을 수 없는 경제성장률을 바라보는 각 기관들의 분석이 기존의 마이너스 성장률을 아직까지 고수하게 하는 한계치로 작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