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인터뷰] 박민식 "민심 분노 임계점…내가 당선돼야 文정권 심판"

부산 송오미 기자 (sfironman1@dailian.co.kr)
입력 2020.03.24 14:35
수정 2020.03.24 16:00

부산 북·강서갑 박민식 전 미래통합당 의원

전재수 민주당 의원과 4번째 '맞대결' 펼쳐

"전재수와 경쟁 아닌 나와 文정부 간 대결

'이번이 마지막'이라는 각오로 총선 준비"

전재수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4번째 '맞대결'을 펼치는 박민식 전 미래통합당 의원이 지난 19일 데일리안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데일리안

"이번 총선은 나와 전재수 더불어민주당 의원과의 경쟁이 아니라 '나와 문재인 정부' 간 대결이다. 내가 이겨야 문재인 정권을 심판할 수 있다."


'낙동강 벨트'의 중심 부산 북·강서구갑에서 전재수 민주당 의원과 리턴매치를 벌이는 박민식 전 미래통합당 의원에게 4·15 총선에 임하는 심경을 묻자 이같은 대답이 돌아왔다. 박 의원은 이번 총선에서 전 의원과 4번째 '맞대결'을 펼친다. 18·19대 총선 때는 박 전 의원이 승리했지만, 20대 총선 때는 전 의원에게 당선 깃발을 뺏겼다.


박 전 의원은 지난 19일 오후 부산 북구 덕천로타리에 위치한 자신의 선거사무소에서 가진 데일리안과의 인터뷰에서 "이번 총선은 나 개인의 당선을 넘어 대한민국이 제대로 된 길을 가느냐마느냐를 결정하는 선거다. 내가 이겨야 문재인 정부를 심판할 수 있다"고 호소했다.


박 전 의원은 "마스크를 구하려고 약국 앞에 줄 서 있는 주민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문재인 정부의 실정에 대한 분노가 임계점에 달해있다는 것을 확연히 느낄 수 있다"며 "대한민국이 제대로 된 길을 가기 위해선 반드시 뺏기지 말아야 될 지역이 이곳"이라며 탈환 의지를 불태웠다. 그러면서 "사즉생(死卽生·죽으려고 하면 산다), 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노력을 다한 후 하늘의 뜻을 기다린다)이다. 마지막이라는 각오로 여한 없이 총선을 준비하고있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북구 주민을 위한 대표적인 공약으로 '잡월드'와 '키자니아'를 합친 개념의 '만덕 디지털파크 건립'을 내세웠다. 그는 "코딩, AI(인공지능), 드론 등 4차 산업혁명에 걸 맞는 기본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며 "초선 때 건립했던 솔로몬파크(207억 원)와 재선 때 만들었던 학생예술문화회관(423억 원) 두개를 합친 정도의 규모로 건립하겠다"고 약속했다.


핵심 공약으로 '만덕 디지털파크' 건립 내세워
"AI·코딩·드론 등 교육 받을 수 있는 환경 필요
재등판된 김도읍과 힘 합쳐 낙동강벨트 지킬 것"


전재수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4번째 '맞대결'을 펼치는 박민식 전 미래통합당 의원이 지난 19일 데일리안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요즘 선거운동은 어떻게 하고 있나.


"새벽 5시 50분부터 밤 11시까지 주민들에게 출·퇴근 인사를 하고 중간 중간에 약국에 가서 주민들을 만난다. 약국마다 마스크를 판매하는 시간이 다르지 않나. 시간이 겹치지 않도록 약국 방문 동선을 짜서 마스크 구매를 위해 약국 앞에 줄 서 있는 주민들을 만난다. 장갑 끼고 주먹인사, 팔꿈치 인사 등을 한다. 오히려 지난 20대 총선 때보다 이번 총선 준비하면서 만나는 주민들 숫자가 더 늘었다. 지난 총선 때는 하루에 4~500명 정도였는데, 이번에는 700명 정도 된다. (오는 26일) 총선 후보자 등록하고 나서는 '포투원(새벽 4시부터 그 다음날 새벽 1시까지) 체제'로 여한 없이 선거운동을 해보려고 한다."


-전재수 민주당 의원과의 4번째 ‘리턴매치’인 만큼, 이번 총선에 임하는 심경이 남다를 것 같다.


"사즉생(死卽生), 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이다. 마지막이라는 각오로 여한 없이 총선을 준비하고 있다. 결과는 생각 안한다. 내 몫은 주민들을 만나서 여한 없이 하루를 온전히 연소시키는 것이다. 그러면 총선 결과에 대해 생각할 겨를도 없이 피곤해서 잠들어버린다.


우리 북구 주민들이 지난 십여 년 동안 응원 해주셔서 두 번(18·19대) 당선됐고, 20대 총선 때는 열렬하게 저를 지지해줬음에도 불구하고 제가 낙선했는데, 전적으로 나의 안일함과 부족함 때문이었다. 지난 4년 동안 실패하고 좌절의 시간이었지만, 스스로 돌아보는 소중한 기회였다. 북구의 제대로 된 일꾼으로 다시 태어나는 소중한 시간이었다. 이번 총선은 나 개인의 당선을 넘어 대한민국이 제대로 된 길을 가느냐마느냐를 결정하는 선거다. 대한민국이 제대로 된 길을 가기 위해선 반드시 뺏기지 말아야 될 지역이 이곳이다.


이번 총선은 나와 전재수 의원과의 경쟁이 아니라 나와 문재인 정부 간 대결이다. 전 의원과 4번째 대결이지만, 이번 선거는 그걸 넘어서 문재인 정부를 심판하느냐, 못하느냐를 가늠할 수 있는 전략적·상징적인 선거다. 서울에선 종로, 부산에선 북·강서구갑이다. 전 의원과 서로 양보할 수 없는 외나무다리에서 만났다. 내가 이겨야 문재인 정권을 심판할 수 있다. 요즘엔 마음속으로 애국가를 많이 부른다. 단순히 국회의원 배지를 한 번 더 달아야겠다는 목표를 넘어섰다. 나라가 이대로 가면 안 된다는 절절한 심정으로 선거에 임하고 있다."


-본인이 체감하는 지역 분위기는 어떤가.


"문재인 정부에 대한 민심 이반이 상당히 임계점에 와 있는 상태다. 특히 마스크를 구하려고 약국 앞에 줄 서 있는 주민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문재인 정부의 실정에 대한 분노가 임계점에 달해있다는 것을 확연히 느낄 수 있다. 특히, 부산시 기장군은 마스크 100만개 정도를 사들여서 통반장이 관할 집집마다 방문해서 나눠줬는데, 아직 북·강서구에는 그런 게 없어서 아쉽다는 목소리가 있다."


-문재인 정부의 코로나19 대응에 대해 평가한다면.


"아직 코로나19 사태가 종식되지도 않았는데, 민주당 대표나 보건복지부 장관 등이 ‘한국은 방역 모범국이다’라는 식으로 자화자찬을 하는 것을 보면, 매우 걱정스럽다. 최종적인 평가는 국민들이 할 것이다."


-여권의 재난기본소득 제안에 대해선 어떻게 생각하나.


"지금 여당에서 말하는 재난기본소득은 일회성이다. 기본소득이라기보다는 위기지원금, 비상지원금이다. 일회성으로 돈을 지급한다고 해서 경제가 잘 돌아가고, 소비가 늘어난다고 생각하는데, 효과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많기 때문에 면밀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다만, 코로나19 사태가 대한민국에 최대 위기인 만큼, 수수방관만 할 수도 없다. 코로나19 사태로 직격탄을 맞은 사람들, 중소 소상공인들, 자영업자들, 알바생들에 대한 선별적 지원은 필요하다."


-북·강서구갑 주민을 위해 이번 총선 때 내세운 공약은.


"북구 주민들을 만나서 이야기를 들어보면, 특히 학부모들이 '가족들이랑 손잡고 갈 곳이 없다'는 말을 많이 한다. 주민들 요청에 부응해서 (만덕에) '디지털 파크'를 건립하려고 한다. '잡월드'와 '키자니아'를 합친 개념이다. 규모는 초선 때 건립했던 솔로몬파크(207억 원)와 재선 때 만들었던 학생예술문화회관(423억 원) 두개를 합친 정도로 구상하고 있다. 우리가 어릴 때는 운동장에서 축구, 야구 등을 했는데, 요즘 애들은 3살만 돼도 스마트폰으로 게임을 한다. 스마트폰이 운동장이 된 것이다. 스마트폰으로 게임만 할 게 아니라 코딩, AI(인공지능), 드론 등 4차 산업혁명에 걸 맞는 기본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 디지털시대에 경쟁력을 키우는 것은 물론 훗날 미래 직업을 선택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두 번째 메인 공약은 북구의 랜드마크가 될 만한 초고층 빌딩 건립이다. 쇼핑·문화·관광 등 동부산에 도시 경쟁력이 집중돼 있다. '도시 경쟁력' 제고를 위해 서부산에도 관공서, 문화·스포츠·복지·상업 시설 등이 다 들어가는 초고층 빌딩 한두 개는 들어와야 한다. 일자리도 생기고, 자연스럽게 북구청 이전 문제도 해결된다."


-불출마를 선언했던 북·강서구을 현역인 김도읍 통합당 의원이 재등판됐다. 바로 옆 지역구인 북·강서구갑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보나.


"북·강서구갑과 을은 한 식구 같은 곳이기 때문에 김 의원과 함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해서 낙동강 벨트를 반드시 지키고 탈환하겠다."


-부산 총선 목표는.


"우리(통합당이)가 압승해야 한다. 최근 민심은 조국 사태와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문재인 정부에 대한 분노가 비등점에 와있다. 일부 보수우파에서 총선 전망에 대해 과도한 낙관주의를 가지고 있던데, 위험한 시각이다."

'인터뷰'를 네이버에서 지금 바로 구독해보세요!
송오미 기자 (sfironman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