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확보 '쓰리트랙 전략' 통할까
입력 2019.07.17 14:37
수정 2019.07.17 16:03
삼성전자·SK하이닉스·LGD...국산화 노력에 대체 조달 검토
日 현지 네트워크 유지 노력...최악의 시나리오 대비 차원
삼성전자·SK하이닉스·LGD...국산화 노력에 대체 조달 검토
日 현지 네트워크 유지 노력...최악의 시나리오 대비 차원
국내 반도체디스플레이업체들이 일본 정부의 반도체 핵심 소재 수출 규제 강화에 대응해 국산화와 함께 타 국가에서 조달도 검토하고 있다. 또 실제 생산공정에 적용 안 될 경우에 대비한 일본 현지업체와의 해법 모색도 병행하고 있어 이러한 쓰리트랙 전략이 성공을 거둘 수 있을지 주목된다.
1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국산 고순도 불화수소(에칭가스) 품질 테스트에 착수한 상태다. 고순도 불화수소는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에 쓰이는 핵심 소재로 현지 테스트 중인 소재는 중국이나 대만 등에서 핵심원료를 수입해 가공·생산하는 국내 업체들의 제품인 것으로 알려졌다.
LG디스플레이도 반도체 업체들에 비해 사용량은 적지만 일부 대체 가능한지 여부를 테스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중국과 대만 등 중화권과 러시아 등지에서 대체 공급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중국 인터넷매체 상하이증권보는 16일(현지시간) 산동성 소재 화학회사인 방훠그룹(Befar Group)이 한국 일부 반도체 기업으로부터 불화수소 주문을 받았다고 보도했다. 이에앞서 러시아에서 정부 차원에서 최근 한국 정부에 공급 가능성을 타진했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이는 기존에 주로 사용하던 일본산 제품을 대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지난 4일부터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 소재 3종(고순도불화수소·리지스트·플루오린 폴리이미드)에 대한 수출 규제 강화 조치를 시행했다.
수입 의존도가 90%가 넘는 다른 두 제품에 비해 고순도 불화수소는 일본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낮지만 비중을 무시하기는 어려운 수준이다. 한국무역협회 등에 따르면 올해 1∼5월 에칭가스 수입은 중국산이 46.3%로 가장 많았지만 일본산도 43.9%로 이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대체 가능 여부를 검증하는 절차가 최소 2~3개월, 길게는 수개월 가량이 소요될 수 있는 상황이다. 테스트를 거친다고 해도 실제 양산 공정에 적용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기술 축적의 역사 차이가 많이 나는 만큼 국산화나 다른 국가 소재가 대체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회의론도 적지 않다.
반도체업계 한 관계자는 “각 공정에서 장비·부품·소재 등의 미세한 차이에도 제품의 품질은 현격한 차이를 보일 수 있다”며 “속단하기에는 이르지만 대체가 쉽게 이뤄질 수 있을지에는 의문부호가 찍힌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각 업체들은 생산공정에 적용하는 것이 불가능할 것이라는 최악의 시나리오에 대비해 대한 마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일본 현지 업체들과의 네트워크 강화에 노력하고 있는 것도 이러한 차원에서 이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 7일부터 12일까지 엿새간 일본 출장을 통해 현지 재계 관계자들과 만남을 가지며 분위기를 감지한 데 이어 김동섭 SK하이닉스 대외협력총괄 담당 사장도 16일 일본 현지 원자재 협력업체들을 방문하기 위해 출국했다.
일본 정부가 핵심소재 3종의 한국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최종 사용자(엔드 유저·End User)까지 확인하는 등 수출 통제를 강화하고 있다는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식의 수출 통제가 강화될 경우, 제 3국을 통한 우회 수입도 원천 봉쇄되는 만큼 현지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서라도 네트워크를 풀 가동해 활로를 모색해야만 하는 상황이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현재 양국 정부의 기조로 봐서는 일본의 핵심소재 수출 규제는 강화됐으면 강화됐지 완화될 것 같지는 않다”며 “공급선 다변화를 꾀하더라도 물량 비중을 감안하면 일본 소재도 필요한 만큼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는게 최선”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