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업계, 내달 ESS협회 발족한다…자구책 마련 고심
입력 2019.07.28 06:00
수정 2019.07.28 06:25
업계 소통 및 협업 수준 대폭 제고
가동중단 ESS 사업장 속속 재가동
제조사, 배터리 안전성 강화 박차
업계 소통 및 협업 수준 대폭 제고
가동중단 ESS 사업장 속속 재가동
제조사, 배터리 안전성 강화 박차
차세대 먹거리로 평가받는 2차전지(배터리) 시장의 두 축 중 하나인 에너지저장장치(ESS) 업계가 다시 기지개를 펴고 있다.
잇따른 화재사고로 고사 직전에 몰린 ESS 업계가 정부 발표 이후 ESS협회 설립에 나서는 등 자구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국내 기업의 대규모 투자가 이어지고 있는 전기차 배터리와 달리 화재사고에 발목 잡혔던 ESS업계가 도움닫기에 나선 것이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내달 초 ESS 생태계 전분야를 아우르는 ESS협회를 설립한다. 업계 소통과 협업 수준을 대폭 제고하는 것은 물론 업계 차원의 시스템적 대응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이는 정부가 지난 6월 발표한 ESS 산업 생태계 경쟁력 강화 방안의 일환이기도 하다.
앞서 정부는 지난 6월 11일 ‘민관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 위원회’가 실시한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결과를 공개했다. 조사결과 ESS 제조‧설치‧운영 등 전 단계에 걸쳐 미흡사항이 발견됐고 이를 토대로 안전관리 강화에 나서고 있다.
아울러 정부는 ‘종합안전강화대책 및 ESS 산업생태계 경쟁력 지원방안’을 발표하면서 ESS산업을 미래 신산업으로 인식하고 산업을 육성하겠다는 의지를 재차 천명했다.
실제로 ESS용 리튬이온전지의 세계 시장 규모는 2025년까지 연평균 37%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유망사업이다.
정부 발표 이후 ESS업계는 정상화를 위해 애쓰고 있다. 특히 배터리 제조사는 2중‧3중의 안전성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LG화학의 경우 지난 2일 CEO 기자간담회에서 배터리 안전성에 대해 강조했다.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은 이 자리에서 “ESS 화재 원인이 배터리 문제는 아니라고 공식적인 발표가 났지만, 현재보다 제품의 디자인, 보호 장치 등을 더 강화하는 설계를 추진하고 있다”며 “향후에도 어떤 화재가 발생하지 않도록 우리가 할 수 있는 분야에서는 품질 개선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가동 중단된 ESS 사업장도 차츰 재가동에 들어가고 있다. 정부 발표에 따라 ESS 사업장은 ‘ESS 안전관리원회’가 사업장별 특성을 고려해 권고한 조치사항을 적용하면 재가동할 수 있다.
다만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된 ESS 사업장은 추가 안전조치 등으로 재가동에는 시일이 더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정부는 화재사고가 연이어 발생하자 가장 먼저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된 ESS 가동을 전면 중단하도록 한 바 있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안전조치 사항이 확인된 사업장은 재가동에 들어갔다”며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된 ESS 사업장의 경우 인명사고 우려 등으로 소방특별조사 등이 추가로 진행돼 조금 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아울러 내달 출범할 ESS협회는 업체의 보험부담도 덜어줄 방침이다. 화재사고가 잇따르자 ESS 보험요율(보험한도액 대비 보험가입액)은 지난해 6월 0.23%에서 올 4월 0.88%로 상승해 부담이 배로 커졌다.
업계 관계자는 “단체보험 형태의 새 보험 상품을 개발할 방침”이라며 “이르면 9월초 늦어도 9월말에는 단체보험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