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저축은행업계 오픈뱅킹 도입 가시화…“내년 3월 가동”

배근미 기자 (athena3507@dailian.co.kr)
입력 2020.09.15 06:00 수정 2020.09.14 15:40

저축은행업계 오픈뱅킹 가동 3월 29일로 잠정 확정…시스템 구축 진행

마이데이터사업과도 연계해 디지털금융 확장 수순…기대 및 우려 교차

2금융권인 저축은행의 오픈뱅킹 도입이 점차 가시화되고 있다. ⓒ저축은행중앙회

저축은행의 오픈뱅킹 도입이 점차 가시화되고 있다. 출범 시기는 당초 예정보다 늦어진 내년 1분기 중으로, 이번 사업 참여를 기반으로 업권 내 디지털금융 강화 및 비대면 고객 유치에도 한층 힘을 받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1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저축은행중앙회는 내년 4월까지 약 6개월 동안 오픈뱅킹 시스템 구축에 나선다. 업계 관계자는 “목표일(D-day)은 내년 3월 29일로 현재 시스템 구축을 위한 사업자 선정 절차가 진행 중”이라며 “코로나19 등 여파로 논의가 미뤄지면서 도입 시기 역시 예정보다 늦춰지게 됐다”고 설명했다.


오픈뱅킹은 핀테크 또는 금융기관들이 표준 API(개방형 응용프로그램) 방식으로 모든 금융기관의 자금이체나 조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뜻한다. 앞서 지난해 말 시중은행 등을 중심으로 오픈뱅킹이 전면 시행됨에 따라 이용자들은 자신의 주거래은행 및 핀테크 앱에서 여러 은행 계좌정보를 한눈에 확인·관리할 수 있게 됐다.


중앙회 역시 이번 사업을 통해 오픈뱅킹을 위한 개방형 플랫폼을 구축하고 저축은행 뱅킹앱 고도화와 저축은행 간 통합서비스 구현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또한 이와 더불어 데이터3법 시행에 발맞춘 ‘마이데이터 사업’ 관련 부가 서비스 제공 역시 가능한 확장형 시스템으로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이번 오픈뱅킹 서비스에는 중앙회 공용 전산망을 쓰는 67개 저축은행과 개별 전산망을 사용하는 저축은행 12곳 등 중앙회 회원사 79곳이 참여할 예정이다. 다만 개별 전산망을 사용하는 일부 대형 저축은행의 경우 중앙회와 별도로 독자 작업을 통해 진행하게 된다.


한편 금융당국은 오픈뱅킹 발전을 위해서는 저축은행과 카드사 등 2금융권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오픈뱅킹의 범위와 기능을 넓힌 이른바 ‘오픈 파이낸스’를 통해 금융혁신을 가속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저축은행 외에도 카드, 증권사, 상호금융업권 등이 저마다 오픈뱅킹 준비에 나서고 있다.


저축은행업계 내에서는 오픈뱅킹을 둘러싼 기대와 우려 섞인 시선이 교차하고 있다. 우선 시중은행 대비 높은 예금금리 경쟁력을 기반으로 예금 유치 활성화와 비대면거래 및 소비자 중심의 트렌드 변화에 대응한 고객 서비스 제고가 기대되는 대목으로 꼽힌다. 또 마이데이터사업 참여에 따른 종합금융플랫폼으로의 성장기반도 마련할 수 있다.


반면 오픈뱅킹을 둘러싸고 후발주자로 여타 업권과 경쟁을 펼쳐야 한다는 부담감도 적지 않다. 이미 디지털금융에 많은 비용과 인력을 투입한 시중은행이 1년 전부터 오픈뱅킹을 도입하며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데다 핀테크와 2금융권과도 뺏고 뺏기는 경쟁을 펼쳐야 한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영업구역 한계와 규모 등으로 고객 접근성이 떨어졌던 저축은행에 있어서 이번 오픈뱅킹 도입은 사업 확장을 위한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라며 그러나 업권을 막론한 경쟁에서 뒤쳐지지 않기 위해서는 여느 대형은행이나 핀테크사와 대적해도 밀리지 않도록 대고객 서비스와 플랫폼 경쟁력, 신뢰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배근미 기자 (athena350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