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당·정의당 ‘7대 정책공조 과제’ 발표…대표체제는 미정
입력 2018.03.23 16:22
수정 2018.03.23 16:22
양당, 개헌·선거제도 공조 집중 예상
다음 주 단체 명칭 및 원내대표 결정

민주평화당과 정의당은 23일 공동교섭단체로 평화정착, 헌법개정 및 선거제도 개혁 등 함께 할 7대 정책공조 과제를 발표했다.
이용주 민주평화당, 윤소하 정의당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공동교섭단체와 관련한 중간 논의 사항을 밝혔다.
두 당이 발표한 7개 정책공조 과제는 △한반도 평화실현 △개헌·선거제도 개혁 △특권 없는 국회와 합의민주주의 △노동 존중과 좋은 일자리 △식량주권실현과 농축산 미래환경산업 육성 △골목상권과 소상공인 보호육성 △검찰과 국정원 등 권력기관 개혁 앞장 등 이다.
이 원내대표는 "7대 정책공조 과제는 대부분 큰 이견 없이 합의했다"며 "최종합의를 통해 다음 주 중에 최종안을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윤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번 공동교섭단체 구성과 관련해 평화당과 정의당은 빨리 협상을 마무리 짓고 본격적으로 활동을 하자는 방침"이라고 말했다.
교섭단체 명칭에 대해서는 최종 결정을 유보했다. 이 원내수석부대표는 "'정의와 평화의 의원모임'과 '평화와 정의의 의원모임' 두 가지 안으로 압축됐다"며 "최종으로 어느 것을 결정할지는 며칠간 상의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단체의 대표체제 또한 최종 결정이 이뤄지지 않았다. 양당 원내대표가 공동 대표를 맡지만 국회 공동교섭단체 등록에는 원내대표를 한 명을 지정해야 한다. 때문에 어느 당이 대표를 맡게 될지는 추후 논의를 더 이어가기로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