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우병우 교체설' 배경…부담 털고 새 이슈로 화력 집중

고수정 기자
입력 2016.10.17 15:53
수정 2016.10.17 17:01

청와대 즉각 부인에도 교체 적기여서 신빙성 높아

우 수석 거취와 상관없이 정국 경색은 계속될 듯

정가의 눈이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 교체설에 쏠려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우 수석 거취 문제에서 만큼은 ‘단호한’ 입장을 보여 온 만큼 우 수석 교체설이 경색 정국의 출구로 향하는 방향키가 될지 관심이 모아진다. 사진은 박 대통령이 2월 16일 오전 국회에서 국정에 관한 연설을 위해 본회의장으로 이동하고 있는 모습.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청와대 즉각 부인에도 교체 적기여서 신빙성 높아
우 수석 거취와 상관없이 정국 경색은 계속될 듯

정가의 이목이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 교체설에 쏠려 있다. 우 수석의 개인 비리 의혹이 지난 7월 중순 처음 제기된 이후 정국은 급속도로 냉각됐고 야권은 석 달 넘게 우 수석 경질을 요구해 왔다. 그간 박근혜 대통령이 우 수석 문제에선 '한치의 흔들림 없는' 입장을 보여 왔기 때문에 우 수석 교체설이 경색 정국의 탈출구가 될지 관심이 모아진다.

중앙일보는 17일 여권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박 대통령이 우 수석을 교체하는 쪽으로 입장을 정리했다고 보도했다. 해당 보도에 따르면 이번 주 초, 늦어도 국회 운영위원회 국정감사가 열리는 21일 전후에 후임을 결정할 가능성이 있다. 현재 야당은 물론 새누리당 일각에서도 우 수석의 운영위 증인 출석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청와대는 즉각 우 수석 교체설은 ‘오보’라고 반응했다. 정연국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완전히 오보”라며 “전혀 사실이 아닌, 정말 느닷없는 기사”라고 선을 그었다. 그러나 이날로 예정됐던 박 대통령 주재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가 연기되면서 그 사유에 우 수석 교체설과 맞물린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서도 정 대변인은 “(연기된 배경에 대해) 특별히 관심을 가질 만한 이유가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청와대의 부인에도 불구하고, 정치권 안팎에서는 우 수석이 조만간 사퇴할 거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우 수석 방어로 그간 청와대에 누적된 정치적 부담을 털어내기 위해 박 대통령의 결단 가능성이 높다는 해석이 나돌고 있다. ‘현직’ 민정수석으로서 개인 비리 의혹으로 검찰에 출석하는 상황에 직면하면 야권에 공세 빌미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야권의 공세 차단에 급급했던 여권이 ‘송민순 회고록 사태’라는 뜻밖의 호재를 만난 만큼 대야(對野) 공세로 화력을 집중해야 한다는 의미도 담겨 있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본보와 통화에서 “박 대통령이 우 수석을 교체하기로 가닥을 잡았다는 것은 ‘한 곳에 집중하겠다’는 의미”라며 “우 수석을 명예롭게 퇴진시키기에는 지금이 ‘적기’라고 생각할 수 있다. 정치권과 국민의 관심이 ‘딴 곳’으로 넘어갔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신 교수는 또 “우 수석의 검찰 수사가 이달 말 종료되는데, 우 수석이 현직 타이틀을 달고 검찰에 출석하는 일이 생기면 청와대로서 상당한 부담”이라며 “야권을 공격할 ‘기회’를 잡았을 때 집중해야 한다는 여러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우 수석 의혹으로 인해 촉발된 경색 정국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그가 사퇴한다 해도 ‘본질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는 게 야권의 입장이다. 우 수석 의혹에 대해 검찰 수사가 빈손으로 종료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많기 때문에 또 한 차례 후폭풍이 예상된다. 야권은 검찰이 야당 의원들을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무더기 기소한 배후에 우 수석이 있다고 보고 있어 신경이 곤두서 있다. ‘송민순 회고록 사태’에 대해서도 정권의 ‘비리 물타기’로 규정하고 있다.

기동민 더민주 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우 수석 교체설에 대해 “지나가던 소가 웃을 일이다. 용납할 수 없는 ‘꼼수 중의 꼼수’”라며 “이석수 특별감찰관의 사표 수리로 국감을 피해가더니 이제는 우 수석마저 잘라내고 화살을 피해보겠다는 것인가”라고 비난하며 우 수석의 국감 출석을 촉구했다.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도 이날 기자들과 만나 “(교체설이) 사실이기를 기도한다. 설사 우 수석이 억울하더라도 운영위원회 출석 전에 사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민정수석 완장을 차고 운영위에 나오거나 검찰 수사를 받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했다.

고수정 기자 (ko0726@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