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베트남行 시나리오'는 없던 일로
입력 2019.02.17 04:00
수정 2019.02.17 07:28
1차 북미정상회담처럼 '모니터'로 지켜볼듯
'한반도 운전자론' 당사국으로 다소 아쉬워
1차 북미정상회담처럼 '모니터'로 지켜볼듯
'한반도 운전자론' 당사국으로 다소 아쉬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베트남에서 정상회담을 마치고 문재인 대통령과 함께 남북미 3자 정상의 종전선언을 하는 그림이 가시권에서 멀어졌다.
문 대통령이 북미정상회담이 열리는 오는 27일 청와대에서 정상외교 일정이 잡힌 것으로 알려지면서 베트남행(行)은 사실상 무산됐다.
이에 따라 문 대통령은 국내에서 북미회담 결과를 지켜보면서 한반도 비핵화 전략을 가다듬을 것으로 예상된다.
1차 회담때는 막판까지 싱가포르행 가능성
당초 베트남 회담 일정이 확정된 이후 남북미 3자 정상이 하노이에서 함께 손을 맞잡을 것이란 기대감이 컸다. 청와대 역시 가능성을 부인하지 않았다. '베트남 초청장이 오는 것이 최상의 시나리오'라는 얘기도 나왔다.
앞서 청와대는 지난해 6월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 직전까지 문 대통령이 싱가포르로 건너가 남북미 정상이 함께 손을 맞잡는 시나리오에 대한 미련을 놓지 못한 바 있다. 문 대통령이 회담 다음날 실시되는 6.13지방선거 사전투표에 역대 대통령 최초로 참여하면서 '심증'을 굳히기도 했다.
당시 청와대는 문 대통령의 싱가포르 방문 여부에 대해 "북미회담 성과에 연동된 사안이다", "북미 간 의제 등 회담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고 했다가 회담 개최가 임박하고 나서야 "가능성은 낮아지고 있다"고 했다. 결국 문 대통령은 회담 당일 국무회의에서 모니터를 통해 북미 정상의 만남을 지켜봤다.
또 다시 먼발치에서...당사국으로 아쉬움 남아
정부는 북미 양자 간 종전선언이 이뤄지더라도 나쁠 게 없다는 입장이다. '종전선언과 평화협정을 통해 한반도의 정전체제를 종식시킨다'는 게 문 대통령의 구상이었다. 다만 이 경우 '한반도 운전자론'을 주창한 문 대통령 입장에선 멀리서 박수만 쳐야하는 모양새가 다소 아쉬울 수밖에 없다.
다만 이번 정상회담 기간 문 대통령의 베트남행이 완전히 닫힌 것은 아니다. 북미 간 실무협상 진척 과정에 따라 막판 '깜짝 합류' 가능성은 여전히 열려 있다. 청와대도 북미 간 협상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돌발변수 등 진행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시나리오별로 대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