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김영무 선주협회 부회장 "황산화물 대책 미흡..내년 대혼란 온다"
입력 2018.10.31 06:00
수정 2018.10.31 06:09
"IMO, 황산화물 규제 대책 정유황유만 했어야..혼란 자초"
정부, 저유황유·스크러버 공급 지원 시급
"IMO, 황산화물 규제 대책 정유황유만 했어야..혼란 자초"
정부, 저유황유·스크러버 공급 지원 시급
"내년 말부터 글로벌 시장에 큰 혼란이 올겁니다."
지난 30일 여의도 해운빌딩에서 만난 김영무 한국선주협회 부회장은 "황산화물(SOx) 규제에 대한 뾰족한 해법"이 없다며 이 같이 우려했다.
국제해사기구(IMO)는 최근 선박에 사용되는 연료유의 황함유량을 기존 3.5%에서 0.5% 낮추도록 합의했다. 규제 발효는 오는 2020년으로, 그 전까지 해운사들은 기존 고유황유(벙커C유) 대신 저유황유를 확보하거나 황산화물을 0.5% 이하로 낮추는 스크러버(탈황장치)를 달아야 한다. 황함유량이 거의 없는 LNG연료를 쓰는 LNG추진선도 대안 중 하나로 꼽힌다.
김 부회장은 애초 IMO가 대안을 저유황유 한 가지로 제한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스크러버 등 다른 대안들이 추가되면서 시장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는 것. 리스크 역시 해운사만 짊어지도록 한 것도 편향적인 대책이라고 꼬집었다. 황함유량 기준을 미달한 선박은 앞으로 입항이 금지된다.
그는 "연료유 공급은 정유사임에도 책임은 해운사가 져야 하는 상황"이라고 지적한 뒤 "저유황유 뿐 아니라 스크러버도 대안으로 추가하면서 시간이 얼마 남지 않은 선사들이 혼란스러워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3가지 대안 모두 불안요소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스크러버의 경우 장치를 달 수 있는 선박(글로벌 기준)이 약 2만척이나, 연간 스크러버 공급량은 1500개로 국제 기준에 맞추려해도 물량이 안된다"며 "설치를 하더라도 나중에 고유황유와 저유황유 가격갭이 줄어들거나 역전될 수 있어 선사들이 망설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탈황 과정에서 나온 황산 찌꺼기(슬러지) 처리 문제 등은 새로운 환경 규제를 낳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규제가 또다른 규제로 이어진다는 것.
대체연료인 LNG의 경우 황함유량은 낮으나 메탄 발생 우려가 있다. 김 부회장은 "결국 LNG도 100% 친환경이 될 수 없다. 가격도 비싸고 연료탱크 자체가 부피를 많이 차지해 효율성이 적다"고 말했다.
이렇다보니 글로벌 선사들의 선택도 제각각이다. 덴마크 선사 머스크는 저유황유를, 스위스 MSC는 스크러버, 프랑스 CMA-CGM은 LNG선에서 해답을 찾고 있다. 현대상선은 새로 짓는 선박에 스크러버를 달기로 했고, SM상선은 대부분 저유황유를 활용할 계획이다. 벌크선사인 팬오션은 스크러버 탑재를 놓고 화주들과 협의중이다.
나머지 선사들은 자력으로 스크러버 설치가 힘들다. 설치 공간이 없는데다 있더라도 유동성이 부족해 사실상 대다수의 선사들이 저유황유를 쓰게 될 전망이다. 김 부회장은 "스크러버나 LNG연료는 시간과 비용상 쉽지 않다. 상당수의 선사들이 저유황유를 쓰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규제가 시행되면 국내에 필요한 저유황유 규모는 총 1121만톤으로, 이중 국내에서 300만톤 이상을 소화할 수 있도록 정유사들이 공급능력을 확대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일부 스크러버를 도입하는 선사들에겐 설치비용 대출 지원과 보증서 발급 등이 병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협회는 스크러버 탑재가 가능한 국내 477척에 들어가는 비용이 5년간 20억3200만달러 가량 발생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끝으로 환경규제는 해운업계만의 문제가 아니라고 재차 강조했다. 김 부회장은 "배가 입항하지 못하면 무역이 멈추는 것이고 전세계가 멈추는 것"이라며 "해운업계에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라 공급하는 정유사, 무역업계까지 파급력이 미친다"며 공동의 관심사로 풀어낼 것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