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가족 100명씩 언제 6만명 만날까…이번에도 상봉 정례화 ‘불발’
입력 2018.06.25 15:29
수정 2018.06.25 16:13
南 이산가족 5만6890명 중 80세 이상 63.2%…생사확인·화상상봉 대안 논의돼야
南 이산가족 5만6890명 중 80세 이상 63.2%…생사확인·화상상봉 대안 논의돼야
남북이 오는 8월 20일~26일 제21차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갖기로 합의하면서 2년 10개월 만에 '눈물의 상봉'이 이뤄지게 됐다. 다만 이번에도 남북 양측 100명으로 제한된 '반쪽 상봉'에 그쳐 나머지 5만 여 명 이산가족의 한을 풀어주기는 요원해졌다.
이번 남북적십자회담에서 우리 측 수석대표를 맡은 박경서 대한적십자사(한적) 회장은 "(북측과) 인도주의적 원칙에 의한 이산가족의 근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동으로 노력하고 만나기로 합의했다"며 생사확인, 상봉 정례화, 영상 상봉, 고향 방문까지 더 깊고 장기적인 문제들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상봉 날짜와 규모 외 근본적인 이산가족 문제 해결은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서, 생사여부조차 확인할 길이 없는 이산가족들은 이번 적십자회담 결과가 부족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번 상봉 행사는 8월 20일부터 7일 간 금강산에서 개최되며, 남북 각각 100명이 상대측 가족을 만나게 된다. 문제는 우리측 이산가족이 5만6890여 명으로, 매달 100명씩 만난다고 해도 꼬박 50년이 걸린다.
이중에서도 3만5960명(63.2%)이 80세 이상인 고령인 점을 고려하면 상봉 규모가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관련 연구에 따르면 80~90대에 이른 1세대들이 생애 한 번이라도 가족을 만나기 위해서는 이산가족 상봉 규모가 1회당 최소 7300명이 돼야 한다는 분석도 있다.
대한적십자사는 이산가족 상봉 행사에 참여할 500여 명 선정을 위한 컴퓨터 추첨에 들어갔다.
이는 최종 선정 인원의 5배수로, 개별 연락을 통해 상봉 의사와 건강상태 등 확인을 거친 뒤 다시 2배수인 200명으로 압축된다. 이 명단을 북측에 보내 가족, 친지 생사 여부 확인 뒤 최종 100명이 선정된다.
이처럼 상봉 규모가 제한적이라면 이산가족 생사 확인이라도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후 서신 왕래, 화상 상봉 등 다양한 대안이 논의돼야 한다는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
한편, 남북은 이산 상봉을 비롯한 인도적 문제들을 계속 협의키로 하면서 상봉 규모 확대 및 정례화, 생사 확인과 서신 교환, 고향 방문, 화상 상봉 등 이산가족 문제의 전면적 해결 가능성을 열어뒀다.
남북은 오는 8월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앞두고, 7월 3일 생사확인 의뢰서를 교환한 뒤 25일까지 회보서를 보내고, 8월 4일 최종 대상자를 선정해 명단을 주고받기로 합의했다. 이에 선정된 남측 이산가족들은 상봉 하루 전날 방북 교육을 받은 뒤 이튿날 상봉 장소인 금강산 면회소로 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