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펫사업 황금알 낳을 줄 알았는데”…잇따라 발빼는 식품기업들

임유정 기자 (irene@dailian.co.kr)
입력 2020.05.26 07:00
수정 2020.05.25 18:05

해외제품 강세…국내 점유율 70% 이상, 포트폴리오 다양 ‘승승장구’

국내 업체 기존사업 확장…인프라 부족, 메뉴 단출 등 원인으로 작용

서울 펫쇼에서 한 반려견이 피크닉 용품 포토존에서 사진을 찍고 있다.ⓒ뉴시스

반려동물 시장은 매년 성장세를 거듭하고 있지만 정작 시장에 뛰어든 국내 기업들은 수입 제품에 밀려 고전하고 있다. 대부분의 식품 대기업들이 유의미한 실적을 거두지 못한 채 적자폭을 키우는 것은 물론, 아예 철수를 선언하는 경우도 잇따르고 있다. 지속적인 성장을 이끌기 위해서는 풀어야 할 과제가 수두룩 하다는 분석이다.


26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전국 591만 가구가 856만 마리의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가구수 기준으로 2018년 대비 80만가구 증가한 것으로, 우리나라 전체 약 2000만가구의 30%에 해당하는 수치다. 10가구 중 3가구는 개나 고양이를 키우고 있다는 의미다.


이에 따라 펫푸드 산업에서 고지를 점하기 위한 국내 기업들의 움직임도 가속화 되고 있다. 지난 2016년을 기점으로 동원F&B, 하림, 풀무원 등 대형 식품기업들은 물론 편의점, 백화점 등 업종을 막론하고 펫푸드 사업에 집중하는 모양새다. 일부 업체는 생산시설 등과 관련해 투자를 대폭 확대하기도 했다.


하지만 기대와 달리 성장은 더디다는 평이다. 수입 제품이 안방 자리를 꿰차고 있어서다. 동원F&B는 펫푸드 브랜드 ‘뉴트리플랜’을 론칭하고 2020년까지 연매출 1000억원 규모로 육성한다는 계획을 세웠으나, 올해 상반기 매출 200억원 수준에 그치면서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워졌다. 2017년 펫푸드 시장에 뛰어든 하림은 계속된 투자가 무색하게 적자를 지속하고 있다.


빙그레와 CJ제일제당은 아예 펫사업을 포기했다. 특히 CJ제일제당은 지난해 비상경영을 발표하고 유의미한 성과를 내지못한 사업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철수하게 됐다는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반려동물 전용 식품 브랜드 ‘오 프레시’와 ‘오 네이처’의 지난해 매출은 100억원 수준으로, 전체 생물자원(사료) 사업 매출이 2조원에 달한 것을 감안하면 0.5%에 불과하다.


동원F&B, ‘뉴트리플랜 모이스트루 주식’ ⓒ동원그룹

이처럼 국내 식품 대기업들이 펫푸드 사업에서 이렇다 할 만한 성과를 내지 못하는 이유는 해외 브랜드 선호 경향이 높고, 유통망이 부족하다는데 있다.


수입 제품의 국내 펫푸드 시장 점유율은 70%에 달한다. 반려동물을 위한 제품을 선택할 때 소비자들의 신뢰도가 전적으로 수입산에 치우쳐 있기 때문이라는 게 업계 중론이다.


해외는 펫문화가 한국보다 상대적으로 먼저 대중화 됐고, 반려동물 산업 자체도 미국과 캐나다, 싱가포르 등을 중심으로 선진화 됐다. 때문에 기존에 형성된 마니아층을 단순 마케팅 만으로 유인하기 어렵다는 것 역시 큰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다. 이들은 동물병원을 중심으로 인프라가 촘촘히 구성돼 있다.


펫푸드 사업을 전개 중인 국내 식품업계 관계자는 “국내 제품이 빨리 성장하지 못하는 이유는 구조조적인 것에 원인이 있다”며 “우리나라에서는 펫사료를 구매하는 경로가 대형마트가 아닌 대부분 동물병원에서 구매하거나 온오프라인의 전문 매장에서 구입을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내 기업들은 사업을 한 경험이 거의 없기 때문에 이쪽 유통에 대한 영업력이 수입사료 업체들이 압도적으로 쎄다. 인적 인프라가 없어서 새롭게 개척을 해 나가야 한다”며 “더욱이 강아지 분양을 받으면 동물병원에 갈 일이 굉장히 많은데 거기서 추천해 주는 사료를 먹이게 되고, 한 번 먹인 사료는 잘 바꾸지 않는 경향이 있다”고 덧붙였다.


국내 식품 대부분 기존에 잘하고 있던 사업에서 확장하는 개념으로 펫푸드 사업에 진출하면서 수입 브랜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메뉴가 단출하고, 기능성 제품이 크게 뒤떨어지는 것도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 중 하나로 지목된다. 수입 제품은 선택의 폭이 넓고 다양해 간단한 간식 제품을 제외하고는 수입산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수입 업체 네슬레퓨리나의 경우, 사료 제품만 각 카테고리별 120종에 달한다. 생애주기에 따라 세분화된 맞춤 영양식부터 노령견을 위한 치아, 관절, 두뇌 등 세부적인 기능성 제품까지 고루 갖춘 것이 특징이다.


네슬레 관계자는 “초노령견인 11세 이상 매출액의 경우 지난해 5%가량 증가하는 등 노령견 펫푸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국내 제품에서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고 지적했다.


향후 국내 기업들이 펫푸드 산업에서 고지를 점하고, ‘국내 시장→해외 진출’이라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기 위해서는 인프라 개척 및 R&B투자 등을 통한 다양한 제품 생산에 힘을 써야 할 것으로 분석된다.


익명을 요구한 업계 관계자는 “반려동물 수명이 평균 15년 정도라고 할 때, 국내 펫푸드 기업이 산업에 진출한 지 약 10년밖에 되지 않아 국내 펫푸드를 급여해도 이상이 없는지에 대한 연구 결과나 증명된 것이 아직은 없다”면서 “이에 반해, 해외기업 같은 경우에는 100년이 넘은 반려동물 식품 전문 기업들이 많기에 아직은 기술력 면에서 차이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임유정 기자 (iren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