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 잇따른 화재로 안전성 이슈 재점화...시장 회복 지연되나
입력 2019.10.28 11:24
수정 2019.10.28 11:32
정부 원인조사·안전성 강화 조치 발표 이후에도 5건 발생
삼성SDI·LG화학 적극 나서..."단기간 내 수요 회복 어려워"
정부 원인조사·안전성 강화 조치 발표 이후에도 5건 발생
삼성SDI·LG화학 적극 나서..."단기간 내 수요 회복 어려워"
정부의 ESS 화재 원인조사 결과 발표와 최근 배터리 업체들의 안정성 강화 조치 발표 이후에도 화재가 지속되면서 국내 ESS 산업과 시장의 성장은 멈춘 상태로 회복 불능에 빠지지 않을까 걱정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2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전날 오후 경남 김해시 한 태양광발전설비에 설치된 ESS에서 화재가 발생하면서 안전성 우려가 다시 커지는 모양새다.
ESS는 발전을 통해 생산된 전력을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다. 전력을 저장하고 사용하는 매개체로 배터리가 활용되는 배터리는 생산된 전력을 충전했다가 사용시 방전하는 역할을 한다.
이번 화재로 지난 2017년 8월부터 최근까지 ESS 누적 화재는 28건이 됐다. 특히 지난 6월 정부의 ESS 사고원인 조사결과 및 안전성 강화 대책 발표 이후에도 5건이 추가 발생했다.
정부의 대책 발표 이후 발생한 예산‧평창‧군위 등에 대한 ESS 사고원인 조사단(2차 조사위)이 활동에 착수한 가운데 추가안전조치 이행비용으로 78억원을 투입하기로 결정하는 등 대응에 나섰지만 뒷북 대응 지적도 나오고 있다.
잇따른 화재 발생으로 국내 ESS 시장은 이미 얼어붙은 상황이다. 화재 원인 규명과 방지대책에도 안전성 우려가 팽배해지면서 수요가 발생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업계에 따르면 ESS용 배터리를 제조하는 삼성SDI와 LG화학의 국내 판매 실적은 거의 없는 상태다.
배터리 업계에서는 배터리 문제가 아님에도 ESS 안전성 추가 조치를 내놓고 있는 상황에서 기존 제품들에서 화재가 계속 발생하면서 안전성 우려가 증폭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안전성 우려가 더 커지면 자칫 국내 산업과 시장이 회복 불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는 위기감도 감지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사람들에게 ESS는 위험하다는 인식이 굳어질 수 있다는 점이 가장 걱정된다”며 “결국 안전성을 입증하는 방법 밖에 없지만 시간이 걸릴 수 밖에 없어 현재로서는 답답한 심정”이라고 말했다.
삼성SDI는 지난해 7월부터 이미 자사의 배터리가 채용된 1000여곳의 국내 전 사이트에 ▲외부 전기적 충격에서 배터리를 보호하기 위한 3단계 안전장치 설치 ▲배터리 운송이나 취급 과정에서 충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센서 부착 ▲배터리 상태(전압·전류·온도 등)의 이상 신호를 감지해 운전 정지 등의 조치를 할 수 있는 펌웨어 업그레이드 등을 설치해 왔다.
이러한 1단계 안전성 강화 대책이 이달로 마무리되는 상황에서 특수 소화시스템을 추가로 적용하기로 한 상태다. 약 7~8개월의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약 1500억~2000억원으로 예상되는 비용은 회사가 부담한다.
LG화학도 외부 전기충격으로부터 배터리를 보호하기 위해 모듈퓨즈, 서지 프로텍터, 랙퓨즈 등의 안전장치를 설치한 데 이어 연내 화재확산 방지 제품도 출시할 예정이다.
국제인증을 시험 통과한 상태로 추가 테스트가 마무리 되는대로 관련 시스템을 적용해 화재 확산 위험성을 최소화할 예정이다. 파이어프루르 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라는 블랙박스와 같은 역할의 장치도 설치해 화재 원인 규명의 정확도도 향상시키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국내 시장에서 수요 회복은 단기간내 이뤄지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일단 연말까지는 현재의 분위기가 유지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안정성이 입증되더라도 신뢰 회복을 통한 시장 성장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LG화학도 지난 25일 진행된 3분기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ESS용 배터리 국내 매출은 3분기까지 거의 전무한 수준으로 내년 국내 매출도 성장이 힘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광주 SNE 대표이사는 “정부와 업계에서 안전성 강화 조치를 잇따라 내놓고 있는 만큼 최근 잇따라 발생한 화재는 앞으로 잦아들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다만 한 번 신뢰에 타격을 받은 만큼 국내 시장에서 성장세를 회복하는데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