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하] 보편요금제 학계 시선은?... “법적 근거 없어”
입력 2017.07.27 08:45
수정 2017.07.27 22:32
<보편요금제 인상 논란-하> 인가제보다 더 강력한 규제
장기적인 관점에서 설계돼야...투자 여력 훼손하면 안 돼

<보편요금제 인상 논란-하> 인가제보다 더 강력한 규제
장기적인 관점에서 설계돼야...투자 여력 훼손하면 안 돼
미래창조과학부가 보편요금제 도입 근거를 담은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을 연내 발의한다. 정부가 사업자들의 보편요금제 출시를 의무화함으로써 가계통신비 절감에 직접 나서겠다는 것이다. 이에앞서 지난 21일 미래부가 공개한 보편요금제 초안에 따르면, 월 1만원 요금 인하의 효과가 기대되지만, 정부의 과도한 시장 개입이란 지적도 일고 있다. 여기에 시민단체들은 가계통신비 경감 수준이 부족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보편요금제가 첫 발을 뗐지만, 시장 개입 논란 등과 함께 법안 통과 시행까지 험로가 예상되고 있다. 비록 초안이지만, 정부의 의중이 담긴 만큼 소비자들에게 얼마만큼의 혜택이 돌아가고, 이통업계에 미치는 영향은 또 무엇인지 짚어보고자 한다. -편집자 주-
-글 싣는 순서- |
(상)도마 위 오른 보편요금제, 얼마나 싸질까 (중)정부가 특정 요금제까지 손본다? 우려반 기대반 (하)“법적 근거 없어” 보편요금제 보는 학계 시선은? |
"시장흐름에 역행하는 정책"

김 교수는 “가격 인하가 시급하다면 차라리 알뜰폰을 활성화시키거나, 경쟁이나 다양한 요금제 출시를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정부가 2011년부터 시장경쟁활성화를 위해 육성했던 알뜰폰 사업이 있는만큼, 이같은 요소들을 통해 간접적으로 가격 인하를 해야 한다는 의미다.
그는 “정부가 직접 요금제 개편에 손을 대는 것은 옳지 않다”며 “근본적으로 보편요금제 출시는 맞지 않다”고 거듭 강조했다.
"정부가 민간회사의 가격과 마케팅 결정을 몰아부치는 것은 위법"

실효성에 대해서도 의문을 표했다. 이 교수는 “보편요금제가 시행되면 5% 정도 통신비가 인하된다고 하는데 한 달에 많아야 몇 천원에 지나지않아 체감하기도 어려운 수준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교수는 “가계통신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 지출의 4%가 채 되지 않는다”라며 “실제 지출은 주거비, 교육비가 상당부분을 차지하는데 정부는 이같은 개인이 통제하기 어려운 품목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분석했다.
그는 “해외의 경우, 다양한 형태의 결합상품을 통해서 통신료가 내려가는 추세”라며 “다른 나라에는 없는 선심성 공약 때문에 정부가 시장 개입하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것은 아닐지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투자여력 훼손시키면서까지...대선공약때문이라면 비합리적"

강 교수는 “통신은 경쟁을 주도하는 산업 중 하나이고 4차 산업혁명까지 도래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보편요금제를 도입하면 사업자들 재무구조가 안좋아지는 것은 필연적"이라면서 "투자 여력까지 훼손시키며 요금인하를 주도하는 것은 옳지 못하다”고 꼬집었다. 반드시 필요하다면 단순 하위 요금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요금 조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강 교수는 “대선 공약 때문에 무조건 요금을 깎으라고 하는 것은 비합리적이다”라며 “정당한 근거를 분석하고, 요금제 차별을 해소하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재조정하는 방향으로 가야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