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민주당 경선 뒤 보수·중도 표심 다시 잡으려면?
입력 2017.03.21 06:30
수정 2017.03.21 06:38
안희정 탈락하면 '역선택' 표심 안철수로 이동할 수도
"문재인 지지율, 30~40%대 머물러야 '비문 연대' 가능"

안철수, 보수층 최후 카드되기 위한 조건은?
제19대 대통령 선거가 불과 50여 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각 유력 대권주자들의 중도·보수층 표심 확보가 승패의 관건으로 떠올랐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지지도 10% 이상의 상위권에 보수진영 후보가 전무한 상태여서 중도·보수층의 표심이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치권은 안철수 전 대표의 외연 확장에 관심을 두고 있다. 안 전 대표가 10% 이상의 지지율을 보이는 상위권 4명(문재인, 안희정, 안철수, 이재명)의 후보 가운데 유일하게 중도 정당에 소속돼 있어 중도·보수층 지지를 흡수하는 데 가장 유리한 조건이다.
20일 발표된 리얼미터의 조사에 따르면 차기 대선 후보 지지율은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36.6%로 독주 중인 가운데 안희정 충남도지사 15.6%, 안철수 전 대표 12%, 이재명 10.8% 순이었다. 국민의당 소속인 안 전 대표를 제외하더라도 나머지 민주당 소속 후보의 지지율합이 과반을 훌쩍 넘긴 63%에 달한다. 보수 진영의 후보 중 유일하게 유의미한 지지율을 기록한 홍준표 경남도지사는 9.8%에 불과했다.
이처럼 범보수 후보가 사실상 지리멸렬하면서 정치권은 보수층을 포함한 중도층의 '안철수 밀어주기'가 실현될 수 있을지에 관심을 모으고 있다. 안 전 대표 스스로가 중도를 주창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민주당 후보, 특히 문재인 후보에게만큼은 표를 줄 수 없다는 보수층도 최후의 카드로 안 전 대표를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보수층의 고민은 지지율에서도 나타났다. 리얼미터는 안 전 대표의 지지율에 대해 "PK, 호남, 서울, 30대와 50대 이상, 국민의당·자유한국당 지지층과 무당층, 보수층과 중도층에서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TK와 경기·인천, 정의당 지지층, 진보층에서는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이른자 '중도·보수'의 안 전 대표 지지가 상승한 것이다.

보수층 외연확장 가능하지만…선결과제가 자결(自結) 못해
그러나 정치권 관계자들은 안철수 전 대표가 보수층의 지지를 얻을 수는 있지만 이를 위해 선결해야할 과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선결과제가 안 전 대표의 힘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은 안 전 대표로서는 난제다.
황태순 정치평론가는 "만약 4월초 민주당 경선을 통해 문재인 전 대표가 최종 후보로 선출된다면 안희정 지사를 향하고 있는 중보·보수표는 안 전 대표에게 옮겨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황 평론가는 "안희정 지사의 지지율 중 일정 부분은 중도·보수층의 역선택"이라며 "안 지사가 경선에서 최종 탈락하면 이 표는 안 전 대표로 이동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특히 황 평론가는 지난 1997년 DJP연합과 같은 '대연정'과 '개헌'을 고리로 하는 '후보단일화'의 가능성을 언급했다. 그는 "일단 각 당의 후보가 결정된 상황에서 민주당을 제외한 나머지 정당 간의 연대가 결정될 수 있다"고 했다. 사실상의 '반문·반패권 연대'다.
다만 황 평론가는 연대의 구성 조건으로 "문재인 후보의 '어중간한 지지율'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만약 최종 후보 선출 후 문재인 후보의 지지율이 50%를 넘기는 우월한 지지율이라면 차라리 대선 후 야권 헤게모니를 위해 각 당 후보들이 합치지 않을 것"이라며 "문 후보의 지지율이 30~40%대 애매하다면 '연대'는 충분히 가능한 일"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