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코로나19] ‘글로벌 리세션’ 예단 금물…“충격 최소화 위한 각국 대응 필요”

배근미 기자 (athena3507@dailian.co.kr)
입력 2020.03.15 06:00 수정 2020.03.15 03:37

주금공 연구원 "현 경제상황, 2008 금융위기와 차이있지만 구조적 취약 존재"

"중국 경제 불확실성·공급망 붕괴·과잉 부채 회복력·각국 정책여력 제한 '관건'"

세계보건기구(WHO)의 코로나19 팬데믹 선언에 미국 증시가 대폭락한 영향으로 코스피(KOSPI)와 코스닥(KOSDAQ)이 연이틀 급락하자 사이드카와 서킷 브레이커가 사상 초유로 동시 발동된 13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굳은 표정으로 업무를 보고 있다.(자료사진)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세계보건기구(WHO)의 코로나19 팬데믹 선언에 미국 증시가 대폭락한 영향으로 코스피(KOSPI)와 코스닥(KOSDAQ)이 연이틀 급락하자 사이드카와 서킷 브레이커가 사상 초유로 동시 발동된 13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굳은 표정으로 업무를 보고 있다.(자료사진)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불확실성 확대로 글로벌 리세션(recession·경기후퇴)에 대한 우려가 잇따라 터져 나오는 가운데 리스크 전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각국 차원의 대응책 마련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15일 주택금융공사 산하 주택금융연구원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발 글로벌 리세션 가능성 진단’ 이슈리포트를 통해 “향후 글로벌 경기침체 가능성은 코로나 확산 정도와 구조적 요인이 코로나발 충격 이후 회복력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달려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실제 이번 코로나 사태가 전세계로 확대되면서 글로벌 경기침체 공포 역시 퍼지고 있는 양상이다. 지난달 말부터 미 다우존스산업지수의 변동성지수가 급등해 지난 9일 사상 최고치인 52.03을 기록했고 글로벌 증시 역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대폭으로 하락하는 등 금융시장이 패닉 상태에 빠진 것이다.


보고서는 이번 코로나 사태로 지난 2008년 글로벌 경제위기가 재현될 가능성에 대해 “2008년 당시 경제위기는 글로벌 경제를 주도하는 선진국의 경제위기로 세계 경제 전반에 광범위하게 파급됐다”면서 “이번 충격은 중국 등 일부 개도국에서 시작됐다는 점에서 앞선 경제위기와 큰 차이가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글로벌 리세션으로의 전환 여부에 대해서는 섣불리 예단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코로나 발 경제충격 자체는 사스나 메르스 유행 당시처럼 일시적 침체에 그칠 가능성이 있지만, 저성장 지속 우려가 큰 글로벌 경제 펀더멘털의 취약성이 극대화될 경우 장담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글로벌 경제 펀더멘털의 취약성을 사전에 인지하는 한편 코로나 충격의 파급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분석했다. 우선 중국 경제의 안정성 여부가 관건으로 꼽혔다. 현재 엄격한 격리 조치로 중국 내 감염률이 점진적으로 안정화되고 있지만 만에하나 코로나 재확산 시 그 파장이 관광과 항공 뿐 아니라 타 산업으로 전이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전세계 소비의 12%를 차지할 뿐 아니라 세계 총생산의 15%를 담당하며 ‘세계의 공장’ 역할을 담당해 온 중국 내 코로나 사태 확산은 중간재 등 공급망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됐다. 이미 중국 내 공장폐쇄 및 인구이동 제한으로 공장 가동률이 50~60%로 하락했고 막대한 생산량 감소로 이어지고 있는 실정. 결국 중국 의존도가 높은 국가일수록 그에 따른 타격은 불가피할 것으로 점쳐졌다.


또 과잉부채로 인한 회복력 저하 역시 글로벌경제의 취약점으로 거론됐다. 중국을 포함한 개도국들의 부채가 급증하고 있는데다 글로벌 경기 악화에 따른 국가들의 리스크는 더욱 확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들 역시 금융위기 이후 비금융권 기업부채가 빠르게 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자칫 기업들의 채무악화와 신용경색에 따른 금융위기로 전이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설명이다.


연구원 측은 “2008년 금융위기의 여파로 각국 정부의 통화정책 및 재정정책 여력이 부족해 기존 방식의 정책 효과는 제한적일 가능성이 존재한다”면서 “코로나로 촉발된 충격의 파급효과를 초기에 단절시키고, 불안심리를 최소화하기 위해 각국 정부의 전례 없는 선제적 정책 운용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배근미 기자 (athena350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