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환영할 수 없는자②] 테러로 죽어간 희생자들…총 3094회
입력 2018.12.12 05:00
수정 2018.12.12 06:05
1950~2016년간 국지도발 1117회 · 침투1977회
민간인·해외영토 가리지 않는 잔혹 테러…공식사과 ‘無’
판문점·평양선언 이후에도 ‘테러’는 계속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답방을 앞두고 한국에 때 아닌 '김정은 바람'이 불고 있다. 서울시민환영단·백두칭송위원회 등 환영 단체가 우후죽순 등장했고, 급기야 광화문 광장에서 "김정은 위원장은 위인이다"는 외침이 울렸다. 김정은의 서울 답방은 한반도 비핵화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북한 김씨 일가의 손에 묻은 희생자들의 피는 씻을 수 없을 정도로 짙으며, 김정은은 그에 따른 사죄는커녕 오히려 남한에 책임을 지우는 적반하장의 태도를 취하고 있다. 왜 김정은이 환영 받을 수 없으며, 또 그래야만 하는지 김씨 일가에 의해 희생당한 이들을 헤아려봤다. [편집자주]
-글 싣는 순서-
[김정은, 환영할 수 없는자①] 전쟁으로 죽어간 희생자들
[김정은, 환영할 수 없는자②] 테러로 죽어간 희생자들
[김정은, 환영할 수 없는자③] 숙청으로 죽어간 희생자들
[김정은, 환영할 수 없는자④] 앞으로 죽어갈 희생자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격언이 있다. 한반도 미래가 중대한 기로에 서있는 시점에서 이 격언은 의미가 더욱 각별하게 다가온다.
북한은 6.25전쟁 발발 이전부터 한국 사회의 혼란 극대화 및 붕괴를 목표로 도발을 수차례 감행해왔다. ‘2016 국방백서’에 따르면 북한은 1950년부터 2016년 11월 30일까지 총 1977회의 침투를 시도했고 1117회의 국지도발을 벌였다.
북한은 때때로 군사적 지역이 아닌 사회 일상의 영역에 침투해 민간인들을 타깃으로 한 잔혹한 테러도 서슴지 않았다. 테러 장소는 국내와 해외를 가리지 않았고 무고한 희생자들의 상처는 여전히 치유되지 않은 채 남아있다.
1967년 1월 19일, 북한군은 강원도 동쪽 해상에서 우리 어선을 보호하던 대한민국 해군 초계호위함에 해안포를 발사했다. 이 공격으로 우리 함선은 침몰했고 승조원 79명 중 39명이 사망했다. 사건 직후에도 북한 해군은 우리어선 납북을 수차례 감행했고 한 어선에 200발 이상의 포탄을 발사해 침몰시키기도 했다.
1983년 10월 9일, 북한은 미얀마의 수도 양곤에 위치한 아웅산 묘소에 공작원을 파견해 전두환 전 대통령을 겨냥한 폭파 암살을 시도했다. 전 대통령은 우연히 사건 현장에 없어 화를 면했지만 한국의 외교사절단과 취재기자 등 17명이 숨졌고, 14명이 중경상을 입는 큰 피해를 입었다. 아울러 현장에 있던 미얀마 정부 관계자 4명이 폭발에 사망했고 3명은 북측 공작원들을 체포하는 과정에서 순직했다.
1986년 9월 14일에는 북한으로부터 500만달러를 받은 이슬람 테러조직이 김포국제공항에서 폭탄테러를 감행했다. 이 테러로 일가족 4명과 공항관리공단 직원 1명 등 총 5명이 숨지고, 33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1987년 11월 29일에는 바그다드에서 서울로 향하던 대한항공 비행기가 김현희 등 북한 공작원 2명에 의해 폭파해 탑승자 115명이 전원 사망했다. 이들 사건은 1988서울 올림픽의 유치를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의 이미지에도 큰 타격을 가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 정부의 ‘햇볕정책’으로 남북관계에 새로운 봄바람이 불 때도 북한의 도발은 계속 됐다. 1999년 6월 15일 서해 연평도 인근 해상에서 북한 해군의 선제도발로 ‘제 1차 연평해전’이 발발했고 우리 해군 7명이 부상당했다.
이어 2002년 6월 29일 연평도 부근 NLL 일대에서 북한 해군 경비정의 선제 포격도발로 ‘제 2차 연평해전’이 발발했고 우리 해군 6명 전사, 18명이 부상당하는 피해를 입었다.
또 2008년 7월 11일, 북한으로 금강산 관광을 간 우리 국민 박왕자씨가 호텔 밖 해안가를 산책하다가 조선인민군 육군 초병이 등 뒤에서 쏜 총탄에 의해 사망했고, 2010년 3월 26일에는 백령도 근처 해상에서 대한민국 해군의 초계함 천안함이 폭침 당해해 해군 장병 46명이 사망했다.
같은 해 11월 23일에는 북한이 연평도에 포격을 가해 해병대 전사자 2명. 군인 중경상 16명, 민간인 사망자 2명, 민간인 중경상 3명등의 큰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북한은 핵 초토화로 전 세계를 위협하고 외국 영토에서의 암살 등을 포함한 국제적인 테러리즘을 지원하는 행동을 되풀이 해왔다”며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했다.
이에 북한 외무성 대변인은 “미국이 우리에게 테러의 모자를 씌우든 말든 개의치 않는다”며 “이런 날강도 깡패무리와는 언제든, 어떤 식으로든 톡톡히 계산해야 한다는 의지를 더욱 굳히고 있다”며 강한 불만을 표출했다.
이같은 태도에서 알 수 있듯이 북한은 일부 대남 테러·도발행위의 주체임을 간접적으로 인정은 하면서도 공식적인 사과를 내놓은 적은 단 한 번도 없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지난 4월 천안함 폭침 사태에 대해 “남조선 보수패당이 조작해낸 치졸한 모략극”이라고 주장했고, 지난해 11월에는 “연평도 포사격전의 통쾌한 승리는 위대한 최고사령관을 높이 모신 인민군의 불패 기상을 과시한 일대 사변”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외에도 북한은 국내에서 과거사에 대한 사죄를 받아내야 한다는 여론이 거세질 때마다 '관계개선 분위기를 해치는 행동을 하지 말라'며 논의들이 공론화 되는 것을 선제적으로 차단하기에 바빴다.
한편 판문점선언과 평양공동선언을 계기로 남북화해분위기가 최고조에 달한 지금도 북한의 대남 테러행위는 계속되고 있다. 북한의 화해 진정성에 대한 의구심을 가지지 않을 수 없는 부분이다.
서훈 국가정보원장은 지난달 22일 비공개로 열린 국회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북한이 계속해서 국제적으로 해킹을 하는 것은 확실하고,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 정부가 박차를 가하고 있는 ‘4차산업혁명 국가’에서 해킹 등 사이버테러 행위는 폭탄과는 비교도 안 되는 위협이 될 수 있다. 남북은 지난 9월 군사합의를 통해 일체 적대행위를 금지하기로 합의했지만 지상·해상·공중·우주에 이어 ‘제 5전장’으로 꼽히는 ‘사이버공간’에서의 적대적 행위를 금지하는 내용이 부재된 틈을 노리는 것이다.
이처럼 북한의 도발과 테러로 우리 국민이 피해를 입은 역사는 1만년전, 1000년전에 종결된 것이 아니라 바로 오늘까지 계속되고 있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명언이 더욱 무겁게 느껴지는 이유다.
북한의 죄악은 세월과 화해만으로 결코 치유될 수 없다. 모든 적대행위의 최종 결정권을 쥐고 있던 ‘북한 최고지도자’의 진정성 있는 사과만이 상처를 회복하고 재발을 방지하는 길이다. 남북이 평화·번영의 미래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가슴 아픈 비극의 역사를 직시하고 끝매듭을 지어야 한다. 그 격언대로, 역사를 잊고 전진하려는 한민족에게 나아갈 미래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