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중재외교’ 고비…북미 ‘보증’ 잘못섰나
입력 2018.05.25 12:31
수정 2018.05.25 14:21
‘한반도 운전자론’ 힘 잃어…“북미정상 직접대화해야”
정의용 “북미회담 99.9%”했는데, 청와대 책임론 지적도
‘한반도 운전자론’ 힘 잃어…“북미정상 직접대화해야”
정의용 “북미회담 99.9%”했는데, 청와대 책임론 지적도

6.12북미정상회담이 취소되면서 문재인 대통령의 '북미 중재외교'가 최대 고비에 직면했다. 4.27남북정상회담 이후 가속도를 내온 문 대통령의 '한반도 운전자론' 역시 급제동이 걸린 모습이다.
당장 청와대는 당혹스러운 표정이다. 문 대통령이 한미정상회담을 마치고 귀국하자마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회담 취소를 전격 발표하면서 '중재외교'가 틀어지게 됐다. 더욱이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회담 취소를 발표하면서 사전에 우리정부와 상의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일단 문 대통령은 북미 간 '대화방식'에서 엇박자가 난 것으로 보고 '직접소통'을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문 대통령은 25일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 위원들을 긴급소집해 "지금의 소통방식으로는 민감하고 어려운 외교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며 "정상 간 보다 직접적인 대화로 해결해 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북미회담이 99% 성사됐다(정의용 안보실장)"던 청와대의 섣부른 낙관론도 도마에 오르고 있다. 청와대 안팎에선 "보증을 잘못섰가다 낭패를 당한 꼴"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지금이 핫라인 첫 통화해야할 적기"
이 같은 상황에서 문 대통령이 '남북 핫라인(직통전화)' 수화기를 들어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설득하는 방안이 해법으로 거론된다.
청와대와 노동당을 연결하는 핫라인은 지난 4월 개통됐지만 실제 정상 간 통화는 계속 미뤄지고 있다.
청와대는 통화 가능성 여부에 대해 입을 굳게 다물고 있지만, '통화의 시기보다 내용이 중요하다'는 입장이다. 첫 통화의 상징성을 감안하면 "현재 상황이 수화기를 들 적기"라는 분석이다.
문 대통령의 '외교멘토'인 문정인 외교안보 특보도 "남북정상이 오해를 극복하기 위해 핫라인으로 통화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