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위안부' 기록 발굴·지원 노력 정부 사업으로 확대될까
입력 2017.07.05 16:45
수정 2017.07.05 16:49
서울시·서울대 인권센터, 미군 촬영 현장 영상 최초 발굴
12.28 위안부 합의 이후 사실상 중단…새 정부 역할 주목
서울시·서울대 인권센터, 미군 촬영 현장 영상 최초 발굴
12.28 위안부 합의 이후 사실상 중단…새 정부 역할 주목
서울시가 서울대 인권센터와 함께 미군이 촬영한 한국인 일본군 '위안부' 영상을 최초 발굴하며 '위안부' 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 기록유산 등재 추진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이런 가운데 새 정부가 들어서며 그간 무산됐던 국가 차원의 위안부 관련 기록물 세계유산 추진이 탄력을 받을지 주목된다.
서울시와 서울대 인권센터(서울대 정진성 교수 연구팀)는 2년여 간의 발굴조사 끝에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administration)에 70년 넘게 묻혀 있던 한국인 위안부 영상을 발굴, 5일 언론에 공개했다. 서울시는 앞서 박근혜 정부에서 국가 차원의 '위안부' 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사업을 중단함에 따라 자체적으로 자료발굴을 비롯 각종 지원 사업 등을 추진해왔다.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 세계유산 등재 신청은 지난해 한국·중국 등 8개국 14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일본군 위안부 관련 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공동등재를 위한 국제연대위원회'(국제연대위원회)에 의해 추진됐으며, 오는 9월 최종 결정을 앞두고 있다. 당시 국제연대위는 유네스코에 총 2744건의 위안부 기록물을 신청했다.
이의 연장선상에서 서울시는 위안부 참상을 증명하는 자료를 발굴·지원하는 데 꾸준한 노력을 전개해왔다. 특히 2012년부터 국가 차원에서 추진되던 해당 프로젝트가 지난해 박근혜 정부에서 무산되면서 서울시는 자체적으로 시비를 들여가며 해당 사업을 고집 있게 추진해왔다.
지난해 박근혜 정부는 '위안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사업을 약속한 지 2년여 만에 민간주도로 입장을 바꿔 논란을 낳았다. 당시 정부는 2012년부터 위안부 기록물을 조사해왔으며, 이중 등재가치가 있는 기록물을 선정해 등재하겠다고 밝혔으나, 12.28 위안부 합의 이후 편성해 놓은 예산을 집행하지 않으면서 사실상 무산됐다. 이석준 전 국무조정실장은 "위안부 문제에 대해 기본적인 조사는 정부가 지원해왔으나, 유네스코 등재는 민간단체가 신청한 사안으로 민간단체가 추진하는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정부의 이 같은 발표에 박원순 서울시장은 "서울시라도 나서서 유네스코 등재 작업을 추진하겠다"며 서울시 자체적인 노력을 전개했다. 박 시장은 이에 대한 첫 움직임으로 지난해 관련 프로젝트에 총 9000만원의 보조금을 지원해 국제연대위원회 한국위원회의 활동을 지원해왔다.
또한 시 차원에서 '위안부' 콘텐츠 공모전을 개최해 시민들의 관심과 참여를 독려하고, 올해도 별도의 예산을 책정해 지원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자문위원회를 개최할 예정에 있다.
이 같은 시의 노력이 이번 새 정부에서 탄력을 받을지 주목된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미 서울시 주요 정책을 대선 공약으로 받아들이는 등 박원순 시장과 긴밀한 연대 의지를 다진 바 있어, 서울시 정책의 국가정책화 여부가 주목되는 상황이다.
특히 이번 정부의 정현백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최근 인사청문회를 통해 '위안부' 피해자 기록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사업을 재추진하겠다고 밝혀 국가 차원의 움직임도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
정 후보자는 '위안부' 피해자 기록의 유네스코 등재 사업이 박근혜 정부에서 중단된 것과 관련 "역사 전공자라서 관심이 많다"며 "국제적으로도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보편적 이슈가 됐기 때문에 유네스코 등재엔 큰 무리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12.28 합의에 대해서도 재협상 가능성을 시사해 눈길을 끌었다. 정 후보자는 "상대가 있는 외교 관계에서는 단정적 얘기를 자제해야 한다"면서도 "재협상을 할 수 있는 사안"이라고 언급했다.
한편, 서울시는 '위안부' 참상을 증명할 수 있는 자료 발굴과 지원을 올해도 역점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특히 이번 서울대 인권센터와 함께 공개한 당시 현장 영상은 주요한 근거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에 발굴된 영상은 기존 일본 공문서나 여타 외국 기관이 소중한 자료가 아닌, 미군이 직접 촬영한 영상이자 조선인 '위안부' 피사체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더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