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일 남은 '대선 판도' 뒤흔들 국내외 변수 뭐 있나?
입력 2017.03.25 06:30
수정 2017.03.25 07:50
국내…박 전 대통령 구속 여부·세월호 인양 수습 등
국외…북한 6차 핵실험 여부·중국 사드 보복 추이 등

제19대 대선이 45일 남은 가운데 조기 대선 판도를 뒤흔들 대내외 이슈가 주목된다.
25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내 변수로 검찰의 박근혜 전 대통령 구속영장 청구 여부와 세월호 인양, 범보수·중도 간 후보단일화, 가계부채 등이 거론된다. 또 국외 변수로는 미국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 여부와 북한의 6차 핵실험, 중국의 사드 보복 등이 꼽힌다.
가장 먼저 검찰이 박 전 대통령의 구속영장 청구 여부가 가장 가시화된 이슈다.
박 전 대통령은 지난 21일 뇌물수수와 직권남용 등 모두 13가지 혐의로 검찰조사를 받았다. 박 전 대통령을 조사한 서울중앙지검 특수본 기록과 증거 검토를 진행 중에 있다. 수사팀이 검토를 마치는 대로 결론을 내리고 수사결과를 김수남 검찰총장에게 보고할 예정이다.
앞서 김 총장은 출근길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박 전 대통령의)구속영장 청구 여부는 법과 원칙에 따라 판단할 문제”라는 발언을 해 정무적인 판단을 배제하겠다는 뜻을 풀이된다.
검찰 내부에서는 박 전 대통령에 대한 영장 청구쪽에 무게가 실린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만약 박 전 대통령의 구속영장이 청구돼 법원이 이를 받아드릴 경우, 대선 정국은 보수층의 결집으로 이어져 보수진영에 다소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박 전 대통령의 구속으로 인해 그간 숨죽였던 ‘샤이 보수층’이 보수진영으로 쏠릴 수 있다는 것이다.
세월호 인양도 정국을 뒤흔들 수 있는 변수로 꼽히고 있다. 세월호가 목포신항에 도착해 행간에 떠돌던 의혹들이 세월호 참사 원인으로 규명될 경우 보수진영에 치명타를 입힐 수 있다는 분석이다.
범보수·중도 간의 합종연횡도 대선판을 뒤흔들 수 있다. 최근 각 당의 경선이 본격화하고 있는 가운데 자유한국당 경선에서 선두를 달리는 홍준표 후보가 김무성 바른정당 고문과 만남을 갖고 보수후보 단일화와 대선 후 재결합 등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국민의당과의 연대 가능성도 살아 있어 향후 중도·보수 후보단일화 여부에 따라 대선판도가 크게 흔들릴 수 있다는 분석도 힘을 얻고 있다.
1300조를 넘긴 가계부채도 우리나라 경제의 뇌관으로 작용하고 있다. 외적 요소 중 하나인 미국 금리 추가 인상이 예고된 상황에서 대선 기간 내 추가 인상이 이뤄질 경우, 현실적인 가계부채 대책을 내놓는 후보가 지지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대선 등 국내 주요 현안이 있을 때마다 불어온 ‘북풍’도 외적 요소로 꼽힌다. 북한이 최근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 주변에 새로운 갱도 굴착 작업을 마무리 하고 6차 핵실험 준비를 거의 마쳤다는 미 국방당국자의 발언이 있었다.
미 공군은 방사성 물질을 탐지하는 특수정찰기를 일본에 급파한 것으로 알려지는 등 최근 북한의 동태가 심상치 않아 이를 방증하고 있다.
이처럼 한반도 정세가 불안하면 유권자들 사이에 안보 중시 심리가 강해지고 투철한 안보관을 강점으로 내세우는 보수후보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관측된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다음달 초 방미를 앞두고 있어 그간 중국이 사드 배치를 빌미로 행해온 보복조치가 해소될지 여부도 관심사다. 만일 미국이 중국의 사드보복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면 중국보다 미국 중시 외교를 주장하는 보수후보들에게 호재가 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