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車업계 감원 물결 속…쌍용차 해고자 복직 어쩌나

박영국 기자
입력 2019.08.27 06:00
수정 2019.08.26 11:34

해고자 잔여인원 내년 초 추가 복직…2013년부터 누적 700명

안식년제 도입 등 자구책 시급한데…인건부 부담 늘어

해고자 잔여인원 내년 초 추가 복직…2013년부터 누적 700명
안식년제 도입 등 자구책 시급한데…인건부 부담 늘어


쌍용자동차 평택공장 조립 3라인에서 근로자들이 렉스턴스포츠 차체와 프레임을 조립하고 있다.ⓒ쌍용자동차

자동차 업계의 감원 물결 속에서도 인원을 더 받아들여야 할 상황에 놓인 쌍용자동차에 대한 우려가 크다. 실적 부진으로 감원이 불가피하지만 지난해 노·노·사·정 합의에 따른 해고자 복직 스케줄을 이행하느라 오히려 충원을 해야 할 상황이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쌍용차는 지난 2009년 정리해고 사태 당시 회사를 떠났던 인원 중 복직을 약속한 마지막 48명을 늦어도 내년 초까지 정상 출근시킬 예정이다.

이들은 지난해 9월 쌍용차 사측과 쌍용차 노동조합, 금속노조 쌍용차지부, 경제사회노동위원회간 ‘노·노·사·정’ 합의에 따라 복직시키기로 한 해고자 119명 중 그해 12월 복직한 71명을 제외한 이들이다.

복직이 미뤄진 48명은 올해 7월 1일부로 서류상으로는 쌍용차 직원으로 복직했지만 인력 수요가 뒷받침되지 않아 회사로 출근하지는 못하고 있다. 사실상 ‘무급복직’ 상태인 셈이다.

쌍용차는 그동안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무급휴직자 및 희망퇴직자, 해고자 등을 단계적으로 복직시켜왔다.

2013년 초 무급휴직자 454명 전원 복직을 시작으로 2015년 노·노·사 3자 합의에 따라 2016년 2월 40명 및 2017년 4월 62명, 2018년 3월 26명 등 3차례에 걸쳐 희망퇴직자와 해고자 등에 대해 단계적으로 복직을 진행해 왔다. 지난해 말 복직시킨 해고자 71명과 내년 초 복직 예정인 48명을 포함하면 700명을 넘어서는 인원이다.

쌍용차는 2009년 구조조정 사태 이후 2016년 280억원으로 흑자에 턱걸이를 한 것을 제외하고는 매년 영업이익 적자를 기록했다. 지난해도 542억원 적자였고, 올해는 상반기에만 769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지난달 말에는 예병태 쌍용차 사장이 임직원 담화문을 통해 경영정상화를 위해 임원 감축과 조직개편, 안식년제 시행 등 비용 절감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히기까지 했다.

이미 임원 감축은 단행됐고, 판매량이 획기적으로 늘지 않는 이상 유휴 인력 발생에 따른 고정비 부담을 막기 위해 돌아가면서 1년씩 쉬어야 할 판이다. 이런 상황에서 추가로 인원을 받아들여 재교육 후 생산라인에 투입해야 하는 상황에 몰린 것이다.

119명이라는 해고자 숫자가 그리 크지 않아 보이지만 아직 경영정상화를 이루지 못한 쌍용차에게는 간단한 일이 아니다. 복직된 해고자는 회사를 떠나 있던 9년 간의 근속연수를 보장받는다. 신입사원 대비 연봉이 평균 2800만원가량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단숨에 고액연봉자가 대폭 늘어나는 셈이다.

업계에서는 지난해 노·노·사 합의에 정부가 끼어들면서 무리하게 해고자 복직 스케줄을 앞당긴 게 쌍용차에 큰 부담을 줬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당시 해고자에 대한 대법원 판결이 '사법농단' 이슈와 맞물리면서 악화된 여론에 밀린 쌍용차가 노·노·사·정 합의를 받아들인 게 화근이었다는 얘기도 나온다.

2015년 ‘노·노·사 합의’ 당시에는 복직 규모와 시기를 신차출시에 따른 매출 확대와 인력수요 증가 등 경영상황에 맞추기로 하는 등 비교적 유연한 방식이었다. 하지만 지난해 대통령 소속 경제사회노동위원회가 추가된 ‘노·노·사·정’ 합의에서 ‘2019년 상반기까지 전원복직’이라는 구체적인 스케줄이 나오면서 ‘감원을 해야 할 판에 충원을 하게 되는’ 상황에 내몰린 것이다.

쌍용차 관계자는 “해고자 복직은 사회적 합의를 이룬 내용인데다, 이미 회사에 적(籍)을 둔 인원들인 만큼 약속대로 늦어도 올해 말까지 휴직을 마치고 내년 초에는 회사로 출근하게 될 것”이라며 “불확한 요인들이 많이 있지만 판매 확대에 최선을 다해 부담을 최소화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영국 기자 (24py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