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세 더딘 이강인, 발렌시아 경쟁·도쿄올림픽 어쩌나
입력 2020.02.14 10:00
수정 2020.02.14 10:01
기대 만큼의 성장 속도 내지 못해
팀 내부 경쟁도 치열..올림픽대표팀 합류도 장담 못해

한국 축구의 미래이자 발렌시아 특급 유망주 이강인(19)이 최근 기대 만큼의 성장세는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이강인은 지난 9일(한국시각) 스페인 마드리드서 펼쳐진 '2019-20 스페인 프리메라리가' 23라운드 헤타페전에 후반 25분 교체 투입됐지만 이렇다 할 활약은 보여주지 못했다.
이강인의 리그 10번째 경기였다. 올 시즌 선발 2경기, 교체로 8경기에 나섰다. UEFA 챔피언스리그에서는 5경기 모두 교체 투입, 비중이 작은 코파 델 레이에서는 2경기 선발 출장했다.
지난해 12월부터 지난달 중순까지 부상으로 이탈한 이강인은 최근 복귀 후 꾸준하게 출전 기회를 받고 있다. 문제는 경기력이다. 헤타페전에서도 교체로 출전했지만 전진 드리블이 여의치 않았고, 느린 템포와 백패스로 일관했다. 이 경기뿐만 아니라 코파 델 레이에서는 약체팀을 상대로 부진했다.
최근 흘러가는 분위기는 이강인에게 긍정적이지 않다. 지난달 31일 스페인 지역 매체 ‘데포르테 발렌시아노’는 “이강인이 1군에 온 이후 최악의 시간을 보내고 있다. 이강인의 거품이 꺼졌다”라고 꼬집었다.
이 매체는 발렌시아의 유망주 이강인과 페란 토레스를 비교하며 “토레스는 기량이 폭발했고, 현재 라 리가에서 훌륭한 보석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
토레스는 올 시즌 어엿한 발렌시아의 주전으로 자리 잡았다. 리그 22경기에 출전해 4골 4도움을 기록 중이다. 이 중 선발로 17경기 뛰었다. 지난 시즌 리그 24경기(선발 8경기, 교체 16경기) 2골 1도움과 비교하면 비약적인 발전이다.
토레스는 이강인보다 한 살 많은 2000년생이다. 장점은 유틸리성과 윙어로서의 경쟁력이다. 좌우 측면에서 뛸 수 있고, 크로스의 정확도가 높다. 팀 사정에 따라 공격형 미드필더, 최전방까지 소화할 수 있다. 184cm 77kg의 단단한 피지컬과 득점력까지 겸비했다.
이강인은 기술적으로 뛰어나지만 피지컬은 좋은 편이 아니다. 무엇보다 발렌시아의 4-4-2 포메이션에서 설 자리가 모호하다. 측면 윙어는 분명히 이강인과 맞지 않는 옷이다. 스피드와 활동량, 수비력에서도 약점이 뚜렷해 더블 볼란치에서 뛰는 것은 무리다.
발렌시아의 알베르트 셀라데스 감독은 공격형 미드필더가 주 포지션인 이강인에게 투톱의 한 자리에 맡기기도 한다. 문제는 이강인의 공격 포인트 생산력이다. 올 시즌 모든 대회 포함 총 17경기에서 1골에 머물렀다.
물론 이강인은 여전히 2001년생으로 10대다. 발렌시아도 이강인의 가능성을 눈여겨보고, 지난해 1월 1군 계약을 맺으며 바이아웃을 8천만 유로로 책정했다. 올 시즌 초반 중도하차한 마르셀리노의 후임으로 지휘봉을 잡은 셀라데스 감독은 비교적 이강인에게 꾸준한 출전 기회를 주고 있다.
하지만 프로의 세계는 냉정하다. 결국 실력으로 입증하지 못하면 살아남을 수 없다. 곤살로 게데스, 데니스 체리셰프가 부상에서 돌아올 경우 이강인의 입지는 크게 좁아질 수 있다.
올 겨울 오른쪽 풀백 알렉산드로 플로렌치가 임대 영입되면서 다니엘 바스가 오른쪽 윙어로 전진 배치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이라면 이강인은 벤치에 앉는 것조차 쉽지 않다.

이강인은 다가오는 2020 도쿄올림픽 출전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
2020 AFC U-23 챔피언십에서는 발렌시아의 차출 거부로 참가하지 못했지만, 올림픽 본선에서는 최종 엔트리에 포함될 후보로 손꼽힌다. 이름값이 이강인의 도쿄행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과연 김학범 감독이 올 시즌 후반기 소속팀에서 뛰지 못하는 이강인을 선발할지는 미지수다. 남은 기간 어떻게든 자신의 가치를 입증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