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디스플레이 굴기' 턱밑까지 추격...韓, OLED 수성 최대 과제
입력 2018.12.18 06:00
수정 2018.12.18 06:11
중국에 주도권 넘겨 준 LCD...OLED 초격차 기술 구현 중요
스마트폰·TV 이어 핵심부품 경쟁력 상실시 생태계 악화 우려
중국에 주도권 넘겨 준 LCD...OLED 초격차 기술 구현 중요
스마트폰·TV 이어 핵심부품 경쟁력 상실시 생태계 악화 우려
디스플레이 업계에서 중국의 추격이 거세지고 있다. 스마트폰과 TV 등 완제품에서 경쟁력을 상당히 따라잡은 중국 업체들이 부품으로 영역을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디스플레이가 스마트폰과 TV의 가장 중요한 부품이라는 점에서 관련업계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17일 디스플레이업계에 따르면 스마트폰과 TV 등 완제품에 이어 주요 전자 부품인 디스플레이까지 중국의 거센 추격에 시달리면서 내년도 황색바람의 공세가 커질 전망이다.
중국 최대 디스플레이 업체 BOE는 최근 세 번째 6세대 플렉시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공장 'B12' 건설에 착수했다. 첫 번째 공장(B7)이 생산 수율 안정단계로 두 번째 공장(B11)도 조성 단계지만 세 번째 공장 건설에 나선 것이다.
액정표시장치(LCD)에 비해 국내 업체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격차가 있는 OLED에서 추격의 고삐를 바짝 당기고 있는 것이다. 글로벌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OLED 비중이 60%를 넘어선 상황에서 중국의 추격전은 신경이 쓰이지 않을 수 밖에 없는 대목이다.
시장조사기관 IHS마킷에 따르면 올 3분기 스마트폰용 디스플레이 시장 매출은 총 107억9999억달러(약 12조2525억원)으로 이 중 OLED 패널 비중은 약 61.1%(66억403만달러)를 차지했다.
아직까지 스마트폰용 중소형 OLED 패널 시장의 절대 강자인 삼성디스플레이와는 상당한 격차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올 3분기 OLED 패널 시장에서 매출 기준 점유율 93.3%로 독보적인 지위를 확보하고 있고 특히 플렉시블 올레드 시장에서는 94.2%의 점유율로 독점적 지위를 확고히 확고하게 구축한 상태다.
LCD를 포함한 전체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시장에서도 3분기 점유율 58.4%로 2·3위인 중국 BOE(7.8%)와 톈마(7.7%)를 압도적인 수치로 따돌리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툭히 전체 출하대수 기준 삼성디스플레이 점유율은 22.8%로 떨어지는 등 고부가가치 프리미엄 제품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쟁력은 BOE 등 중국 업체들이 당장 따라오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다만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등에 업은 중국의 디스플레이 굴기는 여전히 신경이 쓰이는 부분이다. 중국 정부는 디스플레이를 국가 육성산업으로 지정하고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 중국 BOE는 지난해 LG디스플레이를 제치고 TV용 대형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1위에 오른 뒤 여전히 톱의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시그메인텔에 따르면 BOE는 지난 3분기에도 1460만대의 TV 패널을 출하해 LG디스플레이(1228만대)를 제치고 1위를 수성했다.
중국은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하에 BOE·차이나옵토일렉트로닉스(CSOT)·티안마(Tianma) 등 관련 기업들이 빠르게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 등 국내 주요 인력들을 빼가면서 생산과 제조 노하우 획득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이 때문에 국내에서는 이미 주도권이 넘어간 LCD의 비중을 줄이고 OLED에서 초격차 기술을 구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스마트폰과 TV 등 완제품에서 중국과의 격차가 거의 사라진 상태에서 이들 완제품의 가장 핵심적인 부품인 디스플레이에서 경쟁력을 상실할 경우, 전자·가전 생태계 전체가 악화될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OLED는 중소형에서는 삼성디스플레이가, 대형에서는 LG디스플레이가 독보적인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어 당분간 따라 잡히지는 않을 것”이라면서도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속에서 막대한 자금으로 전문인력과 기술을 빼가는 중국 기업들에 대한 경계심을 늦춰서는 안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OLED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업계 차원의 노력으로만 어려운 만큼 정부 차원의 중장기 전략과 방안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